Der8auer는 PowerColor RX 9070 XT Red Devil GPU를 오버클러킹 테스트에 사용했습니다. 그가 언급했듯이, 그는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RX 9070 XT 출시를 위해 이를 자세히 살펴볼 시간이 없었지만, RX 9070 XT 오버클러킹에는 지금에야 살펴보고 검증할 수 있는 문제도 있습니다.
PowerColor RX 9070 XT Red Devil은 더 높은 품질의 구성 요소와 더 강력한 쿨러를 갖춘 프리미엄 카드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이 카드는 너무 조용해서 Der8auer는 OC와 Silent BIOS 스위치를 혼동했다고 생각할 정도였습니다(이는 잘못된 레이블이 붙었다는 것을 의미함). 하지만 실제 테스트에서 두 설정 모두 거의 동일한 결과와 온도를 보였습니다(62-63°C GPU, 85°C 핫스팟).
Roman은 팬 프로필을 변경하여 49% 팬 속도를 강제로 적용했는데, 이는 그의 민감한 귀가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 속도입니다. 이는 클럭 속도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쳐, 이제 2970MHz를 넘어 3030MHz까지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이는 PowerColor가 광고한 것(3060MHz)만큼 높지는 않습니다.
전력 한도를 110%(GPU-Z에 따르면 약 360W)로 높인 후에야 카드가 마침내 3.1GHz 이상의 속도에 도달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언더볼팅을 시도했고 3DMark Time Spy 벤치마크에서 GPU 전압을 200mV 낮추자 카드가 즉시 3.4GHz 클럭에 도달했습니다. 언더볼팅만으로 300MHz 더 높은 것입니다. 카드는 결국 충돌했기 때문에 Red Devil의 안정적인 언더볼팅은 약 -170mV(이 경우)인 것 같습니다.
Radeon RX 9070 XT(-170mV 언더볼팅), 출처: Der8auer
언더볼팅된 RX 9070 XT는 Cyberpunk 2077 및 3DMark 테스트에서 RTX 5080 Founders Edition을 이겼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확실한 승리는 아닙니다. RTX 5080 카드도 오버클럭하여 10% 더 얻을 수 있지만, 우리는 700~800달러짜리 GPU를 1000~1200달러짜리 제품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Radeon RX 9070 XT OC/UV 성능, 출처: Der8auer
Der8auer는 또한 오버클럭의 현재 버그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GPU 주파수 변경이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AMD가 고급 사용자를 위한 수동 OC에 대해 아직 해야 할 일이 있는 듯하지만, 특히 Red Devil과 같은 고급 모델을 고려할 때 분명히 잠재력이 남아 있습니다.
P.S 해당 언더볼팅 사항은 대다수의 9070XT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원문이 4080으로 오타가 있어서 본문을 5080으로 수정했습니다.
(IP보기클릭)121.169.***.***
"우리는 700~800달러짜리 GPU를 1000~1200달러짜리 제품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대박ㅋㅋㅋㅋㅋㅋㅋ
(IP보기클릭)14.45.***.***
원문 오타입니다. 본문을 보지 마시고 벤치자료를 보세요.
(IP보기클릭)106.101.***.***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 이렇게도 되는구나 하는게 낫죠
(IP보기클릭)76.168.***.***
MSRP 기준 $599 vs $999
(IP보기클릭)112.175.***.***
아니 제목은 5080인데 왜 내용은 4080이야?
(IP보기클릭)121.169.***.***
"우리는 700~800달러짜리 GPU를 1000~1200달러짜리 제품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대박ㅋㅋㅋㅋㅋㅋㅋ
(IP보기클릭)106.101.***.***
그래도 미국은 40-50%인데 우리나라는 두배.. | 25.03.11 11:44 | | |
(IP보기클릭)182.221.***.***
그러기에는 5080도 언더볼팅이 되고 오버폭 자체가 훨씬 큰데 ㄷㄷㄷ | 25.03.11 12:13 | | |
(IP보기클릭)106.101.***.***
저 멘트 자체가 가성비 멘트 같은데? 큰차이 없는데 굳이 국내가 140 더주고 살 필요 있음? | 25.03.11 13:14 | | |
(IP보기클릭)112.175.***.***
아니 제목은 5080인데 왜 내용은 4080이야?
(IP보기클릭)211.234.***.***
작성자 아이디를 보세요 | 25.03.11 10:10 | | |
(IP보기클릭)14.45.***.***
원문 오타입니다. 본문을 보지 마시고 벤치자료를 보세요. | 25.03.11 10:20 | | |
(IP보기클릭)211.234.***.***
내용에 표 보면 4080, 5080 다 이깁니다 | 25.03.11 13:31 | | |
(IP보기클릭)112.184.***.***
(IP보기클릭)106.101.***.***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 이렇게도 되는구나 하는게 낫죠
(IP보기클릭)220.90.***.***
(IP보기클릭)172.226.***.***
(IP보기클릭)76.168.***.***
MSRP 기준 $599 vs $999
(IP보기클릭)222.105.***.***
(IP보기클릭)116.121.***.***
(IP보기클릭)14.45.***.***
대다수가 되는 언더볼팅은 -100~120쯤 된다고합니다. 이정도만 해도 성능업 꽤 된다고 하네요 | 25.03.11 11:20 | | |
(IP보기클릭)211.194.***.***
클럭 겨우 3%올린다고 성능업 꽤 안됨 | 25.03.11 14:31 | | |
(IP보기클릭)117.123.***.***
(IP보기클릭)106.101.***.***
솔까 엔비디아 상용 그래픽카드 매출이 총매출의 7% 라던데 전세계 it기업에서 글카달라고 애걸복걸해도 순번 밀려있는거 보면 쩌리칩 옛다 던져주고 명맥상 유지하는 수준 아닌가 싶음 | 25.03.11 12:10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8.235.***.***
이미 실물 다 풀렸고 지금 그 결과들이 나오는중임 | 25.03.11 13:32 | | |
(IP보기클릭)121.162.***.***
(IP보기클릭)218.232.***.***
(IP보기클릭)27.119.***.***
(IP보기클릭)182.221.***.***
AI쪽으로 가면 9070XT하고 5080하고 최고 40%까지 프레임차이 벌어져요 ㄷㄷㄷ | 25.03.11 15:08 | | |
(IP보기클릭)61.36.***.***
(IP보기클릭)89.147.***.***
(IP보기클릭)221.145.***.***
(IP보기클릭)14.35.***.***
전압을 낮춰서 최적의 효율값을 찾는거요 온도랑 소비전력을 적절하게 줄이면서 프레임도 얻는거 | 25.03.11 14:28 | | |
(IP보기클릭)221.145.***.***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25.03.11 14:29 | | |
(IP보기클릭)222.96.***.***
다만 라데온이랑 엔비디아랑 언더볼팅 지향점이 다릅니다. 엔비디아는 사실상 비효율에 가까운 상태로 클럭을 올려놓았는지라, 이를 조금 내려서 전성비 개선의 목적이 있고(성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성비를 높임) 라데온의 경우는 이전부터 클럭 대비 전압을 꽤 보수적으로 잡아서 클럭 대비 전압이 높게 인가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조금 낮춰줌으로써 전성비도 개선하고 전력한계도 풀어줌으로써 더 높은 클럭을 낼 수 있게하는데 목적을 둡니다. (최적 전압을 찾아 성능 향상에 목적을 둠) 그래서 엔비디아는 이전엔 언더볼팅보단 오버클럭을 더 선호했고 라데온은 언더볼팅이 더 선호됬죠. 30이후에 그래픽카드의 전력소모가 지나치다보니, 30부터도 조금씩 언더볼팅을 하긴 하는데, 그나마 40까지야 아키텍처의 한계치만큼 클럭을 올린거라 전압 조금 낮춘다고 성능 손실이 큰 편이 아닌데, 50의 경우에는 아키텍처 자체의 체급이 큰지라. (=기본적으로 우량아 체급이라) 먹는 게 많은 편이고, 전압을 낮추면 앞 세대보단 상대적으로는 더 크게 성능이 떨어집니다. (반대로 한계치만큼 올린 것도 아니여서 전력을 더 주는 만큼 성능이 올라갈 여지도 더 크죠. 40대비) | 25.03.11 17:56 | | |
(IP보기클릭)211.209.***.***
엔비디아껀 너무 극단적으로 클럭을 올려놔서 언더볼팅도 안된다는거 전력을 많이 끌어쓰니. | 25.03.13 08:57 | | |
(IP보기클릭)222.96.***.***
?? 극단적인 수준으로 올려놓은거라 오히려 언더볼팅이 더 잘되죠. 성능 7~8%를 얻기 위해 전력을 30% 이상을 더 끌어다 쓰는 상황인데.. (40시리즈 기준) 어느 반도체든 효율 구간 넘어가면 성능을 얻기위한 요구 에너지가 기하 급수적으로 올라가고, 엔비디아의 경우 vf곡선의 전력 요구치가 급상승하는 지점까지 클럭은 땡겨 놓은지라 (역으로) 성능 7~8%만 낮춰도 전력 수요가 확 줄어들죠. | 25.03.13 17:43 | | |
(IP보기클릭)180.229.***.***
(IP보기클릭)222.96.***.***
솔직히 아키텍처면에서 보면 여전히 1~1.5세대 차이나는 게 보이지만 그게 뭐 대수인가요. 소비자 입장에선 가격만 적절하면 되고, 정신나간 50들의 가격 때문에 메리트가 있는 제품이죠. | 25.03.11 17:58 | | |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75.194.***.***
(IP보기클릭)222.120.***.***
mfg 화질저하 심하기도하고 네이티브 상태에서 프레임 비교를 해야죠 | 25.03.11 19:27 | | |
(IP보기클릭)112.148.***.***
그런 식이면 네이티브와 노오버 상태로 비교해야함. 5080 오버 수율이 매우 높아서 동일 오버/언더 기준이라면 저 기사 자체가 의미없음. | 25.03.13 22:24 | | |
(IP보기클릭)222.120.***.***
당연 상위 제품을 그것도 최상위랑 그렇게 비교하는게 말이 되나요 애초에 5070ti를 경쟁으로 출시된 제품인데 | 25.03.13 23:07 | | |
(IP보기클릭)112.148.***.***
기사처럼 비교 자체가 의미가 없다는 거임. 5080도 오버하면 4090 넘기고 4090도 질소 냉각하면 5090 넘기고... 저런 기사 mfg 비교 등 다 말도 안되는 비교임... | 25.03.14 22:0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