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스위치 2 독의 VRR 지원은 기술적으로 가능할 수 있지만, 이를 원활하게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으로 구현하기에는 넘어야 할 과정이 너무 많습니다.
디지털 파운드리의 기술 전문가들은 주간 팟캐스트의 최신 에피소드에서 독의 인증 칩이 닌텐도 스위치 2가 독 모드에서 VRR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인지 묻는 지지자의 질문에 답하며, 인증 프로세스가 어떤 종류의 출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기 전에 발생하는 별도의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가능성을 배제했습니다.
디지털 파운드리는 닌텐도 스위치 2 독이 VRR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는 독 자체와는 아무 관련이 없고, USB-C를 통한 디스플레이 포트에서 HDMI의 변환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는데, 이로 인해 VRR이 독에서 작동하기 어렵습니다.
최종적으로 디지털 파운드리는 독이 VRR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 최근에 입증되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고 믿지만, 콘솔 사용자가 기대하는 원활한 플러그 앤 플레이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과정이 너무 많을 수 있습니다.
이어서 디지털 파운드리의 기술 전문가들은 120Hz 패널 덕분에 40fps 모드를 구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닌텐도 스위치 2의 출시 게임 중 40fps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게임이 매우 적다는 점에 대해 언급하며, 현재로서는 40fps 모드의 이점을 누릴 수 있는 게임이 많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사이버펑크 2077처럼 이미 40fps 모드를 지원하는 게임들이 있다는 점은 앞으로 더 많은 게임들이 40fps 모드를 지원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VRR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얼마나 많은 게임이 이 모드를 지원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좋은 경험을 위해서는 VRR 없이 40fps로 고정된 게임들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IP보기클릭)210.122.***.***
독도 VRR지원한다고 하는걸 봐서는 아예 지원 안할 계획은 아니었는데 뭔가가 꼬였나보네요. 그래서 북미 홈페이지에 지원한다고 노출됐다가 급하게 삭제한거구요. 아마도 내장화면의 VRR범위와 TV출력 시 지원하는 VRR범위가 달라서 그런거라고 추측해봅니다.
(IP보기클릭)223.38.***.***
게임 더 내줘요 현기증난단말이에요
(IP보기클릭)210.122.***.***
다들 그런 이유로 추측을 했었는데 (C to HDMI 도킹/허브중에 VRR지원 제품이 진짜 극극극소수입니다.) 막상 스위치2 독에다가 UMPC들을 연결해보니 VRR이 지원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 문제는 아닌듯 하구요. 다른 UMPC들은 VRR범위가 TV랑 동일한 48~120Hz까지 지원하는데 스위치2는 지싱크를 써서 1Hz부터 VRR지원이라 이게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IP보기클릭)211.234.***.***
PS2로 콘솔게이머 입문하고 처음 사본 닌텐도 콘솔인 스위치 2 너무 만족합니다.
(IP보기클릭)110.46.***.***
스위치2 방식이 스위치 본체 (usb c to dp, 스위치용으로 약간의 개조?가 들어간 버전으로 추정) -> 독 (dp to hdmi 2.1, RTD2175N칩 사용)이라 뭔가 꼬인 것 같더군요.
(IP보기클릭)223.38.***.***
게임 더 내줘요 현기증난단말이에요
(IP보기클릭)210.122.***.***
독도 VRR지원한다고 하는걸 봐서는 아예 지원 안할 계획은 아니었는데 뭔가가 꼬였나보네요. 그래서 북미 홈페이지에 지원한다고 노출됐다가 급하게 삭제한거구요. 아마도 내장화면의 VRR범위와 TV출력 시 지원하는 VRR범위가 달라서 그런거라고 추측해봅니다.
(IP보기클릭)60.90.***.***
일본쪽의 기사를 보면 님의 추측과 거의 비슷한데 원래는 지원할 예정이었으나 일부 티비에서 VRR이 제대로 안되는 문제를 일으켜서 황급히 뺏다고 합니다 | 25.07.10 13:58 | | |
(IP보기클릭)61.75.***.***
(IP보기클릭)218.156.***.***
(IP보기클릭)210.122.***.***
세인스
다들 그런 이유로 추측을 했었는데 (C to HDMI 도킹/허브중에 VRR지원 제품이 진짜 극극극소수입니다.) 막상 스위치2 독에다가 UMPC들을 연결해보니 VRR이 지원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 문제는 아닌듯 하구요. 다른 UMPC들은 VRR범위가 TV랑 동일한 48~120Hz까지 지원하는데 스위치2는 지싱크를 써서 1Hz부터 VRR지원이라 이게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 25.07.09 16:20 | | |
(IP보기클릭)58.124.***.***
VRR 지원은 가능한데 다른쪽에 꼬였나보네요 | 25.07.09 22:02 | | |
(IP보기클릭)61.36.***.***
(IP보기클릭)182.222.***.***
가변 리프레쉬 레이트요. | 25.07.09 16:47 | | |
(IP보기클릭)121.164.***.***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경우 60hz,120hz, 144hz등 고정된 주사율을 가지는데 이걸 컨텐츠의 프레임에 맞춰서 유동적으로 변하게 하는걸 vrr이라고 합니다. | 25.07.09 17:18 | | |
(IP보기클릭)61.36.***.***
디스플레이마다 고정 된 주사율이 있는데, 동일한 게임을 디스플레이에 맞게 프레임을 맞춰주는 시스템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럼 60hz게임을 144hz디스플레이에 작동시키거나, 144hz지원하는 게임을 60hz디스플레이에 작동시키면 둘 다 60hz로 플레이 되는 걸까요? | 25.07.09 17:44 | | |
(IP보기클릭)121.164.***.***
주사율에 맞게 프레임을 맞추는건 기존에 게임 옵션에서 흔히보이는 수직동기화가 비슷한 개념이고 (주사율 이상으로 프레임이 나오지 못하게) VRR은 반대로 게임의 프레임이 순간적으로 내려가거나 올라가거나 할때 주사율을 거기에 맞춰서 바꿔주는 개념입니다. 그 아래에 질문하신건 좀 설명이 길어지는부분이라.. 직접 찾아보시는게 나을듯 하고 게임이 60프레임 고정으로 잘 나오다가 폭발씬 같은데서 이펙트가 화려해지면서 40프레임 정도로 휘청이면 '아 버벅거리네' 하는 느낌을 받잖아요? vrr 지원 디스플레이는 프레임이 떨어지는거에 맞춰서 같이 주사율이 낮아져서 그 버벅임을 잘 못느끼게 해줍니다. (실제로 버벅임이 사라지는건 아님) 그외에 입력지연을 줄여준다거나 다른 효과도 있긴한데 가장 주요한건 이거라고 보심 되요 | 25.07.09 17:56 | | |
(IP보기클릭)211.234.***.***
PS2로 콘솔게이머 입문하고 처음 사본 닌텐도 콘솔인 스위치 2 너무 만족합니다.
(IP보기클릭)110.46.***.***
스위치2 방식이 스위치 본체 (usb c to dp, 스위치용으로 약간의 개조?가 들어간 버전으로 추정) -> 독 (dp to hdmi 2.1, RTD2175N칩 사용)이라 뭔가 꼬인 것 같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