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생각나는 대로 팁 적어봅니다.
1. 스토리 진행에 따라 후반부 지역으로 갈수록 등급 높은 장비가 드롭됩니다.
장비 등급: 흰색 → 파랑 → 보라 → 주황(노랑?)
맵은 사막, 삼림, 산악, 그리고 스토리 엔딩 지역(파밍 구간은 아님) 총 4개이며,
첫 맵인 사막에서도 스토리 진행에 따라 나중에 열리는 지역에선 보라 등급 장비가 나옵니다.
일반 스트레이는 지역에 따라 장비등급에 차이가 있는데,
그 중 스트레이Ω 는 높은 등급 장비 드롭.
참고로, 적 락온하고 스캔하면 화면 왼쪽에 해당 적이 착용한 장비와 드롭 가능한 인자 정보가 뜹니다.
2. 이모탈 노획 관련 (장비/유전자 파밍)
대형 적들과 스트레이, 보스 같은 적들은 반드시 시체가 남아서 장비를 노획할 수 있지만,
이모탈은 시체가 남을 확률이 랜덤.
이를 거의 확정적으로 남기고자 할 경우엔 '나이프' 또는 '활'을 장비하는 게 좋습니다.
나이프로 막타를 치거나, 활로 시위를 최대한 당긴 상태에서 쏴서 막타를 칠 경우 시체가 남을 확률(노획 성공률)이 높음.
나이프는 사거리가 짧고 대미지가 낮지만 사용이 편하고, 활은 조작이 좀 불편하지만 대미지는 높은 무기로,
유전자 파밍을 위해선 나이프나 활 둘 중 하나는 필수 장비라 보시면 됩니다.
3. 콜로세움은 초반에 '폐품' 수급용으로 좋음
폐품은 적 처치(부위파괴 포함), 보라색 돌? 파괴, 일부 오더(사이드 퀘스트) 완료 보상으로 주어지며,
추가로 콜로세움의 일부 적들이 초회 클리어 보상으로 폐품을 줍니다.
거점 시설 개발(상점 판매물품 추가 등)에는 폐품이 필요로 한데,
콜로세움 개방 전까지 진행하면서 모은 폐품에 더해 추가로 콜로세움을 쭈욱 클리어하면
초반에 거점 시설 개발 중 필요한 것들은 금새 완료할 수 있습니다.
콜로세움 적이 그리 어려운 편이 아니라
무지성 근접공격만으로도 대부분의 적 상대로 쉽게 승리를 챙길 수 있는데,
콜로세움 개방하고 바로 도전할 시엔 상위권 적이 장비빨이 좀 있어서 맞으면 아프긴 함.
그런 경우엔 사격무기 들고 토끼뜀 운영(점프해서 상대방 위로 지나쳐가면서 사격) 병행하시면 됩니다.
4. 거점 시설 개발 우선 순위
- 1순위
숍: 장비 라인업 추가 1, 2, 3
데몬 x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은 장비빨 게임이며, 그 중에서도 무기가 좋을수록 게임이 쉬워지므로
어태치먼트 슬롯없는 상점 템이지만 일단 파밍 외에 높은 등급 장비를 수급하는 수단으로서 유용함.
- 2순위
랩: 랩 레벨 개방 1, 2, 3 (유전자 보유 슬롯 추가)
팩토리: 리스토어 레벨 개방 1,2,3 (비컨 탐색 시에 유용)
리스토어 레벨을 올리면 비컨 탐색이 수월해지는데, 초반엔 어짜피 저등급 장비들이라
중후반부에나 올리는 게 낫다보니 유전자 보유 슬롯을 늘리는 랩 레벨을 먼저 올리는 걸 추천.
Tip. 유전 인자로 해금하는 스킬은 Lv.3 or Lv.5 를 기준으로 모아 해금하면 하위레벨들도 자동으로 해금됨.
또한, 유전자 10~15는 보스급 적들 대상으로 드롭되므로
초반엔 1~4 짜리 유전자들로 해금되는 스킬들을 목표로 유전자를 보유하는 게 좋음
- 3순위
팩토리: 신규 개발 기능 추가 (장비에 어태치먼트 슬롯 추가하는 기능으로, 초반엔 쓸일 없음)
랩: 보유 인자 제거 기능 (거의 쓸일 없음. 왠간해선 유전자 획득하는 노획장소에서 바로 필요없는 유전자를 제거하기 때문)
숍: 아이템 라인업 추가 (이게 거점 밖의 콜로니 상점에도 적용되는지는 모르겠음)
그외 항목은 취향껏.
5. 오더(사이드 퀘스트) 관련 (언급할만한 오더만. 나머지는 굳이 언급안해도 되는 것들이라 생략)
- 숲속의 폭포 찾기: 사진 찍는 사이드 퀘스트
삼림 지역의 데어 키포스 연결 통로에서 북쪽으로 이동.
- 숲속의 검이 꽂힌 무덤 찾기: 사진 찍는 사이드 퀘스트 마지막.
삼림 지역의 데어 키포스 연결 통로에서 동쪽으로 이동.
- 레이스(마지막 레이스)
바이크, 말, 험비 3개 종류 중 하나를 택해 동료 NPC 들과 경주하는 마지막 레이스로
차량 선택은 험비 추천.
안정적인 주행 순: 말 > 험비 > 바이크
속도: 말 < 험비 < 바이크
말이 가장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하지만 속도가 느려서 1위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가끔 NPC가 삽질하는 경우에 운좋게 1위할 수 있을듯?)
돌부리 같은 지형을 피하지 않고 그대로 지나가면 점프해 버림.
바이크는 속도가 가장 빨라서 쉽게 거리를 벌릴 수는 있지만 지형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지라 방향이 휙 돌아가거나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차량이 튀어오르거나 함.
굳이 바이크를 선택한다면, 평평한 지형에서는 속도를 올리고 울퉁불퉁한 지역에서는 속도를 내리는 식으로 주행해야 함.(험비도 마찬가지긴 한데 조작난이도가 더 쉬움)
주행 난이도 및 1위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험비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
- 엔딩 이후(엔딩 전에도 가능?)
거점 콘솔에서 오더 항목에 새로운 오더가 나오긴 하는데,
거점에서 직접 NPC와 대화해서 오더를 수주할 수 있음.(오더 항목에 뜨지 않을 때도 수주 가능.)
아마 다른 곳에서 시간 보내면 오더 라인업이 갱신 되는 걸텐데, 그렇게 시간 안보내도 바로 NPC 와 대화해 수주.
(레이븐, 이리스, 토비, 포즈, 잔키 그리고 기타 NPC(브라보노 였나?))
6. 주요 상점 위치
- 삼림 맵: 필리아 평원 콜로니
비컨 수리용 재료 판매
- 산악 맵: 리트론 분지 콜로니
리트론 분지 남쪽 연결 통로 오른편에 위치해 있음
확장 슬롯 메모리 및 굴삭 강화 칩 ++ 판매
- 산악 맵: 하르모니아 계곡 콜로니
광석(장비 개발 재료) 및 굴삭 강화 칩 ++ 판매
Tip. 비컨 수리 시 각 재료를 3개 이상 필요로 하는 것들만 수리할 것(기왕이면 4~5개 짜리로)
1~2개 짜리는 찾아도 저등급 장비를 줌
Tip. 굴삭 강화 칩은 희귀 소재만 필요함. 나머지 횟수 증가 등은 판매용.
7. 통제국 시설(던전) | 버그에 대처하는 방법
통제국 시설 진행하다보면 화염이나 산성 지역으로 이루어진 방이 있는데,
스토리 진행 중에 들르는 곳들이나 정상적인 곳들은 차츰 VP가 깎이는 정도이며 콘솔에서 해제할 수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버그라 생각될 정도로 미친듯한 속도로 VP가 깎이는 곳들이 있는데 (하드 난이도여서 그랬을 수도?)
따로 콘솔에서 해제해야 하는 곳들도 안보여서(본인은 못찾음...)
그냥 쌩으로 잘 통과해야 합니다.
SS 보디 파츠 입자병기 실드 도 안통하므로,
애시드 리페어 같은 장비를 필참하고, VP(체력) 회복템과 HP(목숨) 회복템을 챙겨둔 상태에서
중간중간 가는 길에 리페어 장비로 쏴주면서 진행해야 하며,
시간들여서(해킹) 문을 여는 콘솔에선 10~20퍼 정도 진행할때마다 리페어 한번씩 쏴줘야 합니다.
8. 파츠 선택 가이드
파츠는 자기 선호(운영방식)에 따라, 그리고 파츠별로 옵션들을 가감할 수 있어 조합이 천차만별인지라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으로 각 파츠에서 우선시 해야할 옵션만 일단 기재.
메모리 용량 및 VP (대체로 경장비면 수치가 낮고 중장비면 수치가 높음) 는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되는 항목이라 생략.
- 헤드
스태미나 효율/펨토 효율/(사격 보조 성능)
- 보디
펨토 용량/비행속도/스태미나 긴급회복 속도
- 레프트/라이트 암
사격 정밀도/격투 성능/(잡기 투척 성능)
- 레그
펨토 용량/지상 속도/점프 성능
- 중량에 의한 성능 변동
비행 속도/(긴급 회피 지속 시간)/경직 내성 레벨/점프 성능/스태미나 효율
스태미나 효율 같은 경우엔 단순히 헤드 파츠의 스태미나 효율(기본 수치)가 높다고 경/표준 장비 낀다해서
전체적인 스태미나 효율(중량 반영 최종 수치)이 올라가진 않습니다.
중량에 따른 스태미나 효율(퍼센트)도 고려해야 합니다.
펨토 용량은 대체로 경장비가 용량이 높고 중장비가 용량이 낮음.
스태미나 긴급회복속도는 경/표준/중 종류에 따른 차이보단 파츠에 따른 차이가 나는 편이지만 일단은 경장비 쪽이 높고, 중장비가 낮은 편.
(개인적으론 보디 파츠는 경장비를 쓰고(펨토 용량/비행속도/스태미나 긴급회복속도) 다른 파츠에서 메모리 용량 및 VP를 챙김)
사격정밀도는 대체로 중장비가 높고, 경장비는 격투 성능이 높음
그래서 근접 무기를 쓰는 팔쪽에 격투성능 높은 암을 끼고,
사격무기 쓰는 팔은 사격정밀도 높은 암 장착.
레그 파츠의 지상속도와 점프 성능은 너무 높으면 세밀한 조작이 어렵다거나 전투 위치 잡기가 애매해 질 수 있어서 적당한 게 좋습니다.
물론 높으면 높은대로 운영하면 되고, 이동이 제한되는 무기(ex. 미니건)일수록 지상속도(혹은 비행속도)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 입자 병기 AS | WS | SS
보디 파츠는 추가로 AS, WS, SS 입자 병기가 포함된 파츠들이 있는데,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AS: 어설트 라이플 자동 사격. 펨토 소비 | 화력 중시
WS: 윙. 펨토 소비. 지상/비행 속도, 대시 속도, 부스트 속도, 공중 상승 속도 등과 같이 전반적인 기동속도를 올려줍니다. | 기동 중시
SS: 전방위 실드. 대미지를 받을 시 펨토 소비. 공격할 시 실드 해제됨. | 방어(생존) 중시
근접 무기 위주로 사용한다면 SS나 WS 추천
사격 무기 위주로 사용한다면 AS나 WS 추천
개인적으론 WS를 추천.
전반적으로 이속이 올라가서 좋은데, (미니건 같이 이동이 제한되는 무기를 쓸 때도 어느정도 이속을 올려줘서 좋음)
전투 중엔 대시나 부스트 안쓴 상태로도 이속이 충분히 올라가고 펨토 소비도 크게 부담되지 않음.
단, 필드 이동 목적으로 자주 쓰기엔 펨토가 부족해지긴 함.
참고로, 대시하면서 사격도 가능하긴 한데,
속도가 낮으면 큰 차이는 없지만 속도 스탯을 어느정도 챙긴상태에서 WS 까지 쓰면 기동사격이 가능함.
SS는 인사니아 렉스가 광역기 쓸 때 엄폐물 없어도 펨토를 대가로 버티게 해주고,
적 공격올 때 잠시 켜서 방어하고 바로 공격함으로서 실드 해제하는 식으로 운영하게 되는데
개인적으론 번거롭게 느껴져서 잘 안쓰게 되더군요.
AS는 추가적인 화력을 더하는데, 빠르게 딜을 누적시킬 수 있긴 하지만 펨토 소비가 좀 큰 편. (WS 가동만 한 상태 보다 펨토 소비가 큼)
적을 좀더 빨리 잡을 수 있다는 점 외엔 개인적으론 전반적인 쾌적함을 생각할때 AS보단 WS를 선호하는 편.
9. 무기 선택 가이드
- 사격무기
어설트라이플/레이저라이플(한손): 가장 무난한 사격 무기.
머신건(한손): 사거리가 짧지만 빠른 연사=DPS가 특징인 무기. 근접이 주이고 사격이 보조일때 잠깐잠깐 빠르게 딜을 넣기 좋음.(다만 샷건에 비해선 그리 효용이 크진 않음)
미니건(양손): 빠른 연사=DPS가 특징인 무기. 사용시 이속에 제한이 걸리지만 대미지/탄창 용량/연사/유효사거리가 머신건보다 좋음(물론 양손이긴 하지만서도)
피스톨(한손): 약점특효력과 크리티컬 보너스가 높은 약점 전용 무기.
샷건/레이저샷건(한손): 근거리용 무기. 주무장/부무장으로 쓰기 좋음.
차지 레이저 라이플(양손): 강한 한방 무기. 차지 안하고 바로 쏘기도 하는 무기.
바주카(양손): 강한 한방 무기. 약간의 범위공격(적이 숄더웨폰 미사일 발사할때나 블리츠 사출할 때 적에게 맞추면 미사일/블리츠 격추 가능)
스나이퍼 라이플(양손): 강한 한방 무기. 약점 특효력이 높음.
건암(한손): 숍 라인업(상점)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풀리는 만큼 성능이 좋음.
다른 무기를 장착할 수 없게 되지만 기본적으로 내장된 무기 성능도 좋은 편이며, 재장전 할 필요없이 그냥 쭈욱 연사하면 됨.
이것저것 파츠조합 생각하기 귀찮다면 사격무기는 그냥 이것만 껴도 쉽게 게임할 수 있음.
물리 무기는 약점/크리티컬(적정거리), 레이저 무기는 약점/펨토 보정(펨토 량) 에 따라 추가 대미지.
사격무기는 그냥 개인 취향껏 선택.
- 근접무기
블레이드/레이저블레이드(한손): 가장 무난한 근접무기.
태도(한손 | 소류(양손)): 이것저것 스킬 쓰는 재미가 있긴 하나 블레이드 계열보다 대미지 및 위축수치가 낮은 무기.(낮은 대미지는 높은 크리티컬 보너스(적정거리)가 보완함)
랜스(한손): 태도와 블레이드 사이의 대미지를 가지며, 특징은 높은 전진 거리(초격 이동거리).
메이스(한손): 강한 한방 무기. 위축 수치 매우 높음.
나이프(한손): 대미지는 낮지만 약점 특효력이 높고, 노획 성공률(이모탈이 시체를 남길 확률) 옵션이 있음. | 막타용
양손 블레이드/양손 레이저 블레이드: 강한 한방 무기. 위축 수치 높음.
너클(한손): 강한 한방 무기. 주로 차지해서 쓰는 무기. 위축 수치 높음.
개인적으론 주로 블레이드/레이저블레이드, 나이프(노획용), 너클 정도를 씁니다.
나머지 무기는 개인 선호상 잘 사용은 안하는데,
랜스나 태도는 대미지는 낮지만 공속이 빨라 쓸만하고,
메이스나 양손 블레이드 계열은 초격 발동까지 시간이 걸리다 보니 사용시엔 주로 스킬 위주로 사용합니다.
- 숄더 웨폰
능동 유도 미사일/열원 추적 미사일: 주로 다른 장비를 쓰다보니 잘 활용은 안하지만 미사일 무기를 쓰고자 하는 경우 열원 추적 미사일 추천. 능동은 비추천.
캐넌: 강한 한방 무기. 레일건보단 대미지가 낮지만 사용제한이 없어서 자주 쓰는 장비.
레이저 캐넌/차지 레이저 캐넌: 높은 대미지를 가할 수 있는 조사형 무기. | 음, 패드 유저라 조작이 불편해 쓰지 않음. 대형몹 대상으로나 쓰는 정도.
레일건: 강한 한방 무기. 발사 시 반드시 지면에서 쏴야하며, 발사까지 시간이 걸림(차지하는 건 아니라서 버튼 누르고 있을 필요는 없음)
블리츠/레이저블리츠: 사출하면 자율적으로 공격하는 지원용 병기. | 안써봄``;
범위 회복 병기-스플랜더: 발사 시 착탄 지점에 일정 범위의 VP회복공간 생성.
단독 회복 병기-디보션: 사용시 VP 회복. 자주 사용되는 장비. 따로 파밍안하면 보기 드문 장비라 상점템에 어태치먼트 슬롯 개방해서 '회복량 업' 어태치먼트를 끼워 씀.
- 옥실러리
핸드/펄스/플래시/재밍 그레네이드: 핸드/펄스/플래시 모두 쓸만하고 재밍은 그리 효용이 크지 않음.
트랩 마인: 기뢰 사출 병기. | 안써봄``;
상태이상 회복 병기-히트/애시드/스턴 리페어: 버그성 지역 아니면 화염 및 산성 상태이상은 차츰 VP가 깎이는 정도라 필요없고, 스턴은 빠른 회복을 위해서 있으면 좋긴 하지만 다른 것들 대비 효용이 크지 않아 안씀.
프로펠런트 탱크: 펨토 용량 증가. | 자주 쓰이는 장비
리저브 매거진: 소지 탄약량 증가. | 자주 쓰이는 장비
채프 플레어: 미사일을 유인하는 플레어 사출. | 안씀.
레이더 재머: 일정 범위 내 적 레이더 무력화. 적에게 발견될 확률이 낮아짐. | 안씀
쿨링 시스템: 스태미나 회복 | 보디 파츠의 스태미나 긴급회복 속도가 낮을 경우에 쓰는 장비. 혹은 스킬 연속 사용을 위해서.
추가 부스터: 스태미나를 소비하는 부스터. 보디 파츠 WS 와 같이 사용 가능.
오토 실드: 자동 가드. 불릿 보스 처치 시 드롭되는 새틀라이트 실드. | 자주 쓰이는 장비
개인적으로 양손 사격무기에 근접무기는 보조로 쓰는게 쉽게 게임하는 편이라 생각됩니다.
저처럼 근접무기 위주로 하면 이것저것 스킬 쓰는 재미가 있긴 한데,
그냥 양손 사격무기가 좀더 적도 빠르게 잡고 편합니다.
10. 스킬 선택 가이드
사격무기 스킬은 스핀 샷(같은 높이 선상에 있어야 제대로 대미지를 가함), 건 스매시, 리페어 샷(레이저무기는 사용불가) 3개인데
거의 안쓰다보니 그냥 리페어 샷을 장착해 가끔 회복 보조용도로나 씁니다.
근접 무기 스킬은 공통적으로 연속찌르기나 투구깨기가 유용하며, 그 외 각 무기 전용 스킬들 (ex. 레이저 블레이드: 휩쓸기)을 씁니다.
양손 블레이드의 경우엔 매시브 러시보단 회전베기. 메이스는 웨폰투척or매시브 러시.
범용 액션 스킬은 일단 추천할만한건 오토 닷지(생존), 미라주(화력. 근접무기보단 양손 사격 무기 사용 시),
나머지 스킬들은 취향껏.
패시브 스킬은 최대 30 cost 로 스킬을 채울 수 있는데,
일단 필수라 할만한건 스태미나 최대치 업(9), VP 회복 아이템 효과 업(4), 무기 숙련도 상승량 업(3) 정도.
(무기 숙련도 상승량 업은 무기 숙련도 다채우면 빼게 됨)
그 다음 순으로는 장비조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1순위(선택). 사격 성능 업(5), 근접 격투 성능 업(5), 최대 아우터 HP 업(8), 펨토 효율업(7), 긴급 회피 강화(1), 펨토 회복량 업(3)
2순위(선택). 기동 관련 스킬들(점프 성능 업, 지상 부스트 속도 업 등)
나머지는 취향 껏.
초반에 '폐품 획득량 업'을 빨리 얻으면 좋긴 한데
폐품은 시설 개발 및 보급기지 레벨 업그레이드 외엔 쓸일이 없고 결국 남아도는 자원이 되기 마련인지라
초반에만 필요성이 있을 뿐 나중엔 사용할 일이 없어집니다.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1.png](https://i2.ruliweb.com/img/25/09/06/1991d31b2a5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2.png](https://i3.ruliweb.com/img/25/09/06/1991d323fc4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3.png](https://i1.ruliweb.com/img/25/09/08/19926df3f98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4.png](https://i1.ruliweb.com/img/25/09/08/19926df64a8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5.png](https://i2.ruliweb.com/img/25/09/06/1991d51bb3b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6.png](https://i3.ruliweb.com/img/25/09/06/1991d526a9d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7.png](https://i2.ruliweb.com/img/25/09/06/1991d5b59be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8.png](https://i2.ruliweb.com/img/25/09/06/1991d574d1a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9.png](https://i1.ruliweb.com/img/25/09/06/1991d5e66124191ba.png)
![[데몬 엑스 마키나 타이타닉 사이언] 이런저런 팁(내용 추가)_10.png](https://i1.ruliweb.com/img/25/09/06/1991d5819bc4191ba.png)
(IP보기클릭)1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