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확인
- 개요를 잘 활용할줄 알아야한다.
- 개요에서 (쿠데타)위험도 수준, 수출입 물품 가격, 직업(실업자 및 범죄자 포함), 정치상황, 외교상황 등을 파악할 줄 알아야한다.
* 활용
ㄱ. 수출입 가격 정보를 자세히 보면, 사실 라마의 털이 쇠고기와 가격차이가 별로 안나거나 더 비싼 경우가 있다.
ㄴ. 농산물 중에 가격이 높은 농산물을 위주로 농장을 세워야 돈이 들어온다.
ㄷ. 실업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현상이다.
실업자 -> 범죄자 -> 반역자 (꼭 이런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비례한다고 보면 된다. 실업자가 많아지면 범죄자수도 많아지고, 범죄자 수가 많아지면 반역자 수도 증가한다.)
2. 탄탄한 자원생산
- 산업시설을 활용한 생산은, 노동력 및 생산 후 판매까지의 기간을 고려하면, 초기 벨런스 유지가 어려운 편이다.
때문에 1차 직종을 어느정도 개발하는 것이 안정성에 도움이 된다.
- 수출가격을 보고 괜찮은 농산물에 투자. 혹은 광산 등을 개발해주자.
(자원현황을 볼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것을 적극활용하여 게임이 시작함과 동시에 광산의 위치, 농산물에 적합한 토지 현황 등을 확인하자.)
3. 고학력 노동력 확보
- 사실 처음부터 공장직을 생생하게 돌리긴 힘들것이다. 1~2개 정도는 노동력을 사와서 가동시킬 수 있으나 그 이상은 무리다.
- 1차 산업(자원생산 및 농산물)이 어느정도 탄탄해지면 생산시설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혹은 주기적인 수입이 어느정도 된다면)
- 노동력 확보의 시작은 학교 생산에 있다. 고졸자는 고등학교, 대졸자는 대학교.
중요한 것은 '시민들이 교육에 관심'이다.
만약에 고졸자를 채용하는 직업이 적다면 고등학교에 입학하려는 학생 수가 매우 적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졸업생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졸업생을 필요로 하는 (채용에 여유가 있는)관련 시설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졸업생을 빠르게 내기 위해서는, '문맹퇴치' or 아케데미에서 '교육연구'를 해주면 좀 더 빠르게 졸업하는 것 같다.
4. 추천 개발전략
# 초반
- 1차 산업
주변 광산 개발, 비싼 농수산물 생산.
소련의 개발지원으로 값싼 공동주택 개발.
- 석유공장
안정적인 1차 산업기반이 다져지면, 바다 속의 석유매장지가 있는 곳, 근처에 석유공장 설립.(4000 15000)
외국노동자 대학생 1~2명 사온 뒤, 수입을 허가. (자원 적재량이 1000을 넘는다면 수입을 금지해도 좋다.)
- 석유공장이 여유치 않으면, 생산시설 1개.
초반에는 적게 짓는 것이 좋다. 고졸자 관련 시설물이 지어지면, 공장직 인원들은 이직을 할 가능성이 높다.(공장은 노동환경이 낮음)
즉, 초기에 생생히 돌아가다가도, 다른 직장으로 이직하여, 공장의 노동력이 반이하로 뚝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p.s.재료를 꼭 생산해낼 필요는 없다. 수입을 허가해주어 생산을 해도 수익에는 큰 문제가 없다.)
# 중반 ~
- 교육시설물 건축. 고등학교 1~2개, 대학교 1개.
- '문맹퇴치' 선언.
- 고졸생을 늘리기 위해, 고졸자 채용관련 시설물을 꼭 여유분으로 지어두자.
(만약에 고졸자를 채용하는 직업이 적다면 고등학교에 입학하려는 학생 수가 매우 적음을 볼 수 있다.)
- 고졸자의 안정적인 공급이 이뤄진다면, 공장을 지어준다.
- 개요를 잘 확인하여, 실업자가 발생시, 다시 1차 산업에 투자해준다. 실업자 수보다 조금 더 많게 일자리를 창출해준다.
(IP보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