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9일부터 26일까지,
대결전 시즌 20, 비나 야전이 개최됩니다.
3개 속성은 탄력장갑 / 특수장갑 / 경장갑이며
토먼트 속성은 경장갑입니다.
비나는 대결전으로 자주 나오는 편인데
이번에는 경장갑이 토먼트 타입으로 지정이 됐습니다.
아무래도 비나가 정직한 플레이가 가능한 만큼
조합 구성이나 기믹에서 스트레스 받을 일은 거의 없지만
인플레 영향으로 크리나 안정치에서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 시즌의 조합은 어떨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탄력장갑 (+리오 메타 설명)
야전 탄력장갑이라면 빠짐없이 나오는 메도리는
이번에도 역시나 출전하게 됩니다.
우선 비나전에 처음 나오는 리오 이야기를 잠시 해보자면,
리오의 기본스킬은 25.5% 방깎을 가지고 있는데
아카네, 수칸나를 붙이면 63.2 or 73.3%의 방깎이 적용되며,
비록 수치가 마키에 미치지는 못하긴 하지만
디버프 최대 수치인 80%에 근접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서브스킬 방깎이 있는 무시노를 탱커로 사용한다면
디버프 최대 수치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데,
무시노가 역상성이라 못 버틸 것처럼 보이지만
인세인 이하는 레이저의 장판딜이 없어서 생존에 큰 지장이 없습니다.
최근 일섭 비나에서는 플레이 템포가 매우 빨라지면서
아예 토먼트도 메인탱을 하는 중입니다.
진동의 경우 리오와 안겹치는 방깎인 수나코도 있기 때문에
방깎 선택지가 비교적 더 많은 편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리오의 방깎이 1스라는 점과
비나의 클리어 속도가 빨라지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EX 방깎 + 리오 + 기타 방깎 1명 사용이 많아지고
속성, 난이도를 불문하고 마키의 선택률이 현저히 낮아집니다.
비나의 단짝 마키도 이젠 옛말이 되어가고 있네요.
아무튼 방깎 구성의 변화와는 상관 없이
메도리는 메도리 나름대로 힘을 내주어야 합니다.
결국 모두가 같은 방깎, 같은 버프를 걸어줄 수 있는 상황이면
크리와 안정치를 통해 순위가 결정됩니다.
참고로 EX 방깎은 지속시간이 더 긴 아카네가 추천됩니다.
메도리의 경우 EX 2회 12타를 전부 크리, 최대급 안정치라면
이론상 바로 클리어가 가능한데, 확률이 극히 낮기 때문에
추가 손패를 굴려 메도리를 한번 더 쓰거나
수나코로 마무리 하는 식으로 끝내는 게 일반적입니다.
저번 시가전 때처럼 수나코 메인딜도 가능합니다.
수나코의 야전 적성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클리어가 충분히 가능하지만 고점을 찍기는 어렵습니다.
점수 생각을 안한다면 메모이도 가능한데
이 때는 방깎을 수로코로 대체할 수 있으며
크리리트에 대한 부담이 적어 편하게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특수장갑
특장에서는 지형 접대를 받는 쿠로코가 메인딜입니다.
앞서 리오로 인한 방깎 구성 변화를 생각해보시면
특장 사용 1위 조합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위의 메모이 조합과 마찬가지로 수로코로 방깎을 합니다.
이상적인 결과는 쿠로코 1스 3회 크리로 끝나는 것입니다.
끝나지 않는다면 2페이즈에서 EX를 한번 더 쓰고 끝냅니다.
리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키와 리오를 같이 사용할 수도 있지만 1스가 겹치므로
드아루가 있다면 마키보다는 드아루가 낫습니다.
그 외로 히나타나 메리스 같은 사용 사례도 있기는 하나
굳이 쓸 필요는 없고, 색다른 플레이를 하려면 할 수는 있습니다.
경장갑
경장갑 토먼트 이하는 밸런스가 망가져
순수하게 드히나 크리리트로 순위가 결정됩니다.
아시다시피 비나는 상시 안정치 감소 디버프가 있지만
드히나는 EX 사용 시 안정치가 항상 최대가 되므로
안정치의 변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거기다 드히나는 자체적인 방어관통 수치를 보유하고 있어
수칸나, 리오 외의 방깎 요원도 그다지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시노를 기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그렇다면 결론은 그냥 드히나의 크리에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리오를 사용하는 1번 조합의 경우
공증+특효+EX뎀증+치뎀증을 모두 갖출 수 있으므로
고방어력인 비나 상대로도 고점이 하늘을 돌파하며
토먼트를 1분 30초 내외로 침몰시킬 수 있습니다.
택틱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아예 2-3페이즈를 보지 않고
1페이즈를 그로기로 끌면서 승부를 내는 것이 일반적인 고점입니다.
수칸나 성작은 기본적으로 3성이어도 상관은 없긴 한데
전2처럼 디버프 유지력이 없어 철저한 퍼즈 컨트롤이 필요하고
어쨌든 드히나와 수시노, 리오(전2 권장)가 준비되어 있다면
빌릴 만 한게 수칸나 말고는 없으니 빌려서 쓰는 게 나아보입니다.
안정 지향 택틱(2번 조합)은 조금 시간이 늘어지긴 해도
타임라인만 정확하게 준수하면 클리어는 쉬운데
결국 클리어든 고점이든 천하제일 리트대회를 개최해야 하는게
기믹이 없다시피한 보스의 단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뭐, 다른 보스라고 다르냐 하면 그건 아니지만요.
만약 수칸나를 빌릴 요건이 안된다면
그냥 아카네를 써서도 클리어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당연히 기대딜량이 낮아 시간이 더 끌리기는 하지만
조합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거의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시즌 전망 & 플레이 영상 모음
이번 비나의 경우 내용이 그렇게 길지가 않습니다.
드히나가 예로, 비나 같은 고방어력 보스에 잘 맞기도 하고
리오의 등장, 안정치 변수 제거 등 여러 상황이 합쳐지면서
크리에 따라 모든 것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인세인도 물론 마찬가지고요.
일섭에서 토먼트클은 33254명으로 대결전 역대 최대이며
미래시를 포함해도 이정도 기록은 없습니다.
그만큼 클리어는 쉽고, 고점 경쟁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한섭의 침수는 100% 확정적이며
대결전이긴 하지만 심할 경우 과거 총력전 페로로 야전처럼
토먼트클 17000명 가까이를 달성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토먼트클이 아직 없는 분이라면 이번이 좋은 기회입니다.
[클리어 영상 모음]
youtu.be/RLVIfTbeOTQ?si=8WeUpW_uL8AYNnj5
탄력장갑 메도리 2603
youtu.be/Y5dt_DrsQWI?si=q80vc16c7Dyt_FEH
탄력장갑 메도리 2607
(12타 올크리 + 수나코 2회)
youtu.be/9BF8pSzXI2w?si=l88ZscH2Y0hiA3OY
탄력장갑 메모이 2603
youtu.be/dtLsnrEntP0?si=OtHm3QPYV0wPWBbQ
특수장갑 인세인 2608
youtu.be/o9Sfxh84zjQ?si=W2-fFIU6Ptf9lT8o
경장갑 토먼트 3951
youtu.be/ya7E_LcSBdQ?si=3naCpBMtYGVB139b
경장갑 토먼트 3942 (아카네)
(IP보기클릭)14.56.***.***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10.8.***.***
전1 기록이 있으니 3성도 아마 가능하긴 하겠지만 고점 택틱은 전2가 있어야 편할 듯 합니다 | 25.08.15 13:42 | |
(IP보기클릭)123.212.***.***
(IP보기클릭)11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