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x.com/9to5mac/status/1908287270093766932?s=46
애플은 미국 관세를 우회하기 위해 브라질에서 아이폰 조립을 확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필리페 에스포지토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에 다른 나라에서의 제품 수입에 부과되는 일련의 관세를 발표했는데, 이는 애플과 같은 많은 미국 기업들에게 타격을 줄 것이다 - 왜냐하면 대부분의 제품이 중국에서 왔기 때문이다. 이제 애플은 미국 관세를 우회하기 위해 브라질에서 아이폰의 조립을 확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 같다.
애플, 브라질에서 더 많은 아이폰 조립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은 브라질 잡지 Exame에 애플이 아이폰에 대한 수입 관세를 낮추는 방법으로 브라질에 있는 시설의 용량을 확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Apple은 2011년부터 브라질에서 제품을 조립해 왔습니다. 이 회사는 대만 회사인 Foxconn과 협력하여 상파울루에 시설을 건설했습니다. 그러나 용량이 작기 때문에 브라질에서는 보급형 iPhone과 같은 소수의 제품만 현지 시장에 공급하기 위해 조립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은 가까운 장래에 브라질에서 더 많은 아이폰 모델을 조립하기를 원한다.
"브라질에서 제조를 확장할 가능성은 작년에 기계 및 산업 공정의 업그레이드와 함께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라고 보고서는 말합니다.
브라질 통신 규제 기관인 Anatel은 최근 Apple과 Foxconn Brazil에게 브라질에서 iPhone 16을 조립하는 데 필요한 인증을 부여했습니다. iPhone 13, iPhone 14 및 iPhone 15는 이미 국내에서 조립되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Apple은 또한 브라질에서 처음으로 iPhone 16 Pro 모델을 조립하고 싶어합니다.
애플이 성공한다면, 브라질에서 조립된 아이폰은 현지 수요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미국으로도 수출될 것이다. 애플의 경우, 이로 인해 세금이 상당히 낮아질 것입니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34%의 세금을 부과할 것이다. 전 세계로 수출되는 아이폰을 조립하는 인도는 26%의 관세를 부과했다. 브라질의 경우, 트럼프의 관세는 10%에 불과하다. 대통령은 관세가 미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각 국가가 이미 부과하는 것에 대해 "상회적"이라고 주장한다.
애플의 주가는 새로운 관세가 발표된 이후 이미 10% 이상 급락했다. 그 회사는 지금까지 3000억 달러의 시장 가치를 잃었다. 엔비디아와 같은 다른 미국 회사들도 마찬가지였다. 이 발표로 인해 닌텐도는 이미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을 이유로 미국에서 스위치 2 출시를 보류했다.
(IP보기클릭)118.235.***.***
미국내로 제조공장 옮기라는 압박이었을텐데 결국이렇게 우회하는거지
(IP보기클릭)118.235.***.***
진짜 넘 궁금한점. 도람뿌는 전세계를 등지면서까지 이 악물고 패악질 하는 궁극적인 이유가 뭔가요? 세계 정세 잘 아시는분?
(IP보기클릭)175.126.***.***
미국 정부 부채를 이번에 상환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국채 신규 발행해서 메꾸려고 하는데... 미국 시장이 좋을 때는 안전자산 보다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수요가 몰리니까.. 시장을 조져서 국채를 사게끔 유도하려고 하는 의도가 일부 있다고 분석하는 것을 봤습니다.
(IP보기클릭)59.22.***.***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 치곤 정부 지출이 무지하게 낮아서 50~60% 유지하는데 그게 장점이긴 하지만 이걸 기업과 민간에 떠넘겨서 기업 입장에서도 사업하기 좋은 국가는 아니고 (사업하기 좋진 않은데, 대물림 하기 좋아서 우리나라 대대손손 해먹는 기업들이 미국 안감) 민간도 국가가 노후 책임 안진다는 공감대 있어서 아파트 몰빵에 내 노후 담보도 안되는데 미쳐버린 교육비 지출로 출산을 안하는거지.
(IP보기클릭)59.22.***.***
미국의 천문학적인 정부 부채 때문에 그럼. 일본도 정부세입 대비 250% 부채지만, 미국도 200%가 부채 비율이라 1년 연방 지출의 30% 가까이가 이자비용이라 부담된다고. 일단 돈 만지는 사람들 입장에선 들어오는 돈 보다 이자비용이 저렇게 많아지면 쫄리는게 당연해서 그럼. 그러면 우리나라 IMF 사태처럼 혹독한 구조조정과 증세를 통한 재정 건전화 하면 되는데 증세, 특히 부유층 증세는 죽어도 안한다니까 (당장 럼프가 자산 부유층임), 그리고 오히려 세금은 깎는대니까 답이 있나.
(IP보기클릭)221.149.***.***
(IP보기클릭)118.235.***.***
미국내로 제조공장 옮기라는 압박이었을텐데 결국이렇게 우회하는거지
(IP보기클릭)14.52.***.***
근데 저 트럼프 관세가 국회나 정치인들이 오랜기간 논의해서 법으로 만들어서 수년만에 나오고 이런게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에서 1달만에 쓱싹 계산해서 행정명령으로 부과하는거라서 저렇게 조립공장 파이프라인을 대량 옮기는 정도로 큰 변화를 애플에서 해봤자 한달만에 럼프가 나서서 '브라질 너관세' 시전하면 말짱 헛거이긴 함요. | 25.04.05 17:04 | | |
(IP보기클릭)211.234.***.***
뭐 방법이 없으니 이거라도 하는 거겠지만요 중국 비중 줄이래서 인도 공장 만들었더니만 이렇게 엿먹었으니까요 | 25.04.05 17:13 | | |
(IP보기클릭)125.178.***.***
미국을 제외한 다른나라에 판매하는 아이폰은 그대로 중국 인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미국에 판매하는 아이폰만 브라질에서 생산한다는 생각은 안하나. | 25.04.05 19:21 | | |
(IP보기클릭)125.136.***.***
(IP보기클릭)124.46.***.***
(IP보기클릭)118.235.***.***
진짜 넘 궁금한점. 도람뿌는 전세계를 등지면서까지 이 악물고 패악질 하는 궁극적인 이유가 뭔가요? 세계 정세 잘 아시는분?
(IP보기클릭)175.126.***.***
루리웹-6325347631
미국 정부 부채를 이번에 상환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국채 신규 발행해서 메꾸려고 하는데... 미국 시장이 좋을 때는 안전자산 보다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수요가 몰리니까.. 시장을 조져서 국채를 사게끔 유도하려고 하는 의도가 일부 있다고 분석하는 것을 봤습니다. | 25.04.05 12:17 | | |
(IP보기클릭)59.22.***.***
루리웹-6325347631
미국의 천문학적인 정부 부채 때문에 그럼. 일본도 정부세입 대비 250% 부채지만, 미국도 200%가 부채 비율이라 1년 연방 지출의 30% 가까이가 이자비용이라 부담된다고. 일단 돈 만지는 사람들 입장에선 들어오는 돈 보다 이자비용이 저렇게 많아지면 쫄리는게 당연해서 그럼. 그러면 우리나라 IMF 사태처럼 혹독한 구조조정과 증세를 통한 재정 건전화 하면 되는데 증세, 특히 부유층 증세는 죽어도 안한다니까 (당장 럼프가 자산 부유층임), 그리고 오히려 세금은 깎는대니까 답이 있나. | 25.04.05 14:03 | | |
(IP보기클릭)59.22.***.***
PTLimA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 치곤 정부 지출이 무지하게 낮아서 50~60% 유지하는데 그게 장점이긴 하지만 이걸 기업과 민간에 떠넘겨서 기업 입장에서도 사업하기 좋은 국가는 아니고 (사업하기 좋진 않은데, 대물림 하기 좋아서 우리나라 대대손손 해먹는 기업들이 미국 안감) 민간도 국가가 노후 책임 안진다는 공감대 있어서 아파트 몰빵에 내 노후 담보도 안되는데 미쳐버린 교육비 지출로 출산을 안하는거지. | 25.04.05 14:06 | | |
(IP보기클릭)118.47.***.***
오호 답변 달아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25.04.05 14:24 | | |
(IP보기클릭)21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