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베요네타 오리진: 세레자와 길을 잃은 악마 | 출시일 | 2023년 3월 17일 |
개발사 | 플래티넘 게임즈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
기종 | NS | 등급 | 12세 이용가 |
언어 | 한국어 지원 | 작성자 | DALs |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로 대표되는 ‘스타일리시 액션’ 장르는 과정에 집중한 장르 중 하나입니다. 스타일리시 액션 장르에서는 전투의 승패 자체도 중요하지만 적을 어떻게 쓰러트렸는지가 평가됩니다. 즉 적을 멋지게(?) 쓰러트릴수록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의 아버지인 카미야 히데키는 이후 이런 철학을 계승한 ‘베요네타’ 시리즈를 탄생시켰습니다. 명칭은 ‘논스톱 클라이맥스 액션’으로 변하였지만 근본적으로 스타일리시 액션 장르와 유사한 가치를 추구하는 ‘베요네타’ 시리즈는 ‘데빌 메이 크라이’와는 또 다른 매력을 보여주며 독자적인 팬덤을 형성했죠.
최근 발매된 ‘베요네타 오리진: 세레자와 길을 잃은 악마(이하 ‘베요네타 오리진’)’는 이런 ‘베요네타’ 시리즈의 스핀오프격에 해당하는 작품입니다. 비록 본가 시리즈와 달리 이번 작품은 장르적으로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주인공 베요네타(세레자)의 어린 시절을 다룬 작품이라는 점에서 ‘베요네타’ 시리즈 팬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베요네타’ 시리즈를 플레이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세레자가 베요네타의 본명입니다
색다름과 익숙함 사이의 미묘한 밸런스
감옥에 갇힌 어머니를 만나고 싶었던 소녀 세레자의 꿈속에 그녀에게 어머니를 구할 수 있는 힘을 주겠다는 소년이 나타납니다. 소년은 세레자에게 아발론의 숲으로 오라고 하며 하얀 늑대가 그녀를 안내할 것이라는 말을 남깁니다. 꿈 속의 소년을 만나기 위해 세레자는 그녀의 스승 모르가나가 절대 들어가지 말라고 했던 아발론의 숲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뭔가 수상한데…
‘베요네타 오리진’은 장르적으로 액션 어드벤처에 해당하는 작품이라 게임 플레이 측면에서 기존의 ‘베요네타’ 시리즈와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그러나 이 작품을 플레이하다 보면 이 작품이 확실히 ‘베요네타’ 시리즈 속에 담겨있는 감성들을 품고 있다는 것을 여러 포인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베요네타’ 시리즈의 전투는 아슬아슬한 줄타기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그냥 빠르고 화려한 전투지만 그 전투가 펼쳐지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적의 공격을 타이밍에 맞춰서 피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계속해서 베요네타를 위기 속에 밀어 넣어 공격의 추진력을 얻게 됩니다. 당연히 이런 과정은 플레이어의 컨트롤을 어느 정도 요구하게 됩니다.
‘베요네타’ 시리즈를 해보지 않은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정과 관련된 이야기도 조금 다뤄집니다
이와 달리 ‘베요네타 오리진’은 높은 수준의 컨트롤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술과 버튼 조작이 단순화된 모습을 보여 기존 ‘베요네타’ 시리즈와는 더 거리감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기에 독특한 방식이 결합되며 플레이어가 실제로 느끼는 조작 난이도는 올라갔습니다.
‘베요네타 오리진’에서는 왼쪽 컨트롤러가 세레자에게 할당되고 오른쪽 컨트롤러가 체셔에게 할당되어 있습니다. 이는 1P와 2P를 확실하게 구분한 형태이므로 일반적인 게임이었다면 두 명의 유저가 함께 플레이하는 방식을 취했을 것입니다. 이와 달리 ‘베요네타 오리진’에서는 이 둘의 컨트롤을 한 명의 유저가 하게 됩니다.
액션 어드벤처 장르가 되며 퍼즐 요소도 상당히 강해졌습니다
2인용 게임을 혼자서 플레이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이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 버튼 수가 많아서가 아닙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베요네타 오리진’은 버튼과 기술이 간소화되어서 2인용 게임을 혼자서 플레이할 때처럼 버튼 수의 압박을 느끼지는 않습니다. 그 대신 두 캐릭터를 동시에 컨트롤해야 한다는 특징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습니다.
한정된 시야와 동시 조작이라는 제약은 캐릭터에 대한 게이머의 반응을 느리게 만들어 게임 난이도를 높입니다. 게다가 각각 컨트롤러에 조작과 스킬 모두를 할당한 방식은 왼쪽 손으로 움직이고 오른쪽 손으로 스킬을 쓰는 일반적인 1인용 액션 게임들의 컨트롤의 틀에서 벗어나 있어 익숙하지 않은 조작감을 줍니다.
몬스터 등장 연출이나 미션 등에서도 ‘베요네타’ 시리즈의 느낌을 살리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조작 시스템을 넣어두어 만만치 않은 느낌은 주면서도 여전히 게임 난이도는 콘셉트에 맞춰서 쉽게 조정되었다는 것입니다. ‘베요네타 오리진’는 ‘베요네타’ 시리즈의 주인공 세레자의 견습 마녀 시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당연히 이때 보여주는 그녀의 모습은 능숙하고 여유로운 현재의 모습과 다릅니다. 그녀는 마녀로서 상당히 미숙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런 그녀의 모습은 라이트한 게임 난이도와 잘 어울리는 측면이 있습니다.
실제로 세레자는 전투에서 서포터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실질적인 공격은 체셔가 하며 세레자는 체셔의 회복과 적들을 묶는 역할 정도를 맡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세레자가 반드시 도움을 주어야 하는 일도 있지만 그 순간에도 그녀의 가장 큰 목표는 생존입니다.
세레자의 회복으로 무한 재생(?) 가능한 체셔와 달리 세레자는 한정된 체력이 있어 생존이 전투의 승패와 직결됩니다
명확하게 딜러와 서포터로 구분된 체셔와 세레자의 역할은 단순히 콘셉트를 떠나 게임 조작법과도 잘 맞아 떨어집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레자와 체셔는 각각 왼쪽과 오른쪽 컨트롤러에 해당하며 이는 1인칭 액션 게임에서 일반적으로 이동과 액션을 맡고 있는 부분과 일치합니다.
이런 이유로 언뜻 보기에는 세레자와 체셔의 파트를 각각 왼쪽 컨트롤러와 오른쪽 컨트롤러로 나눈 것은 기존의 조작법을 완전히 벗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존의 조작법에 변주를 준 형태라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색다른 듯 익숙한 조작감이 상당히 놀라웠습니다
콘셉트에 진심인 편
‘베요네타 오리진’은 어린 주인공에게 어울리는 동화책을 게임 콘셉트로 잡은 작품입니다. 동화책을 콘셉트로 잡은 작품들은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 이 작품만큼 콘셉트에 진심인 작품은 그리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베요네타 오리진’은 게임을 처음 켰을 때 나오는 메인 타이틀 화면에서부터 책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게임을 시작하게 되면 이 표지가 넘어가는데, 이는 게임을 시작하는 과정이 마치 동화책 속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는 과정과 동일하다는 것을 표현한 연출입니다.
컨트롤이 어느 정도 필요한 영역도 있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탐험이나 전투와 같은 게임 플레이에서는 다른 액션 어드벤처 장르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지만 스토리 파트로 들어가면 다시 동화책의 감성이 살아나게 됩니다. ‘베요네타 오리진’은 스토리 파트를 책 속 페이지 안에 담아내며 동화책의 감성을 최대한 살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책의 감성은 아니지만 게임 속에서도 동화적인 감성은 남아있습니다. 게임 속 캐릭터 모델링에서부터 무대가 되는 배경까지 동화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습니다. 이때 ‘베요네타 오리진’은 밝고 따뜻한 붉은 색상보다는 조금 어둡지만 신비로운 분위기를 주는 파란 계통의 색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푸른 계통은 ‘베요네타’ 시리즈에서 베요네타가 부리는 악마의 색상이라는 점에서 ‘베요네타’ 시리즈의 느낌을 살리기에 적합했습니다.
세이브 기능은 ‘베요네타 오리진’의 책에 대한 디테일이 살아있는 부분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세이브를 ‘이야기를 기록하기’라고 표현해두고 있으며 이에 맞춰 세레자가 무언가를 기록하는 연출을 보여줍니다. 어떻게 보면 별거 아닌 부분일 수 있지만 저장 기능에서마저 책의 감성을 살려내는 모습은 이 작품이 얼마나 동화라는 콘셉트에 진심인지 느낄 수 있는 지점이었습니다.
이야기를 기록하는 연출은 책의 느낌을 잘 살리고 있습니다
신비로운 숲 속을 헤매다
확실한 콘셉트 속에 ‘베요네타’ 시리즈 특유의 정체성까지 담아낸 ‘베요네타 오리진’은 비록 본편에 해당하는 작품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냥 지나쳐 가기에는 여러모로 아쉬운 스핀오프 작품이었습니다. 물론 이렇게 많은 장점들로 무장한 작품이었지만 ‘베요네타 오리진’이 완벽한 작품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이 작품에도 자잘한 아쉬운 부분들이 존재했는데 그들 중 길 찾기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베요네타 오리진’은 맵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한 작품은 아니었지만 메인 스토리 진행 과정에서 왔던 장소를 다시 방문하는 방식으로 길을 재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스템은 리소스를 아낄 수 있지만 사용 비중이 높아질수록 유저가 길을 잃을 가능성을 높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조작에서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세부 조정을 통해 난이도를 더 낮추는 게 가능합니다
단순히 재사용 비중만 놓고 본다면 ‘베요네타 오리진’의 경우는 그리 높은 편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이 작품에서 길 찾기가 문제가 되었던 것은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신비로운 분위기의 숲이 길 찾기 난이도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작품 내에 등장하는 장소들마다 각각의 특색은 있었습니다. 다만 유사한 느낌을 주는 곳들도 꽤 있었고 어떤 목적지가 아닌 길이 유사했기에 헷갈렸습니다.
다행히도 이 작품은 발자국이라는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메인 스토리 진행을 위해 나아가야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이미 방문했던 장소에서는 이 문제가 완벽히 해결되지 않는 측면도 조금은 있습니다.
사실 메인 스토리 진행만 놓고 본다면 잠시 헤매는 일은 발생할 수 있지만 진행에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신 길 찾기의 진짜 문제는 메인 스토리를 벗어나 수집 요소를 채우는 방향으로 게임 플레이가 흘러갈 때 발생합니다.
체셔와 세레자가 유대감을 쌓는 과정을 보는 것도 이 게임의 재미 중 하나입니다
‘베요네타 오리진’은 메인 스토리 진행 과정에서 체셔는 엘레멘트의 힘을 차례대로 얻게 됩니다. 이 엘레멘트의 힘은 적을 공략하는 과정에서 힘이 되기도 하는 동시에 기존에 가지 못하게 막아둔 길을 여는 열쇠 역할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메인 스토리를 그대로 따라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수집 요소들을 놓치게 됩니다. 참고로 이런 수집 요소들 중에는 세레자와 체셔를 강화하는 아이템도 있습니다.
결국 수집 요소를 채우는 과정은 메인 스토리의 흐름, 즉 발자국의 인도를 벗어난 영역에 해당합니다. 다행히도 수집 요소들은 지도 안에 표시되어 있긴 한데 이상하게도 그걸 찾는 과정이 그리 녹록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어렵게 하는 원인으로 불분명한 지도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제공하는 지도는 길 묘사가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전체 지도부터 높이에 따른 개별 지도까지 나누어서 제공하며 언뜻 보기에 구체적인 것 같지만 막상 통행 가능한 길에 대한 세부적인 묘사는 부족한 편입니다. 이 때문에 지도상으로 봤을 때는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곳이 실제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아 길을 다시 찾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연결된 것처럼 보였는데 아니었던 경우가 있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은 될 수 없겠지만 워프에 해당하는 ‘이그니스의 길 안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위치가 많았다면 수집 요소 탐색이 좀 더 쉬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베요네타 오리진’은 지역 단위로 워프 스팟을 고정하고 있어 길 찾기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스핀오프?
‘베요네타 오리진’은 포지션적으로 스핀오프 작품이라 시리즈의 큰 흐름에서 본다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스토리 측면에서도 세레자의 과거를 그리고 있지만 하나의 해프닝에 가까운 이야기라 꼭 알아야 한다는 느낌은 적은 편입니다.
결말은 조금 호불호가 갈립니다
그럼에도 이 작품이 가지는 가치는 하나 스핀오프 작품 이상이라고 생각됩니다. 꼭 ‘베요네타’ 시리즈의 팬일 필요는 없습니다. 색다른 조작감과 동화 같은 분위기를 느끼고 싶으시다면 ‘베요네타 오리진’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작성 DALs / 편집 안민균 기자(ahnmg@ruliweb.com)
210.94.***.***
장점 : 동화책을 읽는 듯한 컨셉, 세레자와 체셔를 좌/우 따로 조작하는 참신한 조작 방식, 짜릿한 타격감과 박진감 넘치는 전투, 화려한 그래픽, 적절한 난이도 단점 : 의외로 본편 베요네타와 이어지는 스토리나 떡밥이 별로 없고, 지도가 불친절해서 숨겨진 아이템이나 영역을 밝히기가 꽤나 어렵습니다. 전체 볼륨에 비해 가격이 비싼 것도 단점이네요; 개인적으로 비올라가 어떻게 체셔를 만나게(다루게) 되었는지 정도는 나왔으면 좋지 않았을까...
122.202.***.***
222.107.***.***
베요네타 맛은 있는 베요네타(순한맛) 귀여운거, 퍼즐, 수집 좋아하는 분들은 추천 본작의 액션이 500페이지 짜리 장서면 이 작품 액션은 동화책을 100페이지로 늘린 소설책 같은 느낌 개인적으로 맵 구성이나 스토리도 나쁘지 않았고, 본편에 비해서 액션성이 떨어질 뿐이지 액션:퍼즐을 딱 5:5로 맞춘 느낌이 들어서 좋습니다
39.7.***.***
이 아이는 나중에 커서…
14.44.***.***
개인적으로 베요네타 시리즈 중에서 탑임. 무조건 강추함. 특히 영국식 억양을 좋아 하거나 영어공부를 한다거나 아트웍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강추. 물론 게임도 재밌고 스토리도 아주 좋음.
223.39.***.***
210.94.***.***
장점 : 동화책을 읽는 듯한 컨셉, 세레자와 체셔를 좌/우 따로 조작하는 참신한 조작 방식, 짜릿한 타격감과 박진감 넘치는 전투, 화려한 그래픽, 적절한 난이도 단점 : 의외로 본편 베요네타와 이어지는 스토리나 떡밥이 별로 없고, 지도가 불친절해서 숨겨진 아이템이나 영역을 밝히기가 꽤나 어렵습니다. 전체 볼륨에 비해 가격이 비싼 것도 단점이네요; 개인적으로 비올라가 어떻게 체셔를 만나게(다루게) 되었는지 정도는 나왔으면 좋지 않았을까...
14.44.***.***
비올라는 평행세계라서...-.-; 되려 비올라가 체셔를 사용하는 이유? 계기? 같은게 이런 이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 작품에 가깝죠. | 23.04.15 17:00 | |
122.202.***.***
121.165.***.***
1.230.***.***
원래가 엑박용이었던가... | 23.04.23 03:38 | |
59.12.***.***
https://bbs.ruliweb.com/nin/board/300004/read/2273702 황회장님께서 스위치 2 칩 만들어주신다고 했어요 퍼스트파티의 닌텐도가 IP 우려먹어야지 쉽게 버릴리가... 안팔려서 버리는 거면 모를까... | 23.05.22 18:44 | |
222.107.***.***
베요네타 맛은 있는 베요네타(순한맛) 귀여운거, 퍼즐, 수집 좋아하는 분들은 추천 본작의 액션이 500페이지 짜리 장서면 이 작품 액션은 동화책을 100페이지로 늘린 소설책 같은 느낌 개인적으로 맵 구성이나 스토리도 나쁘지 않았고, 본편에 비해서 액션성이 떨어질 뿐이지 액션:퍼즐을 딱 5:5로 맞춘 느낌이 들어서 좋습니다
218.152.***.***
39.7.***.***
이 아이는 나중에 커서…
125.142.***.***
어른이 됩니다. | 23.04.30 22:46 | |
222.112.***.***
| 23.05.09 20:47 | |
222.238.***.***
118.46.***.***
3때부터 뜬금없는 멀티버스 도입해서 스토리가 난잡해져서 스토리관련 관심도가 확떨어짐 | 23.04.17 23:47 | |
14.44.***.***
개인적으로 베요네타 시리즈 중에서 탑임. 무조건 강추함. 특히 영국식 억양을 좋아 하거나 영어공부를 한다거나 아트웍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강추. 물론 게임도 재밌고 스토리도 아주 좋음.
222.238.***.***
이ㅡ뎃글 하나에 구매가봅니다……… | 23.04.18 22:48 | |
14.44.***.***
후회 안 하실겁니다.^^ | 23.04.19 01:16 | |
119.203.***.***
175.208.***.***
14.54.***.***
https://youtu.be/1X31-knTMIc | 23.04.29 14:23 | |
175.208.***.***
오랜만에 보니 또 감동해서 눈물 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그 로고 뜨면서 웅장하게 시작하는 거 처음보고 충격받았던 기억이.. 근데 스팀으로 나왔군요 한번 해봐야 겠네요!! | 23.04.30 01:21 | |
14.54.***.***
얼마전에 한글화도 됬습니다 ^^ | 23.04.30 03:49 | |
61.79.***.***
걸작입니다. 다시해도 재밌죠 | 23.04.30 12:51 | |
49.163.***.***
이거 4 나올라나...겅호에서 판권 비롯한거 다 사간걸로 아는데 | 23.05.04 07:44 | |
14.32.***.***
175.127.***.***
122.44.***.***
59.18.***.***
1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