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cf00\uc774\ud31d","rank":1},{"keyword":"\uc820\ub808\uc2a4","rank":8},{"keyword":"\uc18c\uc8042","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2},{"keyword":"\ub864","rank":2},{"keyword":"\uc6a9\uc0ac","rank":"new"},{"keyword":"\ub2c8\ucf00","rank":9},{"keyword":"\uba85\uc870","rank":-3},{"keyword":"\ub9bc\ubc84\uc2a4","rank":-8},{"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2},{"keyword":"\ub9d0\ub538","rank":-8},{"keyword":"\uc18c\uc804","rank":-1},{"keyword":"\ucf00\ub370\ud5cc","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5},{"keyword":"\uc288\ub85c\ub300","rank":-2},{"keyword":"\uc6d0\uc2e0","rank":-2},{"keyword":"@","rank":-2},{"keyword":"wwe","rank":"new"},{"keyword":"\uac74\ub2f4","rank":-1}]
(IP보기클릭)112.167.***.***
(IP보기클릭)112.167.***.***
배제하고 선택하지 않으시는 게 좋습니다. SSD SSD 의 용량을 댓글에서 지적했던 이유는 가격때문입니다. 1테라, 2테라의 제품이 시장에서 가장 무난한 상황인데 용량대비 가격을 따지면 2테라짜리가 1테라보다 가격적으로 우위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4테라짜리는 1테라짜리의 4배가격, 또는 2테라짜리의 2배가격 정도면 참 좋을텐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더 비싸죠. 물론 컴퓨터에 SSD 를 설치할 수 있는 슬롯이 한정되어 있는 만큼, 정말정말 많은 용량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그만큼 고용량의 SSD 를 많이 다는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용자는 그렇게까지 선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2테라짜리 SSD 하나 정도를 권해드립니다. 4테라 짜리, 달면 좋죠. 정말 예산에 큰 걸림돌이 없다면 쓰셔도 됩니다. 용량을 정말 많이 쓴다. 난 어떻게든 4테라를 쓸 거 같다. 혹은 4테라도 부족할 지도 모른다고 하시면 오히려 2테라짜리는 낭비일 뿐입니다. SSD 는 용량에 어느 정도 여유를 두고 쓰는 것이 권장되는 저장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20% 정도, 적어도 10% 정도는 비워두는 쪽을 권하구요. 용량을 꽉꽉 눌러담아 쓰면 속도저하나 버벅거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정말 4테라라는 용량이 전부 필요한 상황이라면 4테라SSD + 2테라SSD 를 서브로 쓰는 걸 권할 수도 있겠고 그 정도로 많은 용량이 필요하다면 어지간하면 바로 데이터를 땡겨오는 게 필요한 게임용 저장공간이라기보다 동영상 등의 단순저장공간일 가능성이 높은데, 그 경우에는 차라리 윈도우&게임설치용 2테라 SSD 와 동영상 단순저장용의 하드디스크를 쓰는 쪽이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저장장치는 현재 가성비적인 측면에서는 WD sn850x 삼성 pm9a1 솔리다임 p44프로 를 무난히 권해드립니다. 왜 이 제품들인지는 제가 아래에 신성조 채널을 링크걸어 드릴텐데 거기서 ssd 검색해서 나오는 품질비교 영상을 시청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케이스 꼴리는대로 쓰십쇼. 솔직히 직접 조립할거면 싸구려 케이스 가지고 낑낑거리느니 마감도 좋고 조립편의성도 잘 되어있는 6~7만원 혹은 그 이상체급의 케이스를 선택해도 되는데 내가 조립 직접 안 할 생각이면 4만원대 싼거 써도 무방합니다. 케이스는 컴퓨터의 외형을 신경쓰는 분들이 특히 많이 고민하시고 돈도 많이 쓰시는 제품인데, 컴퓨터의 외형을 신경쓰지 않고 컴퓨터를 책상 아래쪽에 쳐박아두겠다면 사실 별 고민 안 하셔도 됩니다. 반대로 컴퓨터 외형에 신경쓰시겠다고 하시면 케이스는 꽤 신중히 골라야 하구요. 컴퓨터를 구매했을 때에 그게 내 책상 어디쯤 올지를 예상해보시고, 전면패널(전원, USB포트 등) 의 위치가 쓰기 편한 곳에 있는지도 고려하세요. | 25.07.28 00:45 | |
(IP보기클릭)112.167.***.***
파워 CPU 와 그래픽카드가 전기를 쳐먹는 주범이고, 이들의 체급에 따라 어느 수준의 파워를 써야할 지가 사실상 결정됩니다. 7800x3d 와 5070 급의 조합이면, 당장의 조합만 놓고 보자면 700w~750 급의 파워로도 문제가 없습니다. 파워는 성능에 직결된 물건이 아니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이고, 안정성은 제조사가 늘어놓는 화려한 스펙으로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다나와 확인하시고 댓글/리뷰 가장 많고 무난한 제품 선택하세요. 이 체급에서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50W 80PLUS스탠다드 ATX3.1 정도면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돌아가서 모니터 이야기. QHD 75hz 는 현 시점에서는 되게 애매한 스펙입니다. 보통은 게임좀 한다 하면 100hz 이상의 모니터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빠른 반응성을 요구하는 게임들(총쏘는 게임이나 롤이나 기타등등등 경쟁형 게임들) 주로 한다면 180hz 이상도 많이들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래픽카드를 보는 일반적인 눈도 거기에 맞춰져 있습니다. 60프레임이 보통은 게임을 원활하게 돌아간다고 보는 최하기준입니다. 다만 콘솔기기들과는 달리 PC 는 상황에 따라 프레임의 상하 요동이 좀 더 심한 편이고 평균프레임을 60으로 보느냐, 하위1% 프레임을 60 으로 보느냐, 또는 아예 기준을 높게 잡고 평프나 하위프레임을 100 언저리로 잡고 보느냐에 따라 선택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5070 은 QHD 에서 대부분의 3D 게임들을 상옵 이상에서 100~120프레임은 뽑아줄 수 있는 물건입니다. 모니터로 따지면 차라리 165hz 모니터를 쓰는 게 나은 물건이죠. 그렇다고 그래픽카드 체급을 낮추자니 5060ti 정도가 해당 모니터 환경에는 좀 더 적합할 수 있고 차라리 그래픽타협을 좀 더 본다면 5060 으로도 QHD 75hz 는 커버할 수도 있을겁니다. 근데 가격 대비 성능차이가 너무 심합니다. 5070 은 그래도 전 세대 4070슈퍼와 동급수준의 체급과 가격(현 시장 기준)으로 봐줄만한 수준에 도달했는데 4070 조차 넘지 못하는 5060ti 와 4060ti 만도 못한 5060 을 보고 있고, 얘들 가격이 40만원 50만원 60만원 이따위 하는 꼬라지를 봐서는 내가 이해관계자도 아닌데 (컴팔이가 아니니까) 이 제품들을 선량한 일반인에게 권할 수 있는 시장 상황이 맞는가 하는 자괴감이 올라옵니다. 돈이 없으면 체급을 낮추는게 맞습니다. 근데 작성자님이 돈이 없는게 아니니까, 그럼에도 모니터는 5070 에 맞지는 않으니까 그게 문제인겁니다. 성능적으로는 QHD 75hz 에 5060ti 16기가 정도 권하면 딱 적당하겠는데...이게 그 가격이라고? 이걸 그 가격에 사라고 권하라고? 차라리 5070 가고 말지. 하는 욕지거리가 나오는게 현 상황입니다. | 25.07.28 00:58 | |
(IP보기클릭)112.167.***.***
돈 한 푼이라도 아끼려면 5060ti 16기가 (조금 장기적으로), 5060ti 8기가 (당장 현재만 본다면) 가세요. 근데 가격대비 성능을 따질거면 5070 가는게 맞고 모니터가 5070 이랑 물려 쓰기엔 체급이 좋지 않으니 이 컴퓨터 가지고 오래오래 게임 즐기실거면 모니터도 바꾸시라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제가 견적을 내는 정보의 상당부분은 물론 다양한 유투브 채널을 시청하고 있고, 퀘이사존 쿨앤조이 조드 등의 사이트도 꾸준히 둘러보지만 견적 대부분의 근간을 신성조님의 데이터를 근간으로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2PU2be6axfI 관심있으면 시청하시고, 정 고민되시면 차라리 그대로 카피하세요. 그 어떤 업체에 들고가시건, 어떤 사이트에 문의하시건 신성조 견적이라고 하면 자기 입맛대로 부품 한두개 정도는 건드릴 수 있을지라도 크게 태클걸진 못할겁니다. 지난 댓글에 이어서 다시한번. 가급적 샵다나와 견적보다는 컴퓨존 견적을 이용하실 것을 권합니다. | 25.07.28 01:01 | |
(IP보기클릭)58.233.***.***
아, 컴퓨존 견적을 이용하긴 했는 데, 지인이 샵다나와를 이용해서 견적을 출력해주셨을 뿐인지라, 제가 컴퓨존에서 수동으로 다시 알아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덧글 너무 감사드립니다. 지금 제가 대충 훑어봤는 데, 지난 번 덧글에서도 그리 거칠지 않았다고 생각되고, 도움도 많이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지금 덧글도 훌륭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일단 주신 말씀대로 맞춰보고, 다시 사진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영상도 참고하여서, 차라리 영상대로 하는 게 낫겠다 싶으면 영상대로 짜보겠습니다. 정말 선생님이 도움 많이 주십니다. 정말 장문의 글에 비해서 짧막한 인사 뿐인지라 죄송스러울 따름입니다, 정말 감사드리고, 죄송합니다. | 25.07.28 01:24 | |
(IP보기클릭)221.146.***.***
(IP보기클릭)221.146.***.***
램은 64기가 입니다. | 25.07.28 13:00 | |
(IP보기클릭)58.233.***.***
죄송합니다, 제가 중고품에 대한 병적인 두려움이 있어서요. ㅜㅜ | 25.07.30 0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