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 이어 이번엔 각종 설정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게임의 몇몇 설정들은 분류가 애매하게 되어 중구난방으로 흩어져 있거나 같은 설정이 중복으로 여기저기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어 초보자들에게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것도 쓰다 보니 길어져서 우선은 대분류 정도만 살펴보고 세부 설정은 다음 글로 이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ACCESSIBILITY 항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액세서빌리티에는 게임의 접근성에 대한 항목들이 모여있습니다.
첫번째 항목인 비주얼 액세서빌리티에는 생맹 보정과 게임 화면의 밝기 및 대비조정이 있고 플레이어 인디케이터 및 퍽에 대한 설정이 있습니다.
다른 설정은 다 아실테고 인디케이터와 퍽에 대한 설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Player Name Indicator는 플레이어 커서에 선수 이름을 표시해주는 옵션입니다.
Player Indicator Size는 플레이어 커서의 크기를 선택합니다.
Puck Size는 퍽의 크기를 조정하는 옵션인데 실제 크기/보통/크게 중에서 고를 수 있습니다.
실제 크기는 초보자에게는 너무 작아 위치를 놓치기 쉽기에 보통이나 크게 보기를 추천합니다.
Puck Highlight는 퍽의 그림자의 넓이와 진하기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완전히 끌 수도 있고 실제보다 훨씬 크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게임에서 퍽의 위치를 찾기 힘들다면 퍽 사이즈와 함께 여러가지로 설정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디오 액세서빌리티에는 게임의 오디오 설정들이 모여 있습니다.
컨트롤러 액세서빌리티는 컨트롤러 진동이나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고 특이하게 게임 난이도 설정(...)도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설정을 프리셋으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챗 액세서빌리티에는 온라인에서 상대의 텍스트 챗을 읽어주거나 나의 텍스트 챗을 상대방에게 읽어주는 설정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이어서 세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팅에 들어가면 처음에 살펴보았던 액세서빌리티가 그대로 들어가 있고(...) 여타 다른 분류들이 모여 있습니다.
일단 분류 항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ACCESSIBILITY(액세서빌리티) - 처음 살펴보았던 그것입니다.
QUICK SETTINGS(퀵 세팅) - 제시된 몇가지 설정을 고르면 거기에 맞춰 자동으로 난이도와 세팅을 맞춰줍니다.
GAME SETTINGS(게임 세팅) - 게임 플레이에 대한 설정들이 모여 있습니다.
ON-ICE TRAINER(온 아이스 트레이너) - 패스나 슛 방향 표시 등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보조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 SETTINGS(컨트롤러 세팅) - 컨트롤러 레이아웃을 고르고 살펴볼 수 있습니다. 버튼 커스텀 따위는 없습니다.
RULE(룰) - 오프사이드를 없애버린다던가 하는 하키 룰에 대한 설정이 모여 있습니다.
GAMEPLAY SLIDERS(게임플레이 슬라이더) - 게임 전반에 걸친 세부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건 따로 글을 쓰겠습니다.
ONLINE SETTINGS(온라인 세팅) - 온라인 경기에 대한 설정입니다.
CREDITS(크레디트) - 말 그대로 크레디트입니다.
ENTER CODE(엔터 코드) - 바우처 코드 등을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FAVORITE TEAM(선호하는 팀) - 좋아하는 팀을 골라놓으면 플레이 나우나 연습모드에서 기본으로 그 팀이 선택됩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는 각 세팅의 세부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보기클릭)12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