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하시는 분들께는 좀 용어가 생소한게 많아 적습니다
스테이터스 창 관련
STR->물공 Def->물방 Ats->마공 adf->마방
Dex->명중 agl->회피 spd->턴 오는 속도(높을수록 빨라짐) mov->이동력 rng->무기사정
이 내용은 매뉴얼에도 동일기재고 시리즈 공통이라 보심 됩니다.
이중 명중회피는 몹도 플레이어도 거의 도찐개찐이라 옵션으로 명중+ 회피+퍼센트만 믿고 가시는게 좋고
명중회피는 아츠엔 적용안되는 사항이라 실제로는 물리명중 물리회피로 보는게 맞습니다.
아츠는 별도로 아츠회피+로 적힌 쿼츠나 아이템을 들지 않는 이상 무조건 명중하며, 아츠 반사한다는 표시는 거울표시로 나옵니다.
크래프트는 캐릭터의 고유기술이고 대다수가 딜레이없이 나갑니다. 아츠는 다른 게임의 마법에 해당하는 걸로 좀 특이한데, '구동'하는데 시간이 따로 걸리고 구동 이후 일정한 경직이 걸려 다음 턴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아츠 특화 캐릭터의 관건은 첫번째로 구동시간을 얼마나 줄이는가, 구동후 딜레이를 얼마나 줄이는가로 결정됩니다.(좋은 쿼츠를 많이 얻어야 하니 어느쪽이든 중후반에나 빛을 보게 됩니다)
AT배틀은 게임캐릭터의 순대로 진행되는데, 여기에서 궤적시리즈의 특이함이 나옵니다. 캐릭터의 순 오른쪽에 표기된게 At보너스로, cp나 ep, hp의 일정한 상승이나 공짜 아츠(구동시간 0), 그밖에 여러 다양한 보너스를 줍니다. 그래서 이번작에 크래프트임에도 데미지를 받은 적의 at보너스를 탈취할 수 있는 에스텔의 '염사곤'이 깡패 수준의 강한 힘을 발휘하는 이유입니다. At딜레이 내성이 없는 적을 때리면 순서가 밀려나는데, 다음 차례에 아군이 있을 경우 이 보너스를 빨아먹을수 있습니다.
상태이상 내성이 있는데 상태이상은 이 게임에서 엄청나게 강력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at딜레이나 스탯저하조차 상태이상에 들어갑니다.) 적이 상태이상 내성이 많을수록 적은 강합니다. 공격키 누르고 적을 가리켜 스탯을 보면 상태이상 내성이 표기되어있습니다.
오브먼트를 보면 중앙의 쿼츠가 있는데 가지가 1인 것을 1라인, 그밖에 2라인 3라인이 있습니다. 라인이 적을수록 개방에 쓰이는 자원이 많으나, 1라인의 쿼츠 조합에 따라 쓸수 있는 아츠가 많아지므로 크래프트보다 아츠를 주로 쓸때는 라인이 적으면 적을수록 좋습니다.
그밖에 내용은 매뉴얼 및 팟벤의 공략 게시글 등을 통하면 익숙해지는 시간이 더 빠르실듯 합니다.
스테이터스 창 관련
STR->물공 Def->물방 Ats->마공 adf->마방
Dex->명중 agl->회피 spd->턴 오는 속도(높을수록 빨라짐) mov->이동력 rng->무기사정
이 내용은 매뉴얼에도 동일기재고 시리즈 공통이라 보심 됩니다.
이중 명중회피는 몹도 플레이어도 거의 도찐개찐이라 옵션으로 명중+ 회피+퍼센트만 믿고 가시는게 좋고
명중회피는 아츠엔 적용안되는 사항이라 실제로는 물리명중 물리회피로 보는게 맞습니다.
아츠는 별도로 아츠회피+로 적힌 쿼츠나 아이템을 들지 않는 이상 무조건 명중하며, 아츠 반사한다는 표시는 거울표시로 나옵니다.
크래프트는 캐릭터의 고유기술이고 대다수가 딜레이없이 나갑니다. 아츠는 다른 게임의 마법에 해당하는 걸로 좀 특이한데, '구동'하는데 시간이 따로 걸리고 구동 이후 일정한 경직이 걸려 다음 턴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아츠 특화 캐릭터의 관건은 첫번째로 구동시간을 얼마나 줄이는가, 구동후 딜레이를 얼마나 줄이는가로 결정됩니다.(좋은 쿼츠를 많이 얻어야 하니 어느쪽이든 중후반에나 빛을 보게 됩니다)
AT배틀은 게임캐릭터의 순대로 진행되는데, 여기에서 궤적시리즈의 특이함이 나옵니다. 캐릭터의 순 오른쪽에 표기된게 At보너스로, cp나 ep, hp의 일정한 상승이나 공짜 아츠(구동시간 0), 그밖에 여러 다양한 보너스를 줍니다. 그래서 이번작에 크래프트임에도 데미지를 받은 적의 at보너스를 탈취할 수 있는 에스텔의 '염사곤'이 깡패 수준의 강한 힘을 발휘하는 이유입니다. At딜레이 내성이 없는 적을 때리면 순서가 밀려나는데, 다음 차례에 아군이 있을 경우 이 보너스를 빨아먹을수 있습니다.
상태이상 내성이 있는데 상태이상은 이 게임에서 엄청나게 강력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at딜레이나 스탯저하조차 상태이상에 들어갑니다.) 적이 상태이상 내성이 많을수록 적은 강합니다. 공격키 누르고 적을 가리켜 스탯을 보면 상태이상 내성이 표기되어있습니다.
오브먼트를 보면 중앙의 쿼츠가 있는데 가지가 1인 것을 1라인, 그밖에 2라인 3라인이 있습니다. 라인이 적을수록 개방에 쓰이는 자원이 많으나, 1라인의 쿼츠 조합에 따라 쓸수 있는 아츠가 많아지므로 크래프트보다 아츠를 주로 쓸때는 라인이 적으면 적을수록 좋습니다.
그밖에 내용은 매뉴얼 및 팟벤의 공략 게시글 등을 통하면 익숙해지는 시간이 더 빠르실듯 합니다.
(IP보기클릭)122.40.***.***
(IP보기클릭)211.185.***.***
아츠를 잘 안쓰는 편이라 관심을 잘 안가지긴 했네요.. 실펜가드같은 사기성 아츠나 에어리얼, 버프기 위주로 운용한지라; 범위기의 경우 구동을 극한으로 짧게 잡거나 에어리얼같은 광역기 아니면 범위잡기가 힘들더라고요 자폭몹들 상대로 자주 쓰긴 했습니다 | 25.11.26 23: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