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평점 :
0 더보기 +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건담 마크투는 양산하기 힘들었나요. [11]


profile_image


(100985)
0 | 11 | 2530 | 비추력 10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1
1
 댓글


(IP보기클릭).***.***

마크투에서 나온 기술을 이후 기체 설계에 응용했죠. 현실세계에서 그냥 전자기기의 똑같은 카피머신 만드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중국제 물품들 보세요-_-;;;) 하물며 로못은 어떻겠어요.
11.09.23 19:07

(IP보기클릭).***.***

그렇다면 티탄즈는 어째서 다시만들지 안았을까요.설계도가 있었을턴데.잘하면 에우고건담마크투 1대vs 티탄즈 건담마크투여러대가 싸우는 장면이 나왔을지도 모르는데
11.09.23 19:26

(IP보기클릭).***.***

티탄즈에서는 가동테스트중발생한 사고와 신소재개발의 지연을 이유로 양산화계획을 보류했다고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그리프스전역말기에 mk2를 양산화한 바잠이 등장합니다.
11.09.23 19:36

(IP보기클릭).***.***

건담 마크2 양산되었습니다. 건담 마크2의 프레임에 릭디아스의 장갑 소재인 건다리움 감마를 적용해서 만든게 바로 제타 건담이고, 제타 플러스, 리가즈이, 리젤 순으로 양산되게 됩니다. 티탄즈에선 장갑재가 후져서, 건담 마크2를 양산하는 것은 곤란했고, 역시 장갑재를 바꿔서 양산한게 바잠입니다.
11.09.23 20:28

(IP보기클릭).***.***

사실 마크투의 양산형은 짐3죠. 형태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바잠은 일부 무장 공유였는데, 그게 와전/확대돼서 마크투의 양산형이 된 케이스.. 이젠 그게 공식 설정이 되어버렸지만, 개인적으로는 참 씁쓸합니다. 바잠은 그 형태만으로도 있어서는 안 되는 MS였거늘;;
11.09.23 21:40

(IP보기클릭).***.***

국지전이 많아서 가변 기체가 유행한 탓도 있겠죠
11.09.24 00:59

(IP보기클릭).***.***

gddvip님/와전, 확대라기 보다는 센티넬에서 그렇게 해석을 해버렸지요. 제타 건담의 바잠과 달리, 완전히 마크2 양산형 컨셉으로 만들어버렸으니까요. 센티넬이 건담 월드에 정식으로 편입되면서 발생한 사태입니다. 제타의 바잠과 센티넬의 바잠은 완전히 다른 기체인데....--;
11.09.24 01:57

(IP보기클릭).***.***

위협v에서 자미토프가 마크2 양산할래 라고 플랜 제시 하는게 바잠이죠.그냥 반다이 쪽에서도 공식설정으로 해버리는듯...
11.09.24 05:31

(IP보기클릭).***.***

바잠 있잖아요 할려고 했는데 이미 덧글들을 다셨군요 ~~
11.09.24 16:05

(IP보기클릭).***.***

사실 같은 무버블 프레임이어서 부품을 공유하며, 무장도 공유하는 양산형 기체로는 네모도 해당됩니다. Z건담 소설판을 보면 건담Mk2를 해체해서 건담 Mk2와 네모의 예비부품으로 쓴 것으로 보이는 부분이 있었던것 같습니다. 반대로 네모의 예비기를 Mk2에 유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구요(네모 부품을 MK2에 유용하는 부분은 아우돔라에 탑재될 당시로 거의 명확한데.. 반대는 정확하지는 않네요..) 설계 사상이나 기본무장 같은 것으로 보아서도 범용기인 네모 쪽이 바잠보다는 Mk2의 양산형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11.09.25 00:10

(IP보기클릭).***.***

네모는 제조처나 등장시기상 마크2와 계보가 직통으로 이어진다고 보기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큽니다. 극장판에선 아예 마크2를 탈취하기도 전부터 등장하고 있을 정도니까요. 그리고 부품공유에 대해 말하자면, 릭디아스와 겔구그(!)도 네모와 공유하는 묘사가 존재합니다. ^^;; 네모에 사용된 무버블프레임은 건담 마크2와 무관한, 델타건담-백식에서 이어지는에우고 독자의 계보라 보는 것이 적절하겠지요. 바잠은 (센티넬에서 추가된 설정과 상관 없이) 건담 마크2에서 쌓인 기술적 노하우를 토대로 만들어진 무버블프레임 MS입니다. 비록 외형이나 설계상 닮은 부분이 없다 하더라도 기술면 내지는 설계사상면에서는 충분히 계보가 이어진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군요. 과연 마크2를 직접 의식해 만들어진 직계자손으로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단지 참고만 한 방계로 해석할 것인지는 어느 쪽이 옳다고 할 것 없이 거기서부터는 받아들이는 사람의 자유로 취급해야겠습니다만, 사실 어떤 방향으로 해석해도 '넓은 의미로서의 양산형'의 범주에는 넣을 수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센티넬에서의 해석도 그럴 듯 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정작 그 작품 내용상에서는 같은 컨셉의 짐3와 동시에 등장하고 있어서 흥이 팍 깨집니다. 한 조상의 두가지 양산형이 동시에 존재한다는건 아무래도 부자연스럽거든요. 서로간에 딱히 컨셉이나 성능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고 말이지요. 애니에서야 짐3는 바잠이 단종된 이후에 등장하니 어떻든 상관 없습니다만..
11.09.25 01:27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기동전사 건담 기렌의 야망 : 액시즈의 위협 V

평점
0
장르
시뮬레이션
한글 지원
미지원


플랫폼
PSP
가격정책
패키지구매
개발사
벡 (Bec)


일정
[출시] 2009.02.28 (PS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