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활성화를 위한 토론 컨텐츠
식은 떡밥 데우기 그 첫번째 주제는 바로..!
유료 마스터링
입니다.
마스터링이라 함은, 말 그대로 해당 세션의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걸 의미합니다.
응? 우리끼리 재밌게 노는데 왜 돈이 필요하죠?
당연히 친구들이 모여서 세션을 하는 데에 돈이 오갈 일은 없겠죠.
간식만 제공해도 마스터 친구는 감동할 겁니다.
어쩌면 그날 간식을 사온 사람의 캐릭터가 죽음에서 부활할지도요!
하지만 저처럼 평소에 혼밥을 즐기는...
이 시국 전부터 거리두기 연습을 해온 모범시민에겐
친구들과 오손도손 모이기란 꿈 같은 일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분들이 시간, 공간적 제약 때문에 온라인으로 파티원을 구합니다.
이때도 여가 시간에 취미 활동을 하는 것이니 거래의 필요성을 느끼진 않습니다.
보통, 인터넷 게시판에 세션 구인글을 올리는 사람은 마스터입니다.
플레이어들이 그 글을 보고 지원을 하여 최소 인원이 모이면 시작하죠.
그런데 하고 싶은 룰 또는 시나리오의 구인글이 안 올라온다면?
최대한 빨리 달려갔는데 모집 마감되었다면?
아 이거 플레이어 수요는 있는데 아무도 마스터를 안 하려고 하네...
마스터를 돈 주고 고용할 순 없을까?
이 떡밥은 이런 의문점에서 출발합니다.
필요한 서비스에 재화를 지불하는 건 일상생활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TRPG는 기본적으로 친한 사람들끼리 모여 부담 없이 즐기는 놀이라는 데에 기반하고,
때문에 돈이 오간다는 것 자체에 거부감을 가지는 것도 당연합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냐하면 그것도 아니고요.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5.png](https://i1.ruliweb.com/img/21/07/21/17ac98515f94ebf44.png)
해외에는 위처럼 생긴 로컬 게임샵에 전문 DM(Professional Dungeon Master)이 있죠.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6.jpg](https://i1.ruliweb.com/img/21/07/21/17ac98b6cbc4ebf44.jpg)
관련 사이트(https://startplaying.games)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마스터에 대한 플레이어의 후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광고 아님!).
온/오프라인 모두 국내 인프라가 전무한 게 현실이긴 하죠.
말이 길었습니다만, 토론 주제는 간단하게 두 마디로 요약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유료 마스터링 시장이 생길 수 있을까?
그러기 위한 선행 과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1.jpg](https://i1.ruliweb.com/img/21/07/21/17ac95eb3b74ebf44.jpg)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2.jpg](https://i3.ruliweb.com/img/21/07/21/17ac96197934ebf44.jpg)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3.jpg](https://i2.ruliweb.com/img/21/07/21/17ac96cedd54ebf44.jpg)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4.jpg](https://i3.ruliweb.com/img/21/07/21/17ac97da81f4ebf44.jpg)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7.png](https://i1.ruliweb.com/img/21/07/21/17ac98cf5904ebf44.png)
![[토론] 식은 떡밥 데우기 1화 - 유료 마스터링._8.png](https://i1.ruliweb.com/img/21/07/21/17ac98d32714ebf44.png)
(IP보기클릭)119.64.***.***
(IP보기클릭)49.142.***.***
(IP보기클릭)49.142.***.***
유료 마스터링 할거면 어지간한 수준은 안된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적어도 orpg는 컴 게임에 가까운 수준, tr도 토큰들에 던전에 별별 장치 다 가져와야 하는 수준은 되야 돈 써도 안 아깝다고 생각할 거 같음. 보통 팀원들이 있으니까... | 21.07.22 00:48 | |
(IP보기클릭)211.36.***.***
국내에 이미 안 좋은 사례가 있는 줄은 몰랐네요. 저희 팀에서도 돌아가며 마스터를 맡으니까 딱히 이런 게 필요하다고 느낀 적은 없었지만, 팀은 없지만, 플레이가 고픈 입문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도 같습니다. | 21.07.22 13:10 | |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211.36.***.***
쫓겨날 수도 있군요... 아무래도 돈이 들어가는 만큼 기대치가 상당한가 봅니다. | 21.07.22 13:23 | |
(IP보기클릭)221.145.***.***
(IP보기클릭)121.136.***.***
사실 그렇죠ㅋㅋ 그래도 트위터 등을 통해 가장 활성화 되어 있는 '크툴루의 부름' 같은 경우는 유료 마스터링(키퍼링) 수요가 있는 모양입니다. | 21.07.22 13:25 | |
(IP보기클릭)59.8.***.***
(IP보기클릭)211.36.***.***
그 정도의 퀄리티라면 기존 팀이 있는 사람도 호기심에 해보고 싶을 것 같아요. 하지만 품이 많이 드는 만큼 고가로 책정되겠죠;; | 21.07.22 13:27 | |
(IP보기클릭)211.104.***.***
(IP보기클릭)1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