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1년 미하일 8세는 콘스탄티노플을 수복하고 본격적인 외부 공세(와 장대한 삽질)을 시작합니다.
그 과정에서 1265년 불가리아에서 콘스탄티노플로 귀환하던 도중 몽골 제국의 주치 울루스를 지배하던 베르케 칸의 기습을 받아 죽음의 위기를 넘기는데(이때 일설에는 만지케르트에 버금가는 졸전이었다 하지만 정면 대결이었던 만지케르트와 기습이었던 베르케의 공격은 비교하기 불공정 하긴 합니다.)
미하일은 몽골과의 격돌 이후, 이들을 아군으로 끌어들이려 모색하게 됩니다.
(아바카 칸에게 시집간 마리아 팔레올로기나)
바로 이들과 결혼 동맹을 맺는것이었는데, 1265년 훌라구 울루스의 훌라구에게 마리아 팔레올로기나를 시집보내려 하지만, 도중 훌라구가 덜컥 죽자 아바카가 대신 혼인하고, 1266년 베르케가 죽자 주치 울루스의 실권자가 된 노가이 칸에게 에우프로시네를 시집보냅니다.(다만 둘 다 사생아를 시집보낸거라고 합니다)
(노가이 칸은 크림 칸국의 시조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멩구티무르를 칸으로 내세우며, 주치 울루스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고, 실제로 주치 울루스를 지배하던 청장 칸국의 칸이었습니다.)
지도만 봐도 짐작가다시피 당시 로마와 몽골의 역량은 수십배, 아니 수백배 차이가 났습니다.
전성기 몽골 제국의 인구는 1억을 넘었고 세계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제국으로 손꼽히는 이들이 사위가 되었으니 얼마나 든든할까요
심지어 이들은 로마가 도움이 필요할때마다 병력지원도 해줬으니 천군만마나 다름없었을겁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들의 도움이 로마를 회생시키진 못했습니다.
다만 이들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건 아니었습니다.아시다시피, 로마의 몰락은 몽골이 막을수 있는 그런게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몽골은 로마와 적극적인 군사동맹을 맺고 군대가 필요할때마다 군을 파견했는데, 거기에 그치지 않고 훌라구 울루스의 아바카 칸은 미하일 8세와 공모해 십자군을 결성하려 했고, 프랑스 왕과 교황에게 원조까지 요청했습니다.(여담이지만 아바카는 나중에 소원대로 9차 십자군에 참여하긴 합니다)
주치 울루스의 경우, 1277년 이바일로가 준동하자 미하일 8세가 노가이 칸에게 원군을 요청했고, 노가이는 수만명의 병력을 이끌고 이바일로를 토벌하러 갔습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바일로는 오랜 시간을 들여 이들을 격파해냈습니다. 하지만 이바일로가 오랜 전쟁으로 인해 기반을 잃고 몰락하고 노가이에게 망명하자, 노가이는 역으로 이바일로를 붙잡아 처형합니다.
그 외에도 미하일 8세 말기 테살리아의 데스포테스인 요안니스 1세 두카스가 반란을 일으키자 수천명의 몽골군을 원조하기도 했습니다.
미하일 8세가 죽고, 안드로니코스 2세가 황제가 되었습니다. 안드로니코스 2세 시기 로마는 결국 미하일 8세가 벌여놓은 일을 감당 못하고 붕괴하고 있었고, 아나톨리아엔 투르크 소국들이 난립하고 있었습니다.
안드로니코스 2세 또한 몽골의 칸들에게 자녀들을 시집보낸건 동일했습니다. 주치 울루스와 훌라구 울루스에게 또 딸을 시집보냈는데 특히 훌라구 울루스 측이 적극적으로 나왔습니다.
안드로니코스 2세가 아나톨리아 베이국들에게 시달릴때, 훌라구 울루스의 올제이투 칸은 무려 4만명의 지원병력을 약속했고, 실제로 3만명의 몽골군을 지원했습니다. 이들은 비티니아 지역의 도시를 공격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위치 보다시피 오스만 공격한겁니다.
다만 유감스럽게도 이 관계는 영원하지 않았습니다.
안드로니코스 3세 시기, 몽골과 로마의 관계는 금이 갑니다.
사실, 훌라구 울루스와는 찰떡궁합이었지만 주치 울루스와는 마냥 그렇진 않았습니다.
특히, 미하일 8세의 사위였던 노가이 칸은 불가리아를 공격하며 종종 로마도 약탈했고, 안드로니코스 2세의 사위들도 로마의 항구를 점령하는 등 로마와 대립각을 보이곤 했습니다.
그리고, 1335년, 훌라구 울루스가 후계 단절로 붕괴하고 맙니다.
주치 울루스는 이에 그치지 않고 1341년 안드로니코스 3세 말년, 콘스탄티노플 침공 계획까지 세우지만 실제로 공격하진 않았습니다.
이후 몽골과 로마의 교류는 딱히 없었습니다. 로마는 요안니스 5세가 즉위하며 장대한 내전과 함께 멸망을 향해갔고 주치 울루스 포함 몽골 제국 전체가 내분과 흑사병이 겹친 크나큰 혼란의 시기를 겪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두 제국의 인연은 끝이 납니다.
+번외, 원나라와의 교류 흔적?
여담이지만, 명사에서 로마인이 원명교체기 혼란과 몽골이 갈고닦았던 실크로드 무역로가 다시 붕괴하자 이도저도 못할때, 명 태조가 "왕조 바뀌었으니 앞으로 사신 나한테 보내셈!"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다만 이때 로마는 요안니스 5세가 말아먹을대로 말아먹어서 사신 보낼 기력도 없었던 상태라 이후 따로 사람을 보내진 않았다 합니다.(이를 보면 해당 로마인도 단순한 행상인은 아니었던걸로 추정됩니다)
이를 보면 원나라 본토와도 어느정도 교류를 했던걸로 추정됩니다.
뭐 실크로드 무역로가 워낙 잘짜여있었고 로마도 몽골 칸국들과 적극적인 관계였으니 본토와도 어느정도 교류는 었겠고
이미 니케아 제국 시절에 카라코룸에 사신을 보낸 전적이 있긴 합니다.











(IP보기클릭)223.62.***.***
_ 잉여잉여칠면조
훌라구 울루스가 하필이면 최고 전성기였던 아부 사이드 칸 사망 이후 후계 단절로 차기 칸들이 1년도 안되어 여러차례 처형되는 혼란기를 겪으며 결국 붕괴했습니다. 사산조의 붕괴를 보는듯 하군요 주치 울루스 또한 공위시대와 흑사병을 후드려 맞고 차가타이 또한 30년 넘는 공위시대를 겪고, 원나라 본토는 공위시대의 위기는 넘겼지만 36년 재위한 최장수 황제 토곤 테무르(드라마 기황후의 남주 타환 맞습니다)의 실정과 흑사병, 실크로드 무역로 붕괴로 인한 경제 파탄으로 혼란기를 겪으며 결국 명나라에게 중원을 내주고 맙니다. 이제보니 몽골 제국 전체가 14세기 공위시대의 위기와 흑사병의 창궐을 겪었군요 어찌보면 로마의 생존과 별개로 몽골의 붕괴는 필연이었다 봅니다. 로마는 투르크 중시조인 "그 새1끼"에게 책임전가라도 가능하지 말년의 몽골은 뭐 따질게 한두개가 아니네요 | 22.05.23 20:37 | |
(IP보기클릭)223.62.***.***
_ 잉여잉여칠면조
쿠빌라이 부터 시작된 카이두와 칸국들의 난이 쿨루크 대에 수습되었지만 쿨루크도 단명하고 이후론 공위시대에 휘말리며 10대 가까히 황제가 갈려나갔죠 오죽하면 토곤 테무르 재위 기간이 쿠빌라이 제외 나머지 황제 재위 합한것보다 많을정도 | 22.05.23 20:57 | |
(IP보기클릭)223.62.***.***
_ 잉여잉여칠면조
다만 드라마 기황후 때문인지 토곤 테무르 자체는 유명한듯 합니다 드라마 행적이 딱 로판속의 사랑에 미쳐서 나라 말아먹는 잘생긴 젊은 황제라나... | 22.05.23 20:59 | |
(IP보기클릭)223.38.***.***
_ 잉여잉여칠면조
1. 몽골 제국도 보르지긴 가문(황금씨족)이라는 자격 요건만 충족하면 대칸의 대권에 도전할 자격이 있는데 황금씨족이 하도많다 보니...(반대로 황금씨족이 아니면 아무리 능력 있어도 대칸은 꿈도 못꿉니다. 티무르도 대칸은 커녕 칸도 못하고 에미르에 머물고 에센 타이시도 어거지로 대칸 칭했다 목 날아갔으니...) 2.그래서 그런지 몽골 내부와 몽골 제국사(원나라) 파는 사람, 학자들 사이에선 기황후보다 토곤 테무르가 더 까인다 하더군요, 다만 원 말기는 원체 개판 5분전이라 좀 묻히는거지 기황후도 원나라 몰락의 한 축을 담당한 악녀라는게 중론이긴 합니다. 아무튼 토곤 테무르와 기황후는 엠비씨에게 감사해야 합니다 사실 드라마는 토곤 테무르도 절레절레한 충혜왕도 세탁되었지만... | 22.05.24 17:43 | |
(IP보기클릭)223.38.***.***
_ 잉여잉여칠면조
1. 실제로 몽골 제국 초기 역사를 보면 오고타이계와 주치 계의 갈등, 주치 계의 후원을 받은 툴루이계의 오고타이계 숙청, 툴루이 계와 주치 계의 내전, 툴루이 계 내부의 내전, 툴루이 내전에서 승리한 쿠빌라이계와 오고타이 계+주치 계+차가타이 계의 내전까지 정신없이 싸워댔습니다. 이게 정리되고 나니 쿠빌라이계는 또 궁중암투를 벌이며 공위시대가 터지고 그사이 주치 계와 차가타이 계는 독립하고 페르시아에 자리잡은 툴루이 계(훌라구 계)는 후계 단절로 폭☆8하고... 결국 차가타이 계와 주치 계는 티무르에게 갈려나가 몰락하고 쿠빌라이 계는 주원장에게 털려 몽골 고원으로 밀려났다 툴루이 내전에서 패했던 아리크부카 계에게 축출당하고... 결국 다얀 칸이 집안 정리 하기 전까진 오이라트가 다해먹었습니다. 로마 제국도 기본적으로 권세와 명분이 있으면 언제든 왕조를 갈아치울수 있다보니 내전이 잦았죠 오죽하면 내전을 민속놀이, 전통놀이라 할까... 2. 기황후와 토곤 테무르가 권좌에 앉기 전까지 과정이 드라마틱 하고, 그들의 비참한 과거에는 나름 동정의 여지가 있으며, 기황후가 토곤 테무르의 황후로 간택되었을때 기황후는 23살, 토곤 테무르는 18살밖에 안되고(기황후가 5살 연상입니다.) 망국의 황제 부부인 점을 볼때 여러모로 로맨스 판타지 소재로는 최적화긴 합니다. 심지어 그냥 제국도 아니고 세상에서 가장 거대한 제국이었으니... 다만 적당히 해야지 얘네들 역사적으로 보면 비판점이 한두개가 아니죠 특히 스틸리코 처럼 원나라 살려보겠다고 멱살잡고 캐리하던 토크토아마저 숙청해버렸으니... | 22.05.24 18:16 | |
(IP보기클릭)223.38.***.***
_ 잉여잉여칠면조
로멘스는...잘팔리니까... | 22.05.24 19:4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