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청와대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기로 공식 발표하면서 용산구와 종로구에서 만난 시민들은 5월 이후 바뀔 지역 사회의 모습에 기대와 함께 걱정도 나타냈다.
용산 주민들은 집무실 이전으로 지역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재개발, 상권 변화 등에 관심을 나타냈다.
삼각지역 인근에서 꽃집 겸 카페를 운영 중인 윤모(59)씨는 "유동 인구가 많아질 것 같아 좋지만 5년간 개발이 얼마나 될지, 혼란만 있다가 흐지부지되는 건 아닐지 걱정도 된다"며 "주변 주민과 상인들 반응도 개발에 도움이 되거나 개발이 어려워질 것이란 반응이 엇갈린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대통령 집무실이 옮겨오면 집회·시위로 인한 소란과 교통체증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용산구의 한 아파트에서 5년째 거주 중인 고광성(35)씨는 "너무 빠르게 결정되는 것 같아 걱정"이라며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오면 제일 우려되는 건 집회와 시위라고 했다.
30년 넘게 서울에서 택시를 운행 중인 이정호(74)씨는 "용산은 지금도 출퇴근 시간만 되면 노량진에서부터 엄청나게 막히는 곳"이라며 "외빈이라도 오고 교통이 통제되면 다니기 더 불편해질 것 같다"고 걱정했다.
윤 당선인 약속대로 추가 규제가 없고 '탈권위적' 행보가 실천된다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도 나왔다.
용산구에 5년째 거주하는 이모(60)씨는 "집무실을 옮기면 이 주변 지역이 더 발전할 것 같아 환영"이라며 "교통은 불편해질 수 있겠지만 주변이 좀 더 개발되는데 감수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국방부 인근에서 10년 넘게 사는 김모(32)씨는 "청와대가 구석에 있었는데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으로 나온다는 것 자체가 권위를 내려놓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용산구에서 부동산을 운영하는 50대 A씨는 "집무실 이전과 개발 계획은 별개로 진행돼야 한다"며 "개발, 교통불편에 따른 인센티브, 국민의 품에 공원을 안겨주는 3박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삼각지역 인근 사거리에는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환영' 현수막과 '청와대 용산이전 결사 반대' 현수막이 나란히 내걸리기도 했다.
청와대가 있는 종로구의 주민들은 규제 완화 기대와 '정치 1번지' 자리를 내어 준다는 아쉬운 감정을 내비쳤다.
직장인 이모(26)씨는 "광화문 일대 교통체증이 심한데 (집무실이) 용산으로 옮겨가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점이 기대된다"며 "이왕 추진하기로 했으면 빠르게 옮기는 편이 낫다고 본다"고 했다.
반면 50대 이모씨는 "소통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현재 집무실에서도 가능한 것 아닌가"라며 "청와대가 있다는 것만으로 광화문과 종로가 상징적 의미가 컸는데, 옮겨가게 되면 그 의미가 퇴색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