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9600X RX 9060 XT 견적입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11]


profile_image


(2451397)
0 | 11 | 349 | 비추력 10490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1
1
 댓글


(IP보기클릭)39.116.***.***


9060xt는 16g모델이랑 성능차이가 큽니다. 5060이랑 래스터성능만 비슷하고, rt성능이나 각종작업성능은 오히려 5060보다도 크게 떨어지니 주의하셔야합니다.
25.08.30 10:19

(IP보기클릭)39.116.***.***

crocss01

또한, 16g모델과 달리 8g모델은 pcie 버전에 따른 성능차이가 큰편입니다. 반드시 pcie 5.0지원하는 메인보드 쓰셔야합니다. 5060ti 8g도 그런데, 오히려 5060은 pcie 버전에 따른 성능하락이 적습니다. | 25.08.30 10:21 | |

(IP보기클릭)118.235.***.***

crocss01
16gb짜리 그래픽은 상당히 값비싸네요.. 흠.... 그래픽카드는 8gb로 하는걸로 하고 메인보드를 b850으로 바꿔야 겠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 25.08.30 10:32 | |

(IP보기클릭)119.71.***.***

9천대 오버가 잘 안먹어서 메모리 오버만 하신다는 건가요...? 보통은 조용하게 쓴다고 언더볼팅해서 씁니다. 언더볼팅해도 충분히 빠릅니다. 고사양 게임 1-2프레임에 목숨거는것도 아닌데 굳이 오버까지 해서 쓰실 이유가... 파워는 용량높다고 전기세 많이 나오는건 아니고 풀로 뽑아쓰면 발열도 엄청납니다. 그래서 용량 큰 쪽이 유리합니다. 그리고 80+ 만 달려있음 됩니다. 브론즈니 골드니 등급 붙어봤자 몇% 차이 안남 하루종일 켜둘 것도 아니고... m2는 나누지 말고 그냥 쓰세요... 예전에 디스크조각모음 시간이 너무오래 걸려서 나누던거지 요즘은 의미없고 나누면 인덱스 영역이 늘어난단 얘기라 전체 용량에선 손해를 봅니다.
25.08.30 11:11

(IP보기클릭)118.235.***.***

dix
현재도 fps는 7~80만 니와도 불편함 없이 하는데 굳이 램오버를 할 필요가 없군요 그럼 램을 다른 것으로 바꾸고 파워는 700w로 바꾸는고 m.2는 그대로 사용해야 겠네요. 그리고 m.2는 예산에 맞으면 차라리 용량을 큰걸로 바꾼게 좋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25.08.30 11:34 | |

(IP보기클릭)118.235.***.***

dix
죄송하지만 한가지만 더 물어볼게요 언더볼팅이 무엇인가요? | 25.08.30 11:45 | |

(IP보기클릭)119.71.***.***

커스타드맛 커스타드
오버는 전압 더 주고 클럭 높인단 의미고 언더볼팅은 기본클럭을 전압 낮춰 쓴단 얘기입니다. 라이젠 쓰면 razen master 라는 프로그램을 초반에 열심히 파게되실텐데 -10 ~ -20 정도는 무리없이 잘 먹힙니다. | 25.08.30 11:50 | |

(IP보기클릭)112.167.***.***

1. 서린이 유통 판매하고 있는 램은 서린에 직접 물어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 CPU, 이 보드를 서린이 판매하고 있는 이 램과 같이 쓰려고 하는데 아무 문제 없을까요? 하고 물어보면 됩니다. 서린이 이걸 굉장히 친절하게 잘 안내해주는 거로 램 유통 쪽에서 인지도를 높히고 있으니 장점을 써먹는 게 좋겠죠. 2. 위에 답변 잘 해주신 분이 있어서 패스 3. 600w 로도 문제가 생길 수준은 아닌데 게임 목적의 컴퓨터고 추후 그래픽카드를 교체하게 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존재한다면 700w 브론즈급 (제조사에 따라 6~8만원선) 을 사용하시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4. ssd 는 파티션을 나누지 않는 쪽을 권장합니다. ssd 는 최대 용량에 근접할 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가능하다면 최대치의 7~80% 를 넘지 않는 선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스팀의 고용량 AAA게임 같은 쪽을 즐기신다면 1테라는 용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2테라 ssd 를 구매하는 쪽을 권장하며 만약 본인의 컴 관리 스타일상 윈도우 설치 되어 있는 파티션과 게임 설치 파티션을 분리하는 쪽을 원하신다면 개인적으로는 그리 추천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1테라짜리 두개를 사서 하나는 OS용으로, 하나는 게임설치용으로 쓰시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25.08.30 12:14

(IP보기클릭)122.40.***.***

작성자님 글을 보니, 가성비 속에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세팅을 고민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그 관점에서 몇 가지 조언을 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fhd는 끝 물 사실상 게임용으로는 최하의 옵션이고, 제품들도 이젠 찾지않는 적어도 게임용이라면서 fhd라면 찾는 사람이 없는게 fhd인데, 그걸 계속 쓸거란 보장은 없죠 지금 당장 모니터 고장나서 새로산다면 또 fhd사실 건가요? 아니죠 보통 qhd부터 바라볼게 뻔합니다 적어도 게임하려면 아무리 가성비에 효율을 따져서 그런 욕심은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vram 12이상을 보시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AMD 업그레이드 효율 AMD는 소켓 호환성과 사후 지원이 좋아 가성비 면에서 유리합니다. 다만 구세대 보드가 최신 CPU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업그레이드 시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A320 보드는 5600까지는 지원했지만, 7500F 이상은 불가능합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메인보드는 조금 투자해서 최신 칩셋으로 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율적입니다. VRAM의 중요성 당장은 8GB로도 충분해 보일 수 있지만, 최신 AAA 게임은 이미 10~12GB VRAM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해상도를 올리거나 옵션을 조금만 높이거나, FHD에서도 144Hz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다 보면 VRAM 사용량이 빠르게 늘어납니다. 부족해지면 바로 스터터링이나 프레임 드랍으로 이어지죠. 여기에 더해, 하드웨어 성능 향상 속도가 예전에 비해 눈에 띄게 둔화되면서 소프트웨어 최적화나 새로운 기술(업스케일링, 레이트레이싱 등)로 성능을 보완하는 추세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기술들은 대부분 VRAM 사용량을 더 늘리는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지금보다 더 많은 VRAM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흐름을 고려하면, 12GB 이상, 가능하다면 16GB VRAM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가장 안정적이고, 추가 업그레이드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 파워는 여유 있게 파워와 램은 “여유 있게 사두면 손해 볼 일 없는” 부품입니다. 지금 필요한 용량에 맞추면 나중에 업그레이드 시 교체해야 하므로 오히려 비용이 늘어납니다. CPU·GPU를 상위 모델로 바꿨을 때도 커버할 수 있도록, 용량이 넉넉하고 효율 좋은 최신 파워를 준비해 두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의 성능둔화를 소모전력을 더 먹여 향상 시키는 지금의 추세는 아마 뭔가의 특이점을 맞이하지 않는 이상 유지될거라 보는 게 맞습니다 - 정리하자면, 지금 당장은 부담스러워 보여도 보드·파워·VRAM에 초기에 투자해 두면 장기적으로 업그레이드 비용을 줄이고, 만족스럽게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VRAM은 앞으로의 소프트웨어·신기술 추세까지 고려했을 때, 가장 확실히 미래 가치를 보장하는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암드 보드에서는 이게 정말 큽니다 사후지원을 잘해주는 회사다보니 최신보
25.08.30 12:25

(IP보기클릭)122.40.***.***

그냥별일없이산다
최신보드에 투자하는 돈이 아깝지 않습니다 | 25.08.30 12:27 | |

(IP보기클릭)223.39.***.***

파워를 이번 컴터에만 쓰실거면 700w정도로 맞춰서 쓰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추후에 파워를 재사용실 생각이 있으시면 좀더 상위 브랜드에 800~1000w 정도로 맞추는걸 추천해드려요 개인편차가 크긴하지만 2~3년 정도 지나시면 쓰시는 도중에 파워가 죽는 경우도 생길수있습니다
25.08.30 12:31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412680 질문 커스타드맛 커스타드 349 10:06
412678 잡담 루리웹-6491985520 204 2025.08.28
412675 질문 바타바타 599 2025.08.27
412674 잡담 게임왕 364 2025.08.27
412673 견적 너와같은사람중에하나 346 2025.08.27
412670 견적 AnaKisT 303 2025.08.26
412669 사용기 바람처럼 350 2025.08.25
412668 잡담 게임왕 255 2025.08.25
412667 잡담 오래양 317 2025.08.25
412666 견적 루리웹-와까랑 298 2025.08.24
412665 잡담 군주 알라라크 380 2025.08.24
412664 견적 게임왕 366 2025.08.24
412662 질문 루리웹-4808055476 594 2025.08.23
412661 잡담 로드브리티쉬 1 363 2025.08.23
412659 질문 날로먹짱 633 2025.08.22
412657 갤러리 Hoonn 1 699 2025.08.20
412653 질문 Xpeed!~ZZ 1 676 2025.08.19
412652 잡담 골드매니져 1288 2025.08.19
412649 잡담 루리웹-5449425061 760 2025.08.18
412648 견적 내심장의색깔은 BLA€K 1 832 2025.08.18
412647 질문 데이비드비숍 688 2025.08.17
412645 잡담 노노미의데스머신건 592 2025.08.16
412642 잡담 천게이 733 2025.08.12
412640 잡담 하늘천사 692 2025.08.10
412638 질문 kohplegh 1044 2025.08.09
412637 잡담 로또왕자 1 674 2025.08.09
412636 견적 씨앙쉐 1070 2025.08.07
412635 잡담 Quasar1.1 853 2025.08.06
글쓰기 9289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