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2. 8
20세기 모더니즘 문학의 새 지평을 연 거장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가
조이스 전문가 이종일 교수의 번역으로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으로 출간되었다.
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인 ‘의식의 흐름’ 기법이 극한으로 발휘된 이 작품은
조이스 언어 실험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걸작이다.
이에 문학동네판 『율리시스』는 꼭 필요한 주석만을 엄선하여
소설의 흐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주석은 면주로,
작품의 배경 이해에 도움을 주는 주석은 미주로 처리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완독률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율리시스』는 고대 그리스의 대문호인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를
구성적 틀로 삼고 있으며,
제목 ‘율리시스’ 역시 『오디세이아』의 주인공 ‘오디세우스’의 영어식 이름이다.
조이스는 한 편지에서 『율리시스』 구상의 의도가
“신화를 우리 시대에 맞게 바꾸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오디세이아』가 트로이전쟁을 승리로 이끈 영웅 오디세우스가
고국으로 돌아가는 십여 년에 걸친 대모험을 그리는 데 반해,
『율리시스』는 1904년 6월 16일(‘블룸의 날’) 하루 동안 소외당하는
헝가리계 유대인 리어폴드 블룸이
더블린 시내를 돌아다니며 겪는 사소하고 잡다한 일상사를 다룬다.
이와 같이 두 이야기 사이에는 기본적인 구조적 유사성이 있으나,
영웅과 소시민, 10년과 하루 등
디테일에서 두드러지게 대조적인 양상 또한 존재한다.
조이스는 『오디세이아』 서사시를 구조적 토대로 삼아
자신만의 독창적인 기법으로 새로운 현대의 신화 『율리시스』를 창조해낸 것이다.



(IP보기클릭)61.245.***.***
내용은 몰라도 번역하기 빡쎈 책이란건 아는 책
(IP보기클릭)210.183.***.***
(IP보기클릭)61.245.***.***
내용은 몰라도 번역하기 빡쎈 책이란건 아는 책
(IP보기클릭)183.105.***.***
정보 감사합니다.
(IP보기클릭)223.62.***.***
어릴때 이걸로 먼저보고 재미가 있어서 청소년 문고로 다시 찾아봤었지 ㅋㅋ 주객전도?
(IP보기클릭)223.62.***.***
나중에 원작과 비교해보니 어레인지를 잘했더라... 둘다 명작이었어... | 23.12.07 21:5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