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참고] (장문) 핵잠은 대통령 승인이고 나발이고 미 의회의 특별 허가 없이는 못 만들어 [8]


profile_image_default


(5824907)
31 | 8 | 2083 | 비추력 362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8
1
 댓글


(IP보기클릭)183.105.***.***

BEST
그것도 미국에서 만든다면 미 의회의 승인과 NNPP 승인 허가를 전부 거쳐야함 즉 그냥 한미 원자력 협정으로 저농축이든 고농축이는 확실하게 개정 받아서 한국에서 만드는게 최선이였단 소린대 미국 필리 조선소라는 단서가 달린 이상 건조는 걍 꿈임.
25.10.31 13:05

(IP보기클릭)121.142.***.***

BEST
온갖 편의 다 봐준 AUKUS도 잡음 엄청 나오지 않나? ㅋㅋㅋㅋㅋ
25.10.31 13:08

(IP보기클릭)183.105.***.***

BEST
ㅇㅇ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과 동시에 한국이 핵연료 , 원자로를 직접 개발해서 만들 수 있게 승인 해줬어야 함 근대 개 같은 미국이라는 단서가 달린 순간 핵잠 건조는 커녕 필리조선소에다 NNPP 설비는 건설이나 가능할지 의문임 당장 FCL TS만해도 외국기업의 일체 지분을 인정하지 않고있음.
25.10.31 13:08

(IP보기클릭)211.110.***.***

BEST
아무튼 핵잠 생긴 거니 짬통의 업적이라고? 그런 것들은 고종이 일본에서 중고 화물선에 소구경 함포 몇 문 단 걸 양무호랍시고 바가지 쓰고 사온 것도 근대식 함선을 도입했으니 고종 업적이라고 빨 것들이지.
25.10.31 13:14

(IP보기클릭)223.39.***.***

BEST
탭 바꿔서 베글ㄱㄱ
25.10.31 13:14

(IP보기클릭)221.159.***.***

개발중인 저농축 밀고 나가야지
25.10.31 13:03

(IP보기클릭)183.105.***.***

BEST dhfhapʕ̢·͡˔·Ɂ̡̣
그것도 미국에서 만든다면 미 의회의 승인과 NNPP 승인 허가를 전부 거쳐야함 즉 그냥 한미 원자력 협정으로 저농축이든 고농축이는 확실하게 개정 받아서 한국에서 만드는게 최선이였단 소린대 미국 필리 조선소라는 단서가 달린 이상 건조는 걍 꿈임. | 25.10.31 13:05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83.105.***.***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배임
ㅇㅇ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과 동시에 한국이 핵연료 , 원자로를 직접 개발해서 만들 수 있게 승인 해줬어야 함 근대 개 같은 미국이라는 단서가 달린 순간 핵잠 건조는 커녕 필리조선소에다 NNPP 설비는 건설이나 가능할지 의문임 당장 FCL TS만해도 외국기업의 일체 지분을 인정하지 않고있음. | 25.10.31 13:08 | | |

(IP보기클릭)121.142.***.***

BEST
온갖 편의 다 봐준 AUKUS도 잡음 엄청 나오지 않나? ㅋㅋㅋㅋㅋ
25.10.31 13:08

(IP보기클릭)223.39.***.***

BEST
탭 바꿔서 베글ㄱㄱ
25.10.31 13:14

(IP보기클릭)211.110.***.***

BEST
아무튼 핵잠 생긴 거니 짬통의 업적이라고? 그런 것들은 고종이 일본에서 중고 화물선에 소구경 함포 몇 문 단 걸 양무호랍시고 바가지 쓰고 사온 것도 근대식 함선을 도입했으니 고종 업적이라고 빨 것들이지.
25.10.31 13:14

(IP보기클릭)106.101.***.***

오커스 호주핵잠처럼 지지부진 하진 않겠지만 만드는 주최는 한화오션이고 핵연료나 핵추진계통만 받는다면 호주처럼 질질 끌릴 가능성은 적고 일단 미국내건조 합의를 받냐 못받냐가 중요하겠지 호주는 느림보 미국이 건조해줄게 하니 못가는거고 우리는 한화에서 추진하면 가능성은 있는거고
25.10.31 13:42

(IP보기클릭)183.105.***.***

음료는제로
건조 합의 자체가 난관이기 때문임 호주조차 Atomic Energy Act의 특별 예외 조항을 의회가 신설해서 간신히 도입하는거지만 운영 및 건조를 제외한 기술 , 설비에 대한 접근은 전부 거부 당했음. 그런대 파이브 아이즈도 아닌 우리나라는 호주처럼 특별 조항을 신설 받기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울것이며 무엇보다 한화오션이 필리 조선소에 대한 지분을 전부 포기하거나 미국 법인을 새롭게 만들고 일체의 경영에 손을 떼야만 TCL TS 인증을 신청 할 수 있는 최소치를 충족하는대 문제는 이 인증은 단 한번도 외국기업에게 승인 난 적이없음. 이건 무관용 원칙이라는 이름 하에 단 한번도 어겨진적이 없는 절차들이라 아무리 트럼프라 해도 패스 시켜 줄 수 있는 조항들이 아님. 그래서 전 한국 내 건조를 승인받지 않는 이상 미국에서의 건조는 걍 가능성 없다고 봄. | 25.10.31 13:48 | | |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