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4월 3일 오후 10시 박정희는 특별 담화를 통해 “‘전국민주청년학생연맹’이라는 불법 단체가 반국가적 불순 세력의 배후 조종하에 그들과 결탁하여……”라면서, 이런 ‘불순 세력’을 뿌리 뽑기 위해 긴급 조치 4호를 발동한다고 발표하였다. 그 ‘불순 세력’이 인민 혁명당 재건 위원회였다. 이들은 온갖 고문을 받고 반국가 단체 조직원으로 둔갑되었다. ‘인민 혁명당’이란 명칭도 수사 당국이 붙여준 것이었다. 이 사건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23명이 구속기소 되고 이 중 8명이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된 지 불과 20시간 만에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세계 법학자 협회에서는 이날을 ‘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이름 붙였다.
1998년 ‘인혁당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을 위한 대책위원회’가 발족되었고, 2002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인혁당 사건이 조작되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마침내 2007년 1월 23일 서울중앙지법은 ‘인혁당 재건위’ 사건 관련 사망자 8일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 동아출판 고등학교 한국사.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