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황: 6월에 회계직무를 잡고 취업컨설팅 받았습니다. 회계 사무소 취업목적이고. 또,회계는 최소 1급을 잡는게 좋다고 하셔서요. 그리고 그 이후는 일하면서 세무2급으로 가는식을 제안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공부하는 동안, 바우처 심리상담도 마쳤습니다,
그리고 어김없이 지원하던중 저는 국비로 제안들어온게 있었는데 그게 호텔관리사 교육입니다.
알바문의로 제안을 왔을뿐더러 국비로 공백기 관련이나 해당하는 수업을 제안한 이유가 말을 조리있게 말한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처음에는 할까말까 고민을 했었지만 사무보조로 경력에 도움이 될것 같아 교육을 듣겠다고 신청한뒤 교육을 듣는 중입니다.
교육과정은 2개월로 만일 장점이 된다면 항상 면접에서만 가면 컨설팅을 짧게 받기도 하고 사회경험상 어떤 점에서 눈치를 키울수 있는지 또 공백가 정도로 대처가 가능할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점으로는, 교대근무를 한적이 없고 또 호텔에서는 교대업무가 많기 때문에 컨디션 관리 문제가 고민일것 같습니다.
취업이 힘든 과정에서 경력을 쌓는 겸 가는것도 경험이라 볼수 있을까요?
사무원으로 본다면 사회서비스원으로도 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공부하는 동안, 바우처 심리상담도 마쳤습니다,
그리고 어김없이 지원하던중 저는 국비로 제안들어온게 있었는데 그게 호텔관리사 교육입니다.
알바문의로 제안을 왔을뿐더러 국비로 공백기 관련이나 해당하는 수업을 제안한 이유가 말을 조리있게 말한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처음에는 할까말까 고민을 했었지만 사무보조로 경력에 도움이 될것 같아 교육을 듣겠다고 신청한뒤 교육을 듣는 중입니다.
교육과정은 2개월로 만일 장점이 된다면 항상 면접에서만 가면 컨설팅을 짧게 받기도 하고 사회경험상 어떤 점에서 눈치를 키울수 있는지 또 공백가 정도로 대처가 가능할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점으로는, 교대근무를 한적이 없고 또 호텔에서는 교대업무가 많기 때문에 컨디션 관리 문제가 고민일것 같습니다.
취업이 힘든 과정에서 경력을 쌓는 겸 가는것도 경험이라 볼수 있을까요?
사무원으로 본다면 사회서비스원으로도 봅니다
(IP보기클릭)211.241.***.***
짧게는 1개월도 안되서 퇴사각 잡은 경우도 있는데 저 사람처럼만 안하면 됩니다 진짜로 안되겠는 상황이 아닌 이상은 연단위로 끊는게 일반적이예요
(IP보기클릭)49.172.***.***
없는 것보다는 났겠죠. 근데 1~2년씩 너무 잦으면 안 좋게 봅니다. 3년씩 2번 6년차랑 1년씩 6번 6년차랑 다릅니다.
(IP보기클릭)183.107.***.***
사회 초년생이 아니면 공백보다 더 기피하는게 1,2년짜리 잦은 경력이에요
(IP보기클릭)211.241.***.***
(IP보기클릭)59.22.***.***
호텔쪽에서 말인가요? | 25.10.17 02:15 | |
(IP보기클릭)211.241.***.***
루리웹-286870555245
짧게는 1개월도 안되서 퇴사각 잡은 경우도 있는데 저 사람처럼만 안하면 됩니다 진짜로 안되겠는 상황이 아닌 이상은 연단위로 끊는게 일반적이예요 | 25.10.17 02:24 | |
(IP보기클릭)59.22.***.***
잦은 이직과 사회성 부적이 저한테 해당되는것 같지만 눈치껏 배우면서 키워야 겠네요. 잦은 이직은 타직무랑 다른계열을 말하는 걸까요? 사회성은 키우면 되지만.. 진짜로 안되겠는 상황은 예시적으로 무엇인가요? 병이 들거나 컨디션 관리 실패로 건강이 나빠지던가요? | 25.10.17 02:35 | |
(IP보기클릭)211.234.***.***
저분의 경우는 유독 타인에 대한 공격적인 태도 표출이 더 문제였었습니다 작성자분이 계획하고 생각했던것만큼 직무와의 연관성이 없었다거나 심신의 문제도 예시에 들어갈 수 있겠네요 특히나 정신적으로 힘든거 요즘은 가볍게 보지 않기도 하니까요 | 25.10.17 08:44 | |
(IP보기클릭)59.22.***.***
정신적으로 힘든 점..그렇군요 호텔에서 교대근무러면 오전이랑 저녁 혹은 오전이랑 오후 저녁 각각 파트별로 다르다고 하더군요. Adhd가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고 하던데 오락가락 하는 경우에 수면패턴 문제라던지 컨디션 관리도 있을테고.. 혹은 사람한테 너무 치어서 경험하고 그만두는 경우도 있겠군요 | 25.10.17 09:26 | |
(IP보기클릭)182.31.***.***
(IP보기클릭)211.38.***.***
(IP보기클릭)49.172.***.***
없는 것보다는 났겠죠. 근데 1~2년씩 너무 잦으면 안 좋게 봅니다. 3년씩 2번 6년차랑 1년씩 6번 6년차랑 다릅니다.
(IP보기클릭)59.22.***.***
그렇군요. 그럼 최소 공백기가 없는 곳이나 사회에서 경력으로 인정되는 날짜가 최소 1년은 쌓아야 한다는 게 맞나요? 이직은 자주 안하면 좋겠지만 심신의 문제 예시가 어디까지가 한계로 잡는건지 병원에 가거나 우울증이 도지거나 등의 예시로 가는건지 궁금합니다. | 25.10.17 09:34 | |
(IP보기클릭)49.172.***.***
적어도 1년은 채우는 게 났죠. 그 이하는 경력이라고 쓰면 안 좋게 보죠. 내가 사장이라면 1년마다 회사 바꾸는 사람과 4~5년 오래 다니는 사람이라면 누굴 뽑을까요. 그리고 심적인 문제에 무슨 예시가 있나 싶습니다. 전 번아웃 왔을 떄 경력이니 뭐니 생각 안 하고 그만뒀어요. 내가 미치고 죽겠는데 경력이니 병원이니 뭐니 생각 할 게 있나요. | 25.10.17 09:52 | |
(IP보기클릭)118.235.***.***
하긴 보통 경력은 1년이 최소 채우는게 낫더라고 하더라고요. 심적인 예시는 일단 약은 먹고있는데 잠을 못자서 쓰러진다거나 스트레스로 감기나 입술에 피로함이 보이거나.. 혹은 근무를 할수록 사람이 보기에도 피곤해보이거나 그런 정도라고 생각해요. 번아웃의 경우는 모르겠지만 우울하고 죽고싶다는 경우나 어차피 살아서 나는 사회의 한 폐기물 존재?로 생각하고 꾹 다니거나 그런경우라면요. 1년마다 회사를 바꾼다기 보다는 정신과 체력이 적성에 맞을지랑 이후 서비스와 관련된 일할때도 도움되지 않을까 매치를 시켜보는 과정이라고 봐요. 예시로..객실관리 쪽으로 일하면 이후 환경미화원이나 요양보호사랑 매치?처럼요 회사를 바꾼다기 보다는 직무를 이후 변경해서 이전할 가치를 만들면 되는지는 모르겠지만요 | 25.10.17 12:20 | |
(IP보기클릭)172.224.***.***
(IP보기클릭)183.107.***.***
사회 초년생이 아니면 공백보다 더 기피하는게 1,2년짜리 잦은 경력이에요
(IP보기클릭)118.235.***.***
사회 초년생 기준으로는 회사에 처음 입사한 건지 아니면 20대 초반을 말하는 건지..후자로 말한 건가요? 교육듣고 나면 26살인데..처음은 사무직으로 정하고 공부하다가 교육선생님께 약먹어도 어리바리 잦은 실수 기억력 안 좋음 등의 이유로 몸하고 머리 나쁜 사람들은 객실쪽 추천하던데 일단 일해보는 목적이라면 가서 눈치도 키우거나 개고생을 해봐야지 더 빡세게 사는 의지력을 키울것 같아서요. 직무를 바꾸되 산업은 그대로 유지해야 할지 아니면 일하면서 다른 자격증으로 타야할지.. | 25.10.17 12:23 | |
(IP보기클릭)211.40.***.***
(IP보기클릭)118.235.***.***
대부분 그렇군요. 대부분 서비스직종에서 사회서비스직이나 교육서비스직 분야도 고생을 하는 경우일까요? | 25.10.17 12:24 | |
(IP보기클릭)125.14.***.***
(IP보기클릭)119.65.***.***
그런가요? 들어본 이유가.. 일단 제가 말할때 버벅거리고 경험이나 공백기가 2년차 넘어가다보니까 직무경험겸 일해본 경험이 될것 같아서요. 호텔관리사가 호텔에 관한 전반적인 예약이나 고객업무 객실관리 식음료등 다양한데 고졸이 알바로 갈수 있거나 혹은 어학 높이면 좋은 호텔에도 들어간다고 해서요, 단점은 역시 최저임금에 사람을 쓰는 노동력 입장 미래가 불안한 직종인데 서비스직종에서 일한 경험을 통해 나중에 전산세무로 가게되면 말을 조리있게 하거나 설득하는 의견쪽으로 장점을 살릴것 같아요 | 25.10.17 13:29 | |
(IP보기클릭)1.238.***.***
(IP보기클릭)119.65.***.***
하아 .그런가요 그래도 교육듣고 이후에 탈락하면 다른직무도 못들을꺼 같아서 교육들으면서 경리자격증 해볼려고요. 공부하면서 저보고 말도 어눌하고 어버버거리거나 현실성?이 없다고 하던데 그걸보고 제가 사무직에는 안 맞나 싶기도 하고 일단 현장직에서 일해보고 안 맞으면 사무로 유턴해도 괜찮을까요? 뭘하든 서비스직 사무로 가는경우도 있다고 하면요 | 25.10.17 15:26 | |
(IP보기클릭)211.241.***.***
(IP보기클릭)119.65.***.***
25살인데 많이 늦은나이인가요?하기 나름이지만 공백기도 길고 뭐라도 하는게 낫다고 하길래..공부하고 있거든요. 서비스직으로 경력해서 이후 콜센터나 cs 사무보조 경력이 되거나요 | 25.10.17 15:27 | |
(IP보기클릭)211.241.***.***
글만 봐서는 본인이 하고 싶은게 뚜렷히 정해지지 않은 느낌이라 그럴때는 1년정도 직장을 다니는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25.10.17 15:29 | |
(IP보기클릭)118.235.***.***
그렇기는 해요. 장점으로는 그냥 교육을 받길 좋아하고 사람들에게 지식을 전파하거나 중매?가 좋은데 그 직무나 산업분야가 해보지 못한 일이고..또 교육도 어찌보면 서비스직종이니까 연관성은 있지 않을까요? 사무직이냐 현장에서 돌아다니는 일이냐 반반 성향이라 뭐가 됬든 경험이라도 쌓는게 좋을것 같아서요. 그래야하는데 교대근무에서 걱정이 크니까 보통 사람들이 교대근무를 하면 잠이 자다깨거나 예민하거나 신경이 안 좋은 사람들이 그렇다던데 주간으로 일하는 쪽도 찾아봐야겠네요 | 25.10.17 15:56 | |
(IP보기클릭)118.130.***.***
(IP보기클릭)118.235.***.***
그럼 공백기가 클까요? 뭘하고 싶은지 못 정했으면 일하면서 깨닫고 자격증 딸려는데 물품 관리나 품질 관리를 한 경험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사무자격증에 연관지어서 어떻게든 쥐어짜내야겠네요 | 25.10.18 16: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