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Deepseek (R1) 짧은 사용 소감 (조금 더 이어서) [18]


profile_image_default


(522954)
29 | 18 | 5192 | 비추력 26593
프로필 열기/닫기


#R1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8
1
 댓글


(IP보기클릭)112.172.***.***

BEST
인공지능에서 '모델붕괴'가 그 개념 맞아.
25.01.31 00:36

(IP보기클릭)222.118.***.***

BEST
그게 모델붕괴임 아주 잘 알고있군
25.01.31 00:37

(IP보기클릭)121.141.***.***

BEST
뭐 그렇게도 이해할 순 있다만 이건 학계가 특정 현상을 어떤 용어로 정의한다 라고 해놓은 거라 그게 아니라고 하면 혼자 수박이 몽미라고 하는 격이 되는 거지
25.01.31 00:44

(IP보기클릭)210.179.***.***

25.01.31 00:30

(IP보기클릭)211.116.***.***

오픈 ai 거로 기계학습? 했다더니 자연어 처리나 데이터 분석에서 좀 부족한가 저 정도는 로우데이터는 아닌거 같은데
25.01.31 00:34

(IP보기클릭)218.237.***.***

이건 모델붕괴의 문제가 아니라 나무위키를 배낀놈의 레포트를 배낀놈의 레포트를 배낀 지적존재와 유사한 전철을 밟는거 같은데.
25.01.31 00:35

(IP보기클릭)112.172.***.***

BEST 크왁 샐버
인공지능에서 '모델붕괴'가 그 개념 맞아. | 25.01.31 00:36 | | |

(IP보기클릭)222.118.***.***

BEST
크왁 샐버
그게 모델붕괴임 아주 잘 알고있군 | 25.01.31 00:37 | | |

(IP보기클릭)218.237.***.***

tsasfr
이걸 붕괴라고 할수 있나? 오히려 인간 데이터도 열등한걸 입력하면 동일한 결과 나올거 같은데. 인간이 만들었나 ai가 만들었나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 패턴성은 조금 다를수 있지만. 오픈ai도 논문분석 가라치거나 통념이 이미 왜곡되었고 학계랑 괴리되었을때 통념 따라서 답 나오는거 허다하잖어... | 25.01.31 00:39 | | |

(IP보기클릭)218.237.***.***

tsasfr
갠적으로는 ai 할루시네이션도 인간지능이 하면 실수고 인공지능이 하면 '환상'인지가 이해가 안됨. 이거 구조적으로 필연적인 상황일텐데. 빈도를 줄일수 있을지언정 완벽하게 해결가능한 문제가 아닌걸로 아는데말이지. | 25.01.31 00:42 | | |

(IP보기클릭)121.141.***.***

BEST
크왁 샐버
뭐 그렇게도 이해할 순 있다만 이건 학계가 특정 현상을 어떤 용어로 정의한다 라고 해놓은 거라 그게 아니라고 하면 혼자 수박이 몽미라고 하는 격이 되는 거지 | 25.01.31 00:44 | | |

(IP보기클릭)59.10.***.***

할루시네이션이 모델 붕괴를 만드는 건가
25.01.31 00:38

(IP보기클릭)223.39.***.***

근데 모델붕괴가 어떤 원리로 일어나는거임? 유게에서 그런 글을 봐도 대체 어떤 과정으로 그러는지가 이해가 안되던데
25.01.31 00:43

(IP보기클릭)112.172.***.***

행인A씨
가장 쉽게 해볼 수 있는 테스트는 그림 AI에게 '그림 주고 그림 그리기'임. 처음에 진짜 사진을 주고 일러스트 그리게 한 후 그 결과물을 보고 다시 그리게 하고 보고 다시그리게 하고 ... 이거 반복하면 그림이 어떻게 되는지 볼 수 있음. | 25.01.31 00:45 | | |

(IP보기클릭)61.79.***.***

행인A씨
딥러닝 특성상 주파수 영역에서 고주파수에 해당되는 영역 학습이 힘듬, 1차 최적화를 쓰다보니 근사 능력이 많이 딸림 이 2가지 때문에 일종의 얼라이싱 문제가 생기고 누적되면서 모델 출력이 점점 단순화 됨 | 25.01.31 00:48 | | |

(IP보기클릭)223.39.***.***

루리웹-9776393256

| 25.01.31 00:53 | | |

(IP보기클릭)49.165.***.***

딥식이 서비스가 좋은 점이라곤 단 하나, xai에 있음 추론과정을 훌륭하게 보여줌. 다만, 추론에 몰빵이라그런지, 학습방법의 문제인지 성능이 너무 구림 잼민이2랑 라마4 gpto3가 훨씬 기대됨 r1 zero가 더 좋다느니 자꾸 언플이 계속 흘러나오는데 글쎄
25.01.31 00:44

(IP보기클릭)79.110.***.***

결국 딥시크 쇼크니 뭐니 했던건 공매도 세력의 작전이었나
25.01.31 00:47

(IP보기클릭)211.46.***.***

그냥 AI 공통으로 한국어 지능이 영어보다 훨씬 떨어지고, 딥씩은 특히 영어와 중국어 중심으로 학습함. 영어로 다시 해봐
25.01.31 07:58

(IP보기클릭)112.172.***.***

al Enboro
언어능력도 평가요소의 한 가지 잖아. 개인적인 테스트니까 언어능력도 아울러서 테스트한 거지. Claude 같은 AI는 이 부분이 꽤 탁월함. 영어가 아닌 언어로 질문했을 때 품질 저하가 적지. | 25.01.31 13:30 | | |

(IP보기클릭)49.175.***.***

유익한 글이군 추천
25.01.31 20:53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