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잡담] 7살 아이 건프라 rg등급 혼자 만들기 [16]


profile_image_default


(5883953)
15 | 16 | 5319 | 비추력 2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59.5.***.***

BEST
7살 rg면 되게 드문 경우라고 봅니다. rg가 요즘엔 mg보다 부품도 작고 정밀해서 어려울 텐데 어린 나이부터 수시간을 집중해서 만든다니 mg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네요! (다만 난이도와는 별개로 가끔 제품 자체에 약간 단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러지기 쉬운 관절이라던지...) 프라모델 자체로 특기라 할 수 있는건 딱히 없다고 생각하지만..^^ 아이가 조립 행위 자체를 좋아한다고 보이시면 레고 등으로 창의성을 풍부하게 키워 예술쪽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로봇에 관심이 있다고 보시면 과학관 같은 곳을 데려가서 코딩까지 연결시켜 훌륭한 공돌이로 키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5.06.09 06:00

(IP보기클릭)59.5.***.***

BEST
교육을 요만큼 배운 입장에서, (본인이 보내달라고 하지 않는 이상) 너무 어린 나이부터 학원에 다니면 흥미가 식을 수도 있으니 다양한 체험이 중요한 것 같아요! 여유가 되시면 일본 오다이바의 유니콘 건담 동상 이런것도 보여주시면서 로봇의 작동 원리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셔도 좋을 것 같고, 기계류로 확장하면 모터쇼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25.06.09 06:07

(IP보기클릭)211.235.***.***

BEST
영재 아이를 키워본 입장에서 말씅드리자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인지... 엄마 아빠가 좋아하고 칭찬해 주는 것이 좋은 것인지 정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부모의 기대치에 아이가 맞추고 있다면 큰 실수가 될 수 있으니.. 조기 교육은 무엇이든 신중히 천천히 해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이답게 쉬고 놀고 자유롭고 행복해야 뭐든 잘 하는 아이로 큽니다.
25.06.09 22:02

(IP보기클릭)172.225.***.***

BEST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건프라 자체가 특정 직업군과 연결되는건 아닙니다. 그래도 연결짓는다면 자녀분이 건프라의 어떤 특성에 흥미를 느끼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예쁘고 멋있어서 - 미대, 조형, 조각 등 미학쪽 기계적인게 좋다 - 코딩, 공대, 공학 스토리가 좋다 - 문과 쪽 하지만 아직 7살이라면 저라면 건프라에 좀더 깊게 파고들 수 있도록 유도해 줄 것 같습니다. 건담마커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도구들로 부분도색도 해보고 데칼도 붙여보고 더 나아가 마감제도 뿌려보는 시도를 함께 해주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25.06.09 06:56

(IP보기클릭)172.225.***.***

BEST
rg가 mg보다 더 어렵습니다. 8~9시간동안 집중 할 수 있는 집중력과 집중 할 무언가가 있다는건 학업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학년 기간에는 너무 학업을 강조하기보다는 아이의 흥미를 키워주면 좋다거 생각합미다
25.06.09 07:03

(IP보기클릭)59.5.***.***

BEST
7살 rg면 되게 드문 경우라고 봅니다. rg가 요즘엔 mg보다 부품도 작고 정밀해서 어려울 텐데 어린 나이부터 수시간을 집중해서 만든다니 mg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네요! (다만 난이도와는 별개로 가끔 제품 자체에 약간 단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러지기 쉬운 관절이라던지...) 프라모델 자체로 특기라 할 수 있는건 딱히 없다고 생각하지만..^^ 아이가 조립 행위 자체를 좋아한다고 보이시면 레고 등으로 창의성을 풍부하게 키워 예술쪽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로봇에 관심이 있다고 보시면 과학관 같은 곳을 데려가서 코딩까지 연결시켜 훌륭한 공돌이로 키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5.06.09 06:00

(IP보기클릭)58.29.***.***

날가져요 엉엉
네 답변감사합니다. 로봇에 관심이 엄청 많아요. 안그래도 코딩학원 알아보고 있었는데 내년에 8살부터 보내면 될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 25.06.09 06:04 | |

(IP보기클릭)59.5.***.***

BEST
행복은여기
교육을 요만큼 배운 입장에서, (본인이 보내달라고 하지 않는 이상) 너무 어린 나이부터 학원에 다니면 흥미가 식을 수도 있으니 다양한 체험이 중요한 것 같아요! 여유가 되시면 일본 오다이바의 유니콘 건담 동상 이런것도 보여주시면서 로봇의 작동 원리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셔도 좋을 것 같고, 기계류로 확장하면 모터쇼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25.06.09 06:07 | |

(IP보기클릭)59.17.***.***

행복은여기
레고를 입문 시키고 레고 테크닉 시리즈로 이끌어 보세요. 레고 테크닉의 경우 아두이노 까지 연결 시키면 훌륭한 공돌이로 만드실 수 있을 겁니다. | 25.06.09 10:46 | |

(IP보기클릭)172.225.***.***

BEST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건프라 자체가 특정 직업군과 연결되는건 아닙니다. 그래도 연결짓는다면 자녀분이 건프라의 어떤 특성에 흥미를 느끼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예쁘고 멋있어서 - 미대, 조형, 조각 등 미학쪽 기계적인게 좋다 - 코딩, 공대, 공학 스토리가 좋다 - 문과 쪽 하지만 아직 7살이라면 저라면 건프라에 좀더 깊게 파고들 수 있도록 유도해 줄 것 같습니다. 건담마커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도구들로 부분도색도 해보고 데칼도 붙여보고 더 나아가 마감제도 뿌려보는 시도를 함께 해주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25.06.09 06:56

(IP보기클릭)172.225.***.***

BEST
fielbae
rg가 mg보다 더 어렵습니다. 8~9시간동안 집중 할 수 있는 집중력과 집중 할 무언가가 있다는건 학업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학년 기간에는 너무 학업을 강조하기보다는 아이의 흥미를 키워주면 좋다거 생각합미다 | 25.06.09 07:03 | |

(IP보기클릭)121.164.***.***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무엇을 학업에 연결짓기보다는 아이의 일생에 어떤 도움이 될지 같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는게 좋을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25.06.09 08:02

(IP보기클릭)223.39.***.***

시력이 안좋아질까 걱정되기도 하네요
25.06.09 08:38

(IP보기클릭)211.235.***.***

6시간이면 굉장히 빠르네요. ㅎㄷㄷ
25.06.09 09:21

(IP보기클릭)114.200.***.***

7살 아이가 RG등급을 만든다는게 놀아운 집중력 인듯 합니다.
25.06.09 10:29

(IP보기클릭)210.105.***.***

rg 부품이 작아서 mg 보다 어려울수도 있음 7살때 rg 만드는거 쉽지 않음
25.06.09 10:36

(IP보기클릭)222.106.***.***

위에도 다들 말씀하셨지만 손동작과 집중력이 매우 좋아보이네요. MG는 파츠의 덩어리가 클 뿐 오히려 최신킷만 아니면 RG보다 못한 것도 많으니 부담은 없겠지만 다치지 않도록만 봐주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아직 7살이니 그 집중력을 다른 곳에도 쓸 수 있도록 잘 유도해주시면 아이에게는 좋은 경험이 될 듯 합니다.
25.06.09 10:55

(IP보기클릭)175.223.***.***

디오라마, 스케일 모형 등으로 발전해서 부자간 함께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레고 마인드 스톰 또는 두영쌤 프라모델 강좌도 추천합니다.
25.06.09 12:40

(IP보기클릭)112.148.***.***

자제분이 손재주가 좋군요. 그쪽으로 재능이 있는 것 같은데 품질 좋은 키트 많이 갖고 놀게 해주시면서 다른 것도 가르치고 하시면 좋은 배움이 되지 않을까요.
25.06.09 17:01

(IP보기클릭)118.235.***.***

7세 아이가 날붙이를 다루기에는 위험하니 잘 지켜봐 주세요
25.06.09 21:16

(IP보기클릭)211.235.***.***

BEST
영재 아이를 키워본 입장에서 말씅드리자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인지... 엄마 아빠가 좋아하고 칭찬해 주는 것이 좋은 것인지 정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부모의 기대치에 아이가 맞추고 있다면 큰 실수가 될 수 있으니.. 조기 교육은 무엇이든 신중히 천천히 해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이답게 쉬고 놀고 자유롭고 행복해야 뭐든 잘 하는 아이로 큽니다.
25.06.09 22:02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