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b864","rank":1},{"keyword":"\uce74\uc81c\ub098","rank":-1},{"keyword":"\uc57c\uad6c","rank":7},{"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2},{"keyword":"\ud2b8\ub9ad\uceec","rank":-1},{"keyword":"\ub9bc\ubc84\uc2a4","rank":1},{"keyword":"\ub2c8\ucf00","rank":-2},{"keyword":"\uba85\uc870","rank":0},{"keyword":"\uc820\ub808\uc2a4","rank":-3},{"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0},{"keyword":"\uc6d0\ud53c\uc2a4","rank":5},{"keyword":"\uc9c0\uc2a4\ud0c0","rank":0},{"keyword":"\u3147\u3147\u3131","rank":-2},{"keyword":"\ud3ec\ucf13\ubaac","rank":3},{"keyword":"\uc5f0\uc6b4","rank":-2},{"keyword":"\uc720\ud76c\uc655","rank":"new"},{"keyword":"\uc6d0\uc2e0","rank":-2},{"keyword":"@","rank":-4},{"keyword":"\ubc31\uc885\uc6d0","rank":2},{"keyword":"\ub9d0\ub538","rank":-1},{"keyword":"\ud0c0\ub974\ucf54\ud504","rank":"new"}]
(IP보기클릭)59.5.***.***
7살 rg면 되게 드문 경우라고 봅니다. rg가 요즘엔 mg보다 부품도 작고 정밀해서 어려울 텐데 어린 나이부터 수시간을 집중해서 만든다니 mg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네요! (다만 난이도와는 별개로 가끔 제품 자체에 약간 단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러지기 쉬운 관절이라던지...) 프라모델 자체로 특기라 할 수 있는건 딱히 없다고 생각하지만..^^ 아이가 조립 행위 자체를 좋아한다고 보이시면 레고 등으로 창의성을 풍부하게 키워 예술쪽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로봇에 관심이 있다고 보시면 과학관 같은 곳을 데려가서 코딩까지 연결시켜 훌륭한 공돌이로 키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IP보기클릭)59.5.***.***
교육을 요만큼 배운 입장에서, (본인이 보내달라고 하지 않는 이상) 너무 어린 나이부터 학원에 다니면 흥미가 식을 수도 있으니 다양한 체험이 중요한 것 같아요! 여유가 되시면 일본 오다이바의 유니콘 건담 동상 이런것도 보여주시면서 로봇의 작동 원리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셔도 좋을 것 같고, 기계류로 확장하면 모터쇼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IP보기클릭)211.235.***.***
영재 아이를 키워본 입장에서 말씅드리자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인지... 엄마 아빠가 좋아하고 칭찬해 주는 것이 좋은 것인지 정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부모의 기대치에 아이가 맞추고 있다면 큰 실수가 될 수 있으니.. 조기 교육은 무엇이든 신중히 천천히 해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이답게 쉬고 놀고 자유롭고 행복해야 뭐든 잘 하는 아이로 큽니다.
(IP보기클릭)172.225.***.***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건프라 자체가 특정 직업군과 연결되는건 아닙니다. 그래도 연결짓는다면 자녀분이 건프라의 어떤 특성에 흥미를 느끼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예쁘고 멋있어서 - 미대, 조형, 조각 등 미학쪽 기계적인게 좋다 - 코딩, 공대, 공학 스토리가 좋다 - 문과 쪽 하지만 아직 7살이라면 저라면 건프라에 좀더 깊게 파고들 수 있도록 유도해 줄 것 같습니다. 건담마커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도구들로 부분도색도 해보고 데칼도 붙여보고 더 나아가 마감제도 뿌려보는 시도를 함께 해주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IP보기클릭)172.225.***.***
rg가 mg보다 더 어렵습니다. 8~9시간동안 집중 할 수 있는 집중력과 집중 할 무언가가 있다는건 학업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학년 기간에는 너무 학업을 강조하기보다는 아이의 흥미를 키워주면 좋다거 생각합미다
(IP보기클릭)59.5.***.***
7살 rg면 되게 드문 경우라고 봅니다. rg가 요즘엔 mg보다 부품도 작고 정밀해서 어려울 텐데 어린 나이부터 수시간을 집중해서 만든다니 mg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네요! (다만 난이도와는 별개로 가끔 제품 자체에 약간 단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러지기 쉬운 관절이라던지...) 프라모델 자체로 특기라 할 수 있는건 딱히 없다고 생각하지만..^^ 아이가 조립 행위 자체를 좋아한다고 보이시면 레고 등으로 창의성을 풍부하게 키워 예술쪽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로봇에 관심이 있다고 보시면 과학관 같은 곳을 데려가서 코딩까지 연결시켜 훌륭한 공돌이로 키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IP보기클릭)58.29.***.***
네 답변감사합니다. 로봇에 관심이 엄청 많아요. 안그래도 코딩학원 알아보고 있었는데 내년에 8살부터 보내면 될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 25.06.09 06:04 | |
(IP보기클릭)59.5.***.***
행복은여기
교육을 요만큼 배운 입장에서, (본인이 보내달라고 하지 않는 이상) 너무 어린 나이부터 학원에 다니면 흥미가 식을 수도 있으니 다양한 체험이 중요한 것 같아요! 여유가 되시면 일본 오다이바의 유니콘 건담 동상 이런것도 보여주시면서 로봇의 작동 원리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셔도 좋을 것 같고, 기계류로 확장하면 모터쇼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25.06.09 06:07 | |
(IP보기클릭)59.17.***.***
레고를 입문 시키고 레고 테크닉 시리즈로 이끌어 보세요. 레고 테크닉의 경우 아두이노 까지 연결 시키면 훌륭한 공돌이로 만드실 수 있을 겁니다. | 25.06.09 10:46 | |
(IP보기클릭)172.225.***.***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건프라 자체가 특정 직업군과 연결되는건 아닙니다. 그래도 연결짓는다면 자녀분이 건프라의 어떤 특성에 흥미를 느끼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예쁘고 멋있어서 - 미대, 조형, 조각 등 미학쪽 기계적인게 좋다 - 코딩, 공대, 공학 스토리가 좋다 - 문과 쪽 하지만 아직 7살이라면 저라면 건프라에 좀더 깊게 파고들 수 있도록 유도해 줄 것 같습니다. 건담마커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도구들로 부분도색도 해보고 데칼도 붙여보고 더 나아가 마감제도 뿌려보는 시도를 함께 해주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IP보기클릭)172.225.***.***
fielbae
rg가 mg보다 더 어렵습니다. 8~9시간동안 집중 할 수 있는 집중력과 집중 할 무언가가 있다는건 학업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학년 기간에는 너무 학업을 강조하기보다는 아이의 흥미를 키워주면 좋다거 생각합미다 | 25.06.09 07:03 | |
(IP보기클릭)121.164.***.***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114.200.***.***
(IP보기클릭)210.105.***.***
(IP보기클릭)222.106.***.***
(IP보기클릭)175.223.***.***
(IP보기클릭)112.148.***.***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235.***.***
영재 아이를 키워본 입장에서 말씅드리자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인지... 엄마 아빠가 좋아하고 칭찬해 주는 것이 좋은 것인지 정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부모의 기대치에 아이가 맞추고 있다면 큰 실수가 될 수 있으니.. 조기 교육은 무엇이든 신중히 천천히 해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이답게 쉬고 놀고 자유롭고 행복해야 뭐든 잘 하는 아이로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