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정치] [ET] 미국, 또 ‘국가부도’ 위기?…금 모으는 중국 [3]


profile_image


profile_image (351670)
2 | 3 | 935 | 비추력 744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3
1
 댓글


(IP보기클릭)210.182.***.***

BEST
이거 또 돌고돌아서 IMF 때처럼 다른나라 직격탄 맞는거 아닐까 아니면 전쟁으로 경제난 극복하려고 다른 땅에서의 전쟁을 사주하는거 아닐까 요새 워렌버핏이나 헤지펀드들이 전쟁에 베팅한다는 것 같은 글 많이 봤는데 정세가 심상찮긴 하다
23.04.30 13:38

(IP보기클릭)124.51.***.***

BEST
미국 정부 재정의 부도 이야기는 항상 반복되는 이야기입니다 재정 한도 도달 > 부채 한도 증액 > 재정 한도 도달 > 부채 한도 증액 의 반복이죠 그래서 미국 정부가 모라토리움을 선언한다거나 하는 상황을 현실로 보는 사람들은 적습니다 CDS의 경우에는 시장이 워낙 작아 적은 자금으로도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니 대다수의 전망으로 보긴 어렵죠 다만, 재정 수축을 지지하는 공화당과 재정 확장을 지지하는 민주당의 기싸움에서 누가 정치적 우위를 점하느냐가, 미국 국가부도설의 핵심 사항이죠 정부 재정이 파탄나는 건 결국 공화당 입장에서도 난처하므로, 민주당과 시장의 애를 태우다가 결국에는 부채 한도 증액을 처리해주게 될 겁니다 항상 있던 일이죠 문제라면, 미국은 전세계 상품을 소비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 미국은 대규모 무역 적자를 감수해 주면서, 달러 발권 능력을 통해 달러 찍어서 상품을 소비해 주는 국가입니다 미국 부채는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고, 달러 패권을 전세계가 인정해 줄 수 밖에 없었던 이유고, 미국국채가 최고의 안전 자산으로 선호되었던 이유죠 이게 이번 코로나 경제 상황과 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미중 무역 분쟁을 거치면서, 과연 지속 가능한 글로벌 경제 시스템인지 회의적인 시각이 대두된 겁니다 사우디의 패트로 달러에 대한 도전, 중국의 위환화 영향력 확대도 이런 지각 변동에서 있었던 거고, 이런 상황에서 각국 중앙 은행들이 달러 팔아 금을 사는 거죠
23.04.30 13:50

(IP보기클릭)210.182.***.***

BEST
이거 또 돌고돌아서 IMF 때처럼 다른나라 직격탄 맞는거 아닐까 아니면 전쟁으로 경제난 극복하려고 다른 땅에서의 전쟁을 사주하는거 아닐까 요새 워렌버핏이나 헤지펀드들이 전쟁에 베팅한다는 것 같은 글 많이 봤는데 정세가 심상찮긴 하다
23.04.30 13:38

(IP보기클릭)104.28.***.***

국가 채무가 4경 세계화 시기 미금융 위기때 중국은 미국 국채를 사주어 도와 주었지만 지금 같은 경제 블럭화 시기에 금을 산다?
23.04.30 13:45

(IP보기클릭)124.51.***.***

BEST
미국 정부 재정의 부도 이야기는 항상 반복되는 이야기입니다 재정 한도 도달 > 부채 한도 증액 > 재정 한도 도달 > 부채 한도 증액 의 반복이죠 그래서 미국 정부가 모라토리움을 선언한다거나 하는 상황을 현실로 보는 사람들은 적습니다 CDS의 경우에는 시장이 워낙 작아 적은 자금으로도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니 대다수의 전망으로 보긴 어렵죠 다만, 재정 수축을 지지하는 공화당과 재정 확장을 지지하는 민주당의 기싸움에서 누가 정치적 우위를 점하느냐가, 미국 국가부도설의 핵심 사항이죠 정부 재정이 파탄나는 건 결국 공화당 입장에서도 난처하므로, 민주당과 시장의 애를 태우다가 결국에는 부채 한도 증액을 처리해주게 될 겁니다 항상 있던 일이죠 문제라면, 미국은 전세계 상품을 소비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 미국은 대규모 무역 적자를 감수해 주면서, 달러 발권 능력을 통해 달러 찍어서 상품을 소비해 주는 국가입니다 미국 부채는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고, 달러 패권을 전세계가 인정해 줄 수 밖에 없었던 이유고, 미국국채가 최고의 안전 자산으로 선호되었던 이유죠 이게 이번 코로나 경제 상황과 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미중 무역 분쟁을 거치면서, 과연 지속 가능한 글로벌 경제 시스템인지 회의적인 시각이 대두된 겁니다 사우디의 패트로 달러에 대한 도전, 중국의 위환화 영향력 확대도 이런 지각 변동에서 있었던 거고, 이런 상황에서 각국 중앙 은행들이 달러 팔아 금을 사는 거죠
23.04.30 13:50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