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변경점 정리. 13900HX계열, 13850HX 제외하고 12세대 수준이었던 부분이 완전한 13세대로 올라갔습니다
L2캐시 상승
B0 스테핑 8+16 다이
메모리 지원 상승

13900HX가 원래도 완전체 13세대였기에 14900HX는 클럭만 상승

14700HX 클럭, L2캐시 상승, E코어 4개 추가, B0 다이로 바뀌어서 전력효율 10% 정도 증가
(13700HX는 다수의 12세대 재활용 C0과 일부 12세대 수준으로 너프된 불완전 B0이 혼용)

14650HX는 클럭, L2캐시 상승, P코어 2개 추가
(13650HX는 불완전 B0)
(13500HX는 12세대 재활용 C0)

14450HX는 클럭, L2캐시, 전력효율 상승. 다만 원래도 B0 위주로 풀렸던 모델이라 14650HX처럼 대다수의 경우는 전력효율 상승 효과는 없을 거라고 합니다.
(13450HX는 불완전 B0과 12세대 재활용 C0 혼용)

14세대 데탑에서 처음 도입한 APO도 지원. 보드 설정을 이리저리 만져야 하는 데탑과 달리 DTT가 기본사양인 노트북에선 그냥 Intel Application Optimization만 깔면 동작한다고 합니다

극히 일부 제품에선 아주 비싼 썬더볼트5도 채용. 120Gbps까지 올라가는 건 디스플레이용 대역폭이고 PCIe용 대역폭은 4.0 x4라고 합니다

PCH를 경유하는 방법 말고 CPU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는 eGPU 성능이 좀 더 좋아진다고 합니다
i9 비교. 클럭상승 정도만 변경이라 큰 변화는 없습니다
14700HX 비교. 클럭도 꽤 올랐고 E코어 추가, B0 변경으로 인한 전력효율 증가 등이 겹쳐져 멀티코어 성능도 꽤 올라갔습니다
14650HX 비교. 클럭 상승과 P코어 추가로 인한 변화입니다
14500HX 비교. 클럭 상승과 B0 변경으로 인한 변화
(상승폭이 정상적인 수준을 벗어난 수준이라서 처음에는 이게 맞는 건가 싶었는데 비리비리 댓글에 14500HX가 꽤나 좋은 수율의 제품이었다고 리뷰어가 적어놨더군요. 모든 14500HX가 저 정도 수준이 될지는 다른 벤치마크도 같이 보고 판단해야 할 거 같습니다)
어찌나 수율이 좋은지 클럭이 더 높고 P코어 2개 더 많은 14650HX도 잡아먹을 기세입니다
주력 모델이 될 8+8, 6+8 CPU간의 게임성능 비교. 클럭, L2캐시 증가로 인한 차이와 P코어 2개 증가로 인한 차이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게임 전력소모 비교인데 이번에도 수율 좋은 14500HX가 너무 독보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다른 14500HX가 어쩔지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
14450HX 비교. 클럭도 별로 안 올랐고 원래도 B0 위주로 쓰이던 모델이라 별 차이가 없게 나왔다고 합니다
여전히 L2캐시가 12세대 수준인 데탑 14400(C0, 불완전 B0 혼용), 14500(C0)과는 달리 노트북 쪽은 최하급 i5까지도 L2캐시가 올라갔군요...





















(IP보기클릭)121.142.***.***
(IP보기클릭)122.35.***.***
(IP보기클릭)115.137.***.***
(IP보기클릭)121.129.***.***
노트북 쪽은 들어가는 전력에 한계가 있으니까요. 13세대 플래그쉽 제품인 GT77 HX가 PL2 180W PL1 137W 정도가 들어갔고 중급기나 쿨링이 좀 부실한 고급기의 경우 PL2 130W PL1 90W 정도 들어갔었습니다. 14세대 모델들도 크게 다르진 않을 겁니다. 데탑 K의 순정세팅이 PL2 253W PL1 125W에 좋은 보드를 쓰게 되면 PL2, PL1 값이 순정보다 더 커지는 경우도 많은지라 둘 사이의 발열량은 꽤 차이가 나게 됩니다. | 24.01.10 08:07 | | |
(IP보기클릭)125.131.***.***
(IP보기클릭)121.129.***.***
인텔이 PCIE 활용은 기존 JHL7440(썬볼3 컨트롤러)로 충분하다고 JHL8440(썬볼4 컨트롤러)의 PCIE 대역폭을 3.0 x1로 만들어버려서 인텔이 PCIE 3.0 x4를 쓰는 새 썬볼4 컨트롤러를 만들어주지 않는한 썬볼4 eGPU독은 나올수가 없겠더라구요. 그나마 USB4 디바이스 컨트롤러인 ASM2464PD가 나와서 이걸 활용한 eGPU로 기존 썬볼3독보다 높은 성능을 뽑는 사례가 보이고 있습니다. 자세한 조합은 아래 링크의 32Gbps-TB3이 무슨 의미냐고 묻는 질문을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egpu.io/best-external-graphics-card-builds/ | 24.01.10 09:4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