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평점 :
8.9 더보기 +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공략/팁] 초심자용 방천극 실전 공략(매커니즘 & 콤보 & 주의점 위주) [20]


profile_image_default


(1968041)
5 | 20 | 22286 | 비추력 32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20
1
 댓글


(IP보기클릭)14.40.***.***

항상 공략 잘 참고하고 있습니다. ㅎㅎ 비장천패는 역시 절영으로 캔슬방지 되도 적 주요무장 위치 조절해서 소환되는 말로 적 행동 캔슬하고 띄어버리는게 답인 듯 합니다. ㅎㅎ
25.02.24 00:28

(IP보기클릭)183.109.***.***

여포전에 신중하게 대처하지 않아도 되는 무기가 있나요..? 너무 억까시네 ㅋㅋㅋ 비장천패 시전시 말대쉬 범위는 자란이 보는 방향(카메라가 보는 방향이 아님)의 직선범위고 말쿵 범위는 내 중심으로 원형입니다. 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방천극은 난전에 최적화된 무기라서 그란디언님처럼 군단의 가장자리부터 들어가는 운영으로는 단점만 보일수밖에 없죠..
25.02.24 01:45

(IP보기클릭)121.170.***.***

여포가 각 무기의 성능을 정한다고 하셨는데 누가 정한거죠?? 많은 분들이 하비여포전을 테스트 케이스로 삼을 뿐인거지 절대적인 전투력 측정기는 아니죠 본인의 플레이에 자부심이 있고, 또 정석인것 처럼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다른 플레이 방식(대군단 다이브같은)도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5.02.24 03:15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1. 비장천패의 말쿵은 타 무기 궁과 다르게 적을 날려버리지 않기깨문에 실질적인 데미지가 들어갔어도 수격상태로 만들지 못했다면 여포뿐만 아니라 일반 무장한테도 맞을 수 있습니다. 2. 더 많이 해보시라고 밖에 할 말이 없네요 3. 어느부분에서 실력지적을 했다는건지 모르겠네요. 본인께서 직접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스타일이라고 하셨고 다른 스타일도 있으니 해보라고 한건데 어디에 긁히신건지.. | 25.02.24 03:57 | | |

(IP보기클릭)183.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수정하는 사이에 다시 다셨군요;; 일단 원문 먼저 남깁니다. 일단 비장천패는 마상 착지시 일정거리를 전진합니다. 이 때문에 실질적인 커버 범위 자체가 전방에 쏠립니다. 촬영한 영상에 바로 나오는데 그건 안보셨나 보군요. 그것 때문에 후방으로 빠진 여포한테 후속타까지 처맞았는데 그건 굳이 안보시고 무시하시네요. 그리고 대군단 다이브가 그냥 무시하고 동탁 돌격을 의미하시는거면 언월도로 돈 영상을 개인채널에 올린적이 있습니다. 방천극으로 올리는거면 나중에 한번 방천극 시도도 고려해보죠. 다만 애초에 대군단의 커버 범위 자체가 넓은데다, 어차피 몽환격투 돌면 강제로 다무장 사이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공략 위치를 바꾼다고 플레이 스타일이 바뀔 것 같진 않은데 다이브가 어떤 위치 공략을 의미하시는지는 솔직히 명확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적어도 제 경험상 방천극이라고 해서 다무장전에서 둘러쌓인다고 더 유리하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스킬 특징상 어거지로 거리 벌리는 점이 더 거슬렸던 기억만 있네요. 마지막으로 히소카님 댓글 다시는게 슬슬 선을 넘는게 보입니다. 왠만하면 그냥 넘어가려는데 여포 성능 이야기가 아니라 저를 무시하시는듯한 뉘앙스가 보입니다. 저는 적어도 히소카님 존중해서 여포 이야기나 제 경험상 선에서 이야기를 끊으려 하는데 히소카님은 여포 성능 이야기에 평정섬을 잃으신건지 실력 지적하면서 과격하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댓글을 좀 되돌아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나중에 단 댓글 에 추가 답변만 남기자면, 1번의 경우 여포만 그 단점을 찌른다고 표현하긴 했는데 공격이라 묘사해서 오해 소지는 있어 보입니다. 그 부분은 경직으로 수정하죠. 2번에 대해서 "본인의 플레이에 자부심이 있고, 또 정석인것 처럼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이 표현은 명백히 실력 지적 처럼 받아들여지는데. 저는 제 플레이가 정석이라 직접 표현한 적도 없는데 없는 사실 만들면서 많이 해보라는 것은 마치 제가 플레이가 부족하단 뉘앙스를 담고있습니다만. 이 부분이 실력 지적이 아니면 뭔지 모르겠네요. | 25.02.24 04:24 | | |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다무장 사이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공략 위치를 바꾼다고 플레이 스타일이 바뀔 것 같진 않은데 다이브가 어떤 위치 공략을 의미하시는지는 솔직히 명확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에 대한 답변이 2번입니다. 포지셔닝, 타이밍 등등 경험으로 터득해야하는 것에 대한거라서요. 실력을 지적한게 아닙니다. 혹시나 그렇게 보이셨다면 사과드립니다. | 25.02.24 04:35 | | |

(IP보기클릭)183.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1번의 경우 추가 의견 남기자면 여포만 다른 이유는 여포 혼자 연속공격 비중이 높은데 반해 데미지가 남달라서 플레이어 절명 확률이 다른 무장에 비해 월등이 높은게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무장은 여포처럼 기본 전의를 4강까지 가져오는 경우도 많이 없고, 평타도 여포만큼 세지가 않습니다. 몽환격투 여포가 그나마 가장 스펙이 약한 편인데도 기본 전의 4강이라 비장천패로 확정 수격도 불가능하고 기본 데미지가 왠만한 전의 5강무장보다 강한 편이라서 비장천패로 경직시키지 못하면 영상처럼 바로 역습에 풀피가 털리고, 이 와중 만두를 다썼으면 죽습니다. 일반 무장들은 비장천패의 약점을 저렇게 못찔러요. | 25.02.24 04:38 | | |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에이.. 다른 무기는 뭐 여포가 안아픈가요 ㅋㅋㅋ 같은 논리로 강파장 헛방쳤을때 여포한테 맞았다고 언월도 카운터는 여포는 아닌거잖아요? ㅋㅋㅋ 단점없는 무예가 어딨나요.. 방천극 회피강도 그냥 후딜캐치당하신거고 비장천패후의 위험은 점프 강으로 최대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25.02.24 04:50 | | |

(IP보기클릭)183.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그…. 글에 오해가 있으신 것 같은데, 후반부에 적힌 여포 대처는 일종의 주의점으로 받아들여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방천극의 경우 모션 자체가 넓고 시원시원하기 때문에 일반 유저들은 놓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히소카님께선 방천극을 자주 다루시니 아는 사실이지만 대부분은 모르고 지나치기 좋습니다. 말씀하신 부분도 결국은 주의점이나 대처 방법을 쓰신거라서 깊이는 다를 지언정 글의 본질이 다르다는 생각은 안듭니다만… 무엇보다도 이 글은 무기 평가가 아니라 공략 파트입니다…. 방천극이 단점이 있는 무기라는 것을 설파하려는게 목적이 아니라서 초심자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정리했는데 너무 평가로 받아들이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족에도 저는 방천극이 구리다가 아니라 성능 평이 갈린다고만 표현했는데 여기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신 듯 합니다. | 25.02.24 05:02 | | |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저도 방천극 유저로 이런 공략은 매우 환영입니다..만, 콕 찝어 여포를 예시로 든건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여포 두둔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연의에서 마초를 제일 좋아합니다 ㅎㅎ) 위에서도 썼지만 여포한테 맞으면 다 아프죠.. 이런이런 단점이 있으니 혹여나 여포한테 맞아서 골로가는 상황이 없게 주의바람 이런 내용을 쓰신것 같은데, 본문글을 꼼꼼히 읽어봐도 그렇게 안느껴집니다 | 25.02.24 05:16 | | |

(IP보기클릭)183.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그리고 추가 사족 달자면 방천극 회피 강공은 무적 판정에 낚여서 아마 스패밍 하려는 분들도 있을거라서 주의점을 쓴 쪽이긴 합니다. 실제로는 스패밍하면 안된다는 초심자용 주의점이지요. 비장천패 후딜을 마상 점프로 캔슬이 가능한가 보군요. 한번 저도 검토해보고 그 부분을 보강해보겠습니다. 다만 초심자들 입장에선 괜히 쎈 스킬로 무지성 여포 공략해보려다가 피를 볼 여지가 있기 때문에 주의점 중 하나로 쓴 것이니 너무 깊게 생각안하셨으면 합니다. 방천극의 이미지가 이미지다보니 초심자들이 비장천패 먹었다고 무지성 여포 돌격하기 딱 좋을거라 생각했거든요. | 25.02.24 05:21 | | |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마상 점프로 캔슬은 안되요 다만 두대맞을거 한대만 맞아주게 해주는 역할이라.. 비장천패 후딜에 대한 대처법은 다른 분들은 또 다른 솔루션을 가지고 있을거니 저게 정답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 25.02.24 05:24 | | |

(IP보기클릭)183.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제가 방천극 공략때 여포만 꼭 찝은 이유는 반대로 여포만 아니면 방천극은 크게 주의할 점이 없는 무기라서 그렇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그냥 다 찍어누르는 상황밖에 없어야 정상인데, 유독 몽환격투에서만 방천극이 다른 무기와 비슷하게 힘을 못쓰는지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죄다 여포한테 요격당한 케이스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의도적으로 여포를 의식시키려는 의도로 적었습니다. | 25.02.24 05:25 | | |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여포만 아니면 방천극은 크게 주의할 점이 없는 무기라서“ 원소군단 다이브하다가 잘못맞으면 만두네개는 순식간에 빠집니다. 비단 여포만의 문제가 아니라구요 ㅜㅜ | 25.02.24 05:36 | | |

(IP보기클릭)121.1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저는 비장천패 성능의 호불호가 갈리는 이유가 1. 즉시발동이아니라 쳐맞는다 - 원래 그런 무예다 2. 맞으면 무예가 끊긴다 - 절영으로 해결 3. 후딜이 길어 쳐맞는다 -각자의 솔루션을 찾아라 4. 말에 탑승한 상태다 - 이건 매우... 라고 생각합니다 ㅋㅋㅋ | 25.02.24 05:43 | | |

(IP보기클릭)183.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음… 다이브시 리스크는 모든 무기가 가지고 있는데다, 아마 일부 무기는 각성없인 그런 플레이도 안될겁니다. 애초에 이번작은 날먹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제한적으로나마 날먹이 되는데 이걸 문제라고 하면… 그래서 여포만 어떻게든 처리하면이란 생각이 계속 드는 이유입니다. 다른 무기는 저게 그렇게 스무스하게 안돼요. 그 언월도도 대산강파장뽕은 순간이지, 만약 투기 개털리고 회복 못하면 각성 켜야 해요. 그럼에도 언월도도 사기무기 취급을 받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여포때문이라는 생각을 지우기가 힘듭니다. 방천극은 여포정도의 소수 강화 무장 대처 능력이 이상하게도 언월도나 다른 무기에 비해 좋지 않고 잘 풀리지가 않는단 점입니다. 아까도 대산강파장을 예시로 드셨지만, 대산강파장은 대신 실패 리스크가 투기 소모 외엔 없습니다. 후딜이 짧거든요. 그래서 주변에 여포가 있어도 부담없이 지르기 좋습니다. 반면 방천극은 여포가 주변에 있다면, 여포를 히트시키지 못했을 시 재수없게 어그로 끌려 화살 3연타 쳐맞고 골로가는 거죠. 후딜 인식을 조진 원인의 대부분은 결국 그 후딜을 캐치하는 놈이 여포여서 그렇다고 생각됩니다. 후딜레이 리스크가 그정도가 아니었으면 아마 저도 방천극 인식이 그정도로 호불호갈리지는 않았을거라 생각됩니다. | 25.02.24 06:24 | | |

(IP보기클릭)221.15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그란디언
날먹이 문제라고 한적이 없는데 어느부분에서 그렇게 느끼셨을까요?? | 25.02.24 13:30 | | |

(IP보기클릭)61.7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히소카★
표현이 부족했던거 같군요. "원소군단 다이브하다가 잘못맞으면 만두네개는 순식간에 빠집니다." 저 부분에 대해서 대부분의 무기는 저 플레이를 위해선 저거 이상의 리스크를 집니다. 즉, 다른 무기에 비하면 방천극은 크게 주의할 점이 없고, 저게 주의할 점이 있는 수준이라면 몇몇 무기는 주의 수준이 아니라 운영 불가능 수준이라는 뜻이었습니다. | 25.02.24 14:34 | | |

(IP보기클릭)118.155.***.***

뭐 공략글 이런저런 시선에서 올라오면 좋지 않습니까 재밌게 보고 가면 좋죠
25.02.24 11:32

(IP보기클릭)118.235.***.***

반뢰 - 절공 - 뒤로 회피 - 약공 4타 - 강공 6타 저는 강화된 무장을 상대할 때 이 패턴을 사용합니다. 절공을 먼저 넣고 통상공격으로 넘어가면 강공격 5타 이후 적장이 내려오는데, 강공격 6타로 경직을 주면서 투기 회수를 합니다. 외공이 남으면 반뢰, 절공, 비장천패 중 하나로 외공을 완전히 깎아버릴 수 있죠. 개인적으로 귀신연무는 봉인입니다
25.02.24 12:50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진 삼국무쌍 오리진

평점
8.9
장르
액션
한글 지원
한국어지원(자막)


플랫폼
PC, PS5, XSX
가격정책
패키지구매
개발사
오메가포스


일정
[출시] 2025.01.17 (PC)
[출시] 2025.01.17 (PS5)
[출시] 2025.01.17 (XSX)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