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점은 레딧의 경우 정말 고인물들만 참여하는 형식이며, 위챗의 경우 5만명의 데이터를 이용했으며 좀 더 캐주얼한 사용자들이 더 많다는 것입니다.
1) 레딧쪽이 좀 더 과금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5성 무기들의 비중이 위챗에 비해 더 높습니다.
2) 종려의 무기선택의 경우 레딧쪽은 흑술창과 페보창이 거의 비슷비슷하지만, 위챗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78%) 흑술창을 선호합니다.
3) 탑5 캐릭터들이 정확히 똑같습니다. 카즈하, 라이덴, 베넷, 코코미, 마지막으로 야란입니다. (레딧의 경우 5성과 4성을 분리했는데, Usage Rate를 보면 베넷이 라이덴 다음으로 들어간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 위챗에서 가장 많이 돌파가 된 5성캐릭은 각청으로써, 평균 1.21돌입니다. 한정5성중에서 가장 돌파가 많이 된 캐릭터는 역시 라이덴이며, 꼴찌는 코코미입니다. 다들 코코미가 돌파가 필요한 캐릭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위챗
레딧
레딧 통계
https://www.reddit.com/gallery/y8148f
Wechat 통계
![[통계] 흥미로운 레딧 & 중국 3.1 후반부 나선 캐릭/무기/성유물_1.webp](https://i3.ruliweb.com/ori/22/10/23/1840319e09e4e4b54.webp)
![[통계] 흥미로운 레딧 & 중국 3.1 후반부 나선 캐릭/무기/성유물_2.webp](https://i1.ruliweb.com/ori/22/10/23/184031ac6124e4b54.webp)
(IP보기클릭)2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