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enshin-center.com/planner
이미 여기에도 몇번 소개되었지만, 아직 자세한 사용방법이나 튜토리얼이 없는 것 같아서 만들어봅니다.
근본적으로 원신은 분재게임이고, 특성작이나 육성 재료가 특정한 날에만 먹을 수가 있기 때문에 플래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신을 위해서 많은 플래너들이 존재하지만, Genshin Center의 플래너만큼 유연하고 정말 보기 쉬운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공식 HoYoLab의 플래너를 비롯해 다른 플래너들과는 달리, GC 플래너는 성유물을 제외하고 캐릭육성에 필요한 레진량을 추측해서 알려주며, 85, 89와 같은 특정한 레벨을 정해서 필요한 경험치책의 숫자를 알맞게 계산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공식 HoYoLab은 제가 마지막으로 확인했을때 레벨이 80/80이나 80/90같은 레벨 돌파여부를 정할 수가 없어서 매우 불편한데, 이런 점에서 GC 플래너는 매우 유연합니다.
또한 이 사이트는 아직 공식으로 릴리즈 되지 않는 캐릭터나 무기 또한 유출된 정보가 있다면 그것을 토대로 해서 Custom Character/Weapon를 이용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대부분의 다른 플래너에는 없는 기능입니다.
단, 성유물에 들어가는 재화, 그리고 이벤트나 기행/일일퀘스트로 들어오는 재화 그리고 무기강화에 사용되는 마법광물들은 계산이 되지 않습니다. 사실 이런것들을 다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지만요.
paimon.moe처럼 사용자 정보를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하기 때문에 만일 이것을 백업을 안하고 브라우저의 캐시/쿠키를 다 지워버리면 사이트에 적어놓은 정보 또한 다 사라집니다. 아직 paimon.moe과는 달리 구글 클라우드에 따로 백업하는 기능은 없기에 이 점은 유의하셔야 합니다.
1. 첫 세팅 (LAJEHW23)
2. 캐릭/무기 추가 (GHAYUTY)
3. 관리 (HJKKTEW)
1. 첫 세팅 (LAJEHW23) :
일단 처음에 들어가면 ( https://genshin-center.com/planner ) 뭔가 메세지가 뜨는데, 얘내들이 API에 변화를 줄려고 했다가 보류했다는 메세지이므로 현재 아무련 의미가 없으니 OK를 누릅니다.
일단 텅 빈 화면이 나옵니다. 어느정도 이해하기 쉽게 한국어를 오른쪽 위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번역이 완전히 되지 않아서 큰 의미는 없습니다.
일단 오른쪽을 보면 세팅옵션이 존재합니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Inactive Panel Options -> 굳이 건들 필요가 없습니다.
Average Estimated Resin -> 이것이 핵심인데, 따로 아래에 있는 재화들을 레진소모에 포함시킬 것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모라를 황금지맥을 돌지 않고 기행이나 이벤트, 그리고 일일퀘스트로만 채운다면 모라에 있는 체크상자를 해제하면 됩니다. 이 경우 캐릭 육성에 필요한 모라는 더 이상 레진소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값으로 이미 모라와 경험치책은 체크가 해제되어 있지만.... 솔직히 캐릭터를 몇달동안 천천히 키우시는 것이 아닌 이상 둘 다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Raiden Shogun Passive -> 라이덴이 있으면 얘가 한손검이나 장병기 레벨 돌파를 할 때 돌파에 필요한 모라를 반으로 줄어줍니다. 라이덴이 있으면 체크합니다.
More Options -> 일단 건너뜁니다.
"America" -> 이걸 누르면 서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계정의 지역을 택합니다.
다시 돌아와서 More Options 을 누릅니다.
여기서 좀 더 자세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단 월드 레벨과 비경에 들어가는 비경레벨(Domain Level)을 정합니다. 남은 대부분의 경우 건들 필요는 없지만...
Planner mode : 정말 귀찮은 것을 싫어해서 걍 다 모은 것만 확인하고 딸깍 체크만 하겠다면 "Checklist" 모드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사실상 레진계산이 더 이상 안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Domain days in item panels : 이건 "Display" 를 하는게 좋습니다. 각 재화들이 어느 요일에 파밍이 가능한지 표시가 되기 때문에 켜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Set Default Levels for new characters/weapons : 이걸 미리 설정해 놓으면 새로 캐릭터나 무기를 추가할 때 여기서 정해놓은데로 설정되어서 나옵니다.
모든 설정을 다 하셨으면 "Save"버튼을 누릅니다. 이로써 사용준비는 다 끝났습니다.
2. 캐릭/무기 추가 (GHAYUTY)
현재 몇몇 원신의 캐릭터, 성유물을 자동스캔을 해주는 프로그램들이 존재하지만 이 재화들을 스캔하는 것은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불편하더라고 일일히 입력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모든 재화들을 처음부터 일일히 입력하는 것보다 현재 육성중인 캐릭터에 관련된 재화들만 입력하는 것이 그나마 덜 번거로우실 겁니다.
"Add Character"를 눌러 캐릭터를 추가해 봅니다.
만일 이 리스트에 없는 신캐릭이나 유출된 캐릭이라면 "Add Custom Character"를 이용해 직접 관련 정보를 넣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재화의 숫자가 이미 정해저 있기 때문에 종류만 맞추어서 넣으면 알아서 나머지는 사이트가 알아서 세팅해 줍니다. 여기서는 예제를 위해 다이루크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현재 캐릭터의 레벨과 특성상태, 특성 레벨 관련 별자리 돌파여부 ("+3"을 활성화) 등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레벨의 경우 누르면 나오는 숫자들에서 선택하거나 ('+' 표시는 돌파되었다는 뜻입니다) 아니면 -/+버튼을 눌려서 특정 레벨을 정할 수 있습니다.
예제로 레벨을 85로 설정하고, 역날의 화염 별자리가 뜷려있다고 설정했으며 특성은 999로 정해보겠습니다.
다 하고 나면 이렇게 다이루크 육성 카드가 추가됩니다. 현재 목표수치를 알 수 있고, 필요한 전체 레진과 이 레진을 기반으로 육성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이 계산되어서 표시됩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180레진보다는 160레진만 쓸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충전을 할 경우 하루당 쓰는 레진이 변하기 때문에 보이는 날짜에 신경을 쓰지 마시고 레진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아래의 요일들은 관련 특성책 비경이 열리는 날들을 표시한 것입니다.
(참고로 보시다시피 주간보스 토벌 아이템도 레진 계산에 들어가지만 용매사용이 고려되지 않습니다.)
일단 하나하나 입력해 봅니다. 먼저 보라책 아이콘을 눌려서 현재 가지고 있는 경험치책의 숫자를 적어넣습니다. 이런 식으로 가지고 있는 재화들의 보유숫자를 입력합니다.
참고로 필드보스 토벌 아이템이 보여지면 굳이 각 보석을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필드보스나 주간보스 토벌 아이템을 클릭하면 그것과 함께 관련이 되는 모든 보석들도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막 토벌이 끝난 직후 알트탭을 하고 곧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입력이 끝나면 카드에 나와있는 재화들의 숫자가 줄어들었고, 여기에 맞추어서 전체 필요한 레진과 날짜 또한 줄어든 것을 확일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다 채웠으면 초록색 체크가 재화 아이콘에 표시됩니다.
종종 이렇게 작게 숫자가 뜨는데, 이것은 합성대에서 아래의 숫자만큼 합성을 해야 한다는 표시입니다.
다 적고 나서 다이루크의 이름이 있는 탭으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숨겨져 있던 4개의 아이콘들이 뜹니다.
왼쪽의 연필 아이콘은 목표 레벨이나 특성 레벨은 변경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편집버튼입니다.
그 옆의 +버튼은 육성이 다 끝났을 경우를 위한 완료버튼입니다. 먼저 게임내에서 정한 대로 레벨과 특성작을 다 올린다음, +버튼을 누르면...
최종 확인창이 이렇게 뜹니다. 여기서 확인버튼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재화를 계산해서 플래너 인벤토리의 재화의 양을 조정합니다.
경험치책을 사용하는 방법이 각 사람마다 틀리기 때문에 거의 높은 확률로 남아있는 경험치책과 모라의 양이 플래너와 게임사이에서 일치하지는 못합니다. 이것을 위해 따로 남아있는 경험치책과 모라를 다시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카드 오른쪽의 전원버튼은 비활성화 버튼입니다. 만일 육성중인 캐릭터들의 숫자나 무기가 너무 많아서 부담감을 느낀다면 일단 비활성화를 통해서 어느정도 교통정리를 할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휴지통 버튼은 해당 캐릭터/무기를 삭제합니다. 참고로 삭제한다고 해도 이미 입력된 재화들의 정보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참고로 무기의 경우 마법광물은 레진계산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아래 보시다시피 907개의 광물이 필요한 레진의 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무기를 추가할 때 Event Weapon 1.5X EXP gain 옵션은 보통 배포무기가 나올 때 1.5배 보너스를 위한 옵션입니다. 필요한 광물숫자뿐만 아니라 모라 또한 줄어들기 때문에 영향이 있습니다.
3. 관리 (HJKKTEW)
이렇게 계속해서 캐릭터나 무기를 추가할 수 있으며, 육성 순위는 맨 처음 입력한 캐릭터부터 계산됩니다. 맨 오른쪽 탭에는 전체 필요한 재화가 다 표시됩니다.
물론 육성 순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Manage Prioity 버튼을 눌려서...
여기서 마우스로 드래그를 해서 순위를 다시 정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잠깐 얘기했지만, 육성재화의 수가 너무 많아서 심적으로 부담이 된다면 카드 오른쪽에 있는 비활성화 버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보기만 해도 어지러워서 설탕을 비활성화 하면 카드 전체가 검게 변하면서 설탕에 관련된 육성 재화들은 더 이상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면 단순히 삭제했다가 육성을 까먹는 사태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버튼을 누르면 활성화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원한다면 Manage Inventory를 눌려서 모든 재료를 다 입력할 수 있습니다.
좀.... 많이 빡세보이죠? 걍 캐릭마다 입력하고 확인하는 것이 편합니다.
마지막으로 성유물에 관련된 레진계산을 원하신다면.... 맨땅에서 시작한다고 가정할 때 대략 9000레진이 든다고 감안하시면 됩니다.
성유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게시물을 참고하세요.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5d7282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2.jpg](https://i1.ruliweb.com/img/22/03/02/17f4939dd7b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3.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3bf1bf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4.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4103de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5.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45ab18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6.jpg](https://i1.ruliweb.com/img/22/03/02/17f495be41b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7.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64dff0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8.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6e7175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9.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6f6403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0.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768593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1.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78270c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2.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7bc3aa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3.jpg](https://i1.ruliweb.com/img/22/03/02/17f4980ba43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4.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7eacfb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5.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832ae1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6.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862807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7.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951e34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8.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8cb182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19.jpg](https://i1.ruliweb.com/img/22/03/02/17f498cf5a2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20.jpg](https://i1.ruliweb.com/img/22/03/02/17f49931072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21.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940f17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22.jpg](https://i1.ruliweb.com/img/22/03/02/17f4999405b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23.jpg](https://i3.ruliweb.com/img/22/03/02/17f499a655b4e4b54.jpg)
![[튜토리얼] 잘 계획해서 캐릭터 육성해보기 GC Planner_24.jpg](https://i2.ruliweb.com/img/22/03/02/17f49a2f38f4e4b54.jpg)
(IP보기클릭)1.241.***.***
(IP보기클릭)119.194.***.***
(IP보기클릭)104.6.***.***
캐릭이 많아지고 이것저것 벌리다보면 점점 이 캐릭이 무슨 육성재료를 쓰는지, 어느 요일에 파밍을 해야 하는지 햇갈리게 되어서 결국 계속 나무위키나 KQM을 뒤적거리게 됩니다. 결국에는 이게 은근히 스트레스가 쌓이더라고요. 여기에 실수까지 하면 레진은 돌아오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더욱 빡치게 되고요. 처음 셋업하는 것이 시간이 좀 걸리지만, 계속 위키페이지나 가이드를 참고하는 것보다 플래너에 들어가서 한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시간도 절약되고 많이 편리해집니다. 계속 하다보면 재료 숫자 기록하는 것도 익숙해 집니다. | 22.03.02 19:43 | |
(IP보기클릭)119.194.***.***
그렇군요 아직 원린이라 궁금했습니다 ㅎㅎ 고인물들의 세계는 심오하군요 | 22.03.02 20:03 | |
(IP보기클릭)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