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글 제목에 기종을 표시한 이유는...
유저분들 얘기를 들어보니 pc와 ps5는 환경적 차이가 다소 크다는 생각이 들었고,
저의 경험이 다른 플랫폼에서는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겠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pc만 있다면 둘 다 해봤으면 하지만 아직은 제가 그러질 못해서 아쉬운 마음 뿐입니다 ㅠㅠ
이 부분 감안해주시고, 현재 PC로는 어떤 식으로 대전이 진행되고있는지 피드백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무튼 글을 이어나가자면...
레이저 빌드의 장점은 우선 압도적인 화력과 넓은 판정 범위입니다.
단점이라하면 직사화기라서 무빙을 치고 있는 상대에게 장거리 사격이 쉽지 않고
EN부하가 많아 기동이 어렵다는 점이겠죠.
실탄 라이플은 이와 정반대입니다. 어딘가 아쉬운 데미지, 대신 높은 스태거 수치를 가지고 있고
레이저에 비하면 곡사화기이지만 좁은 판정을 지녔습니다.
대신 대체적으로는 레이저보다 리치는 긴 편입니다.
무엇보다 EN부하가 낮아 부스터 관리가 편하고 그만큼 기동성이 늘어납니다.
이 둘이 같은 실력으로 붙었을 때 현실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레이저가 조금 더 유리해보이기는 합니다.
우선 레이저와 상대할 때 장시간 싸우면 무조건 불리해집니다.
레이저가 아무리 직사화기라도 일정 거리가 붙는 순간 모든 공격을 회피하기란 불가능하죠.
조금씩 스쳐도 대미지가 눈에 띄게 많이 쌓이게돼서, 언제 내 체력이 이렇게됐지라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따라서 레이저는 빠른 시간안에 스태거를 유도해 극딜을 넣고 제압을 해주는 것이 정석입니다.
하지만 대미지를 조금씩 쌓아올려 상대를 갉아먹는 실탄 라이플은 스펙상 그런 상황을 쉽게 유도하질 못합니다.
결국 실탄 라이플이 가야할 길은 경량의 기동을 활용하여 레이저를 피하며 대미지를 최소화하고 공략하는 길밖에 없습니다.
점프의 순간 속도의 상승과 QB의 방향전환을 이용하여 직사화기의 약점을 파고들어 공략하는 것이죠.
이번 영상은 그 부분에 집중해서 뽑아봤습니다.
PS의 경우는 어느정도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무빙이 가능하지만 PC는 핑 환경이 좋지못해서 생각한대로 잘 될지는 확신하기가 어렵네요 ㅠㅠ
아무튼 재미있게 봐주시고, 다양한 의견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문
[영상] (PS5 PVP) 실탄 라이플로 레이저를 잡아봅시다. [7]
2023.11.01 (11:15:28)
아머드 코어 6 |
||
|---|---|---|
평점장르TPS한글 지원한국어지원(자막) |
|
유통사프롬 소프트웨어,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일정[출시] 2023.08.25 (PC)[출시] 2023.08.25 (PS4) [출시] 2023.08.25 (PS5) [출시] 2023.08.25 (XBOX ONE) [출시] 2023.08.25 (XSX) |

(IP보기클릭)222.100.***.***
(IP보기클릭)222.100.***.***
충격력은 대체로 실탄계가 높게 나오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리니어가 아닌 이상 탄속에서 밀려서... 같은 거리를 두고 있으면 레이저쪽이 좀 더 회피하기 어렵습니다. | 23.11.01 11:38 | |
(IP보기클릭)222.100.***.***
아참, 카라사와를 빼먹었네. 카라사와 1단챠지샷의 레이저는 탄속 800입니다. | 23.11.01 11:40 | |
(IP보기클릭)115.188.***.***
(IP보기클릭)118.235.***.***
레이저의 장점이 상당히 눈에띄죠. 스태거가 터지기 전에도 많은 데미지를 준다라는 점은 확실히 매력적입니다. 몇가지 기동적인 부분에서 패널티가 있어도말이죠 ㅋㅋㅋㅋ | 23.11.01 14:54 | |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121.128.***.***
ㅋㅋㅋㅋㅋㅋ 발사될 때 총구 벌어지는건 참 멋있는데 기본 외형은 좀…공감합니다 ㅋㅋㅋㅋㅋ | 23.11.01 20: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