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미국에서 인기 상승 중이라는 한국 음식.jpg [18]



(25744)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3982 | 댓글수 18
글쓰기
|

댓글 | 18
1
 댓글


(IP보기클릭)106.244.***.***

BEST
이게 정말 격세지감인 것이 서양 애들은 떡의 식감을 극혐했었거든. 우리가 떡에서 느끼는 '쫀득함' 이 쟤네 입맛에는 하리보 젤리같이 '이빨로 씹으면 반발력이 있는 탱탱함' 을 뜻하는건데 이빨로 씹으면 쑤욱 하고 이빨이 들어가버리니까. 오이나 가지 싫어하는 사람들이 오이 식감이 싫어서 싫다고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었지. 떡볶이 국물/소스는 대체적으로 달콤매콤해서 좋아하는데 떡과 오뎅은 못먹는 애들이 70% 이상이었음. 그랬던 애들이 입맛을 바꿀 정도로 떡볶이가 유행한다는 건 한류가 정말 크긴 크구나 라는거, 그리고 문화 침공이 개존쎄구나를 다시 한번 느끼게 하는 일인듯.
24.05.22 10:54

(IP보기클릭)58.29.***.***

BEST
https://youtu.be/_F1Qb8dItV8 옛날에 15년전 무도에서 나왔던 남자 셰프 말로는, 제가 미국 친구들에게 떡볶이 대접해봤는데... "싫어힙니다!"라고 할 정도로 다들 안좋아했었지. 진짜 15년 지나긴했지만 저렇게 변한다고?
24.05.22 10:48

(IP보기클릭)39.125.***.***

BEST
근데 저렇게 브랜딩 선점했으면 걔네가 아무리 그래봐도 별 의미 없을껄ㅋㅋㅋ 미국에서 김밥도 여전히 스시라고 하는거랑 비슷한 느낌이랄까...
24.05.22 10:40

(IP보기클릭)58.29.***.***

BEST
그거도 있고 당시에 매워서 엄청 안좋아했다나봐. 그런데 BTS등의 한국 연예인들이 맛있게 먹고 하니까 관심가지게된거 맞다니까....
24.05.22 10:52

(IP보기클릭)223.39.***.***

BEST
원래 서양인들이 찰지고 끈적끈적한 떡의 식감을 싫어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24.05.22 10:51

(IP보기클릭)180.66.***.***

BEST
외국살때 한국음식 반응보면 전통음식에선 불고기, 떡갈비 같은 간장베이스 고기요리하고, 깁밥이 반응이 좋았고, 외식분야는 한국식 고기구이집이 인기가 좋았지, 가끔 우리집에서 자고 갈땐 야식으로 한국 라면 끓여서 같이 먹었는데, 이것도 죽인다고, 콜라랑 잘 어울린다고, 잘 퍼먹었음. 확실히 떡볶이는 후순위였는데. 시대가 변하긴 했다.
24.05.22 11:04

(IP보기클릭)106.244.***.***

BEST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해당 문화에 대한 우호감이 생기면 그 나라의 음식에 대해서도 관대해진다고 생각함.
24.05.22 11:24

(IP보기클릭)112.168.***.***

짱.깨 : 앗, 떡볶이도 중국 음식이라고 하겠다고 한다고? 와, 이거다. 떡볶이도 원래 중국거다!!!
24.05.22 10:39

(IP보기클릭)39.125.***.***

BEST
근데 저렇게 브랜딩 선점했으면 걔네가 아무리 그래봐도 별 의미 없을껄ㅋㅋㅋ 미국에서 김밥도 여전히 스시라고 하는거랑 비슷한 느낌이랄까...
24.05.22 10:40

(IP보기클릭)121.14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4.05.22 10:45

(IP보기클릭)223.38.***.***

하긴 힘들거 같은데 걔네들은 볶는 것과 튀기는 것 전문가라서 아 떡튀로 억지로 중국음식이라고 오염시킬 여지는 있긴 하겠네
24.05.22 10:48

(IP보기클릭)58.29.***.***

BEST
https://youtu.be/_F1Qb8dItV8 옛날에 15년전 무도에서 나왔던 남자 셰프 말로는, 제가 미국 친구들에게 떡볶이 대접해봤는데... "싫어힙니다!"라고 할 정도로 다들 안좋아했었지. 진짜 15년 지나긴했지만 저렇게 변한다고?
24.05.22 10:48

(IP보기클릭)223.39.***.***

BEST
카탈리나 에란초
원래 서양인들이 찰지고 끈적끈적한 떡의 식감을 싫어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 24.05.22 10:51 | | |

(IP보기클릭)58.29.***.***

BEST
디씨인사이드
그거도 있고 당시에 매워서 엄청 안좋아했다나봐. 그런데 BTS등의 한국 연예인들이 맛있게 먹고 하니까 관심가지게된거 맞다니까.... | 24.05.22 10:52 | | |

(IP보기클릭)119.193.***.***

디씨인사이드
찰지고 끈적끈적한 서양 음식 재료를 하나 들어보면, 녹인 치즈?? 김치도 처음에는 발효 음식이라고 싫어했는데, 와인, 치즈도 발효 음식이라고 김치 다큐 앞에 설명을 해줌. | 24.05.22 10:55 | | |

(IP보기클릭)222.232.***.***

카탈리나 에란초
먹는 세대가 다르니까 지금 떡볶이를 먹는 세대들은 이미 어릴때부터 한국문화에 익숙해져서 그럴걸 | 24.05.22 11:00 | | |

(IP보기클릭)211.51.***.***

짱■ 반응 예상 “조선 떡볶이 안 맵다 해 매운 떡볶이는 원래 쓰촨성이 유래다 해”
24.05.22 10:50

(IP보기클릭)106.244.***.***

BEST
이게 정말 격세지감인 것이 서양 애들은 떡의 식감을 극혐했었거든. 우리가 떡에서 느끼는 '쫀득함' 이 쟤네 입맛에는 하리보 젤리같이 '이빨로 씹으면 반발력이 있는 탱탱함' 을 뜻하는건데 이빨로 씹으면 쑤욱 하고 이빨이 들어가버리니까. 오이나 가지 싫어하는 사람들이 오이 식감이 싫어서 싫다고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었지. 떡볶이 국물/소스는 대체적으로 달콤매콤해서 좋아하는데 떡과 오뎅은 못먹는 애들이 70% 이상이었음. 그랬던 애들이 입맛을 바꿀 정도로 떡볶이가 유행한다는 건 한류가 정말 크긴 크구나 라는거, 그리고 문화 침공이 개존쎄구나를 다시 한번 느끼게 하는 일인듯.
24.05.22 10:54

(IP보기클릭)115.140.***.***

길가다낙댑봐쏘
초밥도 처음엔 그랬잖아. 결국 문화의 힘이 식감 마저 극복을 시켜주는것 같음. | 24.05.22 11:01 | | |

(IP보기클릭)223.39.***.***

길가다낙댑봐쏘
근데 좀 의심스럽긴 함. 정말로 생소하고 식감도 낯설고 해서 싫어하다, 츄라이 해보고 맛있다 좋아하는 건지, 아니면 그냥 옐로 몽키 간식을 왜 먹어! 하는 속셈에 구차한 핑계 대다가, 이제는 그런 말 안 통할 거 같아서 마지못해 인정하는 건지. 예전에 참기름도 스컹크 냄새 난다느니 하는 되도 않는 헛소리 했던지라, 영 곱게 안 보임. 진짜 맛있어서 유행이라기보다는 유명하기로 유명해져서 유행아닌가 싶고. 그렇지 않았으면 원숭이 새끼들 문화는 신경쓰고 싶지 않았을지도 몰라. | 24.05.22 11:09 | | |

(IP보기클릭)106.244.***.***

BEST
수치스러운것에저항하라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해당 문화에 대한 우호감이 생기면 그 나라의 음식에 대해서도 관대해진다고 생각함. | 24.05.22 11:24 | | |

(IP보기클릭)180.66.***.***

BEST
외국살때 한국음식 반응보면 전통음식에선 불고기, 떡갈비 같은 간장베이스 고기요리하고, 깁밥이 반응이 좋았고, 외식분야는 한국식 고기구이집이 인기가 좋았지, 가끔 우리집에서 자고 갈땐 야식으로 한국 라면 끓여서 같이 먹었는데, 이것도 죽인다고, 콜라랑 잘 어울린다고, 잘 퍼먹었음. 확실히 떡볶이는 후순위였는데. 시대가 변하긴 했다.
24.05.22 11:04

(IP보기클릭)39.7.***.***

제발 안돼
24.05.22 11:10

(IP보기클릭)175.196.***.***

한중일 식문화가 너무 달라서 신기하긴 할꺼야 서구 애들도 동아시아음식이라고 하면 중일정도만 즐기고 한국은 패스했는데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음식을 알게되고 중일과 베이스부터 맛까지 완전 다르니깐 신세계일 수 밖에 특히 음식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 재료들을 한국음식은 거의다 커버 가능 또 신선 채소류 반찬이 풍부해서 건강식으로도 인기를 얻기 좋음
24.05.22 11:26

(IP보기클릭)182.228.***.***

내가 겪어 본 어른 외국인들은 쌈장 엄철 좋아함. 김밥, 불고기 + 채소 + 쌈장 먹여 봐. 만점이야. ㅎㅎ
24.05.22 12:07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49)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1)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4)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3)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5)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9)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0)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2 전체공지 존경하는 루리웹 이용자 여러분께 8[RULIWEB] 2024.06.17
118 전체공지 존경하는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올립니다. 8[RULIWEB] 2024.06.17
31206849 공지 정치 유머게시판 통합 공지 - 추가 (2020.03.22) _[RULIWEB] 90 5211160 2017.05.12
31150611 정치 루리웹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명왕' 문재인입니다. (2357) 레알명왕 8367 10283492 2017.05.04
BEST 위증교사 녹취록이 증거 인정되면 타격이 이유 (25) Kaltzkalintz 107 6852 07:26
BEST 이재명이 꼼꼼한 스타일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7) 루리웹-3530481813 102 5198 01:52
37413107 정치 환빠교수 71 7228 2024.06.17
37413102 자작 칼라는코닭 37 5928 2024.06.17
37413096 경제 @Crash@ 26 4432 2024.06.17
37413083 정치 TERMI.D.OR 112 6416 2024.06.17
37413072 과학 고인형 아서 132 5376 2024.06.17
37413071 사회 레이팡 91 6881 2024.06.17
37413065 사회 레이팡 27 2645 2024.06.17
37413064 국제 smile 66 4906 2024.06.17
37413054 정치 레이팡 62 3850 2024.06.17
37413053 참고 라비아타는 사랑입니다 89 3151 2024.06.17
37413048 과학 영화는 영화다. 45 2282 2024.06.17
37413047 정치 서찬혁 60 4729 2024.06.17
37413043 정치 마삼중공업 37 2947 2024.06.17
37413039 정치 레이팡 64 3559 2024.06.17
37413033 사회 개짖마달 63 2931 2024.06.17
37413031 유머 하겐다쯔 18 1499 2024.06.17
37413029 유머 쇼틀리 76 4060 2024.06.17
37413028 정치 레이팡 36 1726 2024.06.17
37413019 정치 아하하하핳 42 2793 2024.06.17
37413017 정치 레이팡 40 2040 2024.06.17
37413013 역사 전직 재수생 33 2313 2024.06.17
37413012 유머 레이팡 53 3623 2024.06.17
37413008 정치 마르체라 61 2447 2024.06.17
37412997 유머 루리웹-3601369890 50 3369 2024.06.17
37412993 정치 레이팡 15 698 2024.06.17
37412991 국제 민트Candy 54 2470 2024.06.17
37412983 정치 레이팡 53 3162 2024.06.17
37412980 유머 레이팡 48 3245 2024.06.17
글쓰기 1161794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게시판 관리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