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그릇의 발명이 인류에게 끼친 영향.jpg [26]


profile_image

profile_image (334402)
93 | 26 | 21956 | 비추력 605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26
1
 댓글


(IP보기클릭)14.57.***.***

BEST
결말이 왜그래 ㅋㅋㅋㅋㅋ 근데 화식이 시작되면서 인류 문명이 격변한건 사실이긴 함 ㅋㅋㅋㅋ
25.11.16 14:29

(IP보기클릭)220.125.***.***

BEST

인류가 물을 끓이지 않았더라면 절대로 나오지 못할 물건 증기 터빈
25.11.16 14:35

(IP보기클릭)121.129.***.***

BEST

세라믹의 발명은 우주시대까지 두고두고 써먹지 ㅋㅋ
25.11.16 14:32

(IP보기클릭)168.188.***.***

BEST

??? 그러니까 물 좀 끓이고 마시라고 ㄱㅈㅅ들아 그러다 뒤진다고
25.11.16 14:35

(IP보기클릭)106.101.***.***

BEST
위생면에서도 보존면에서도 영양적인 면에서도 엄청나긴 하지
25.11.16 14:35

(IP보기클릭)203.232.***.***

BEST
요리래봤자 볕에 말리거나 구이가 다이고, 찜 하려면 식물 잎으로 감싸서 숯이나 재와 함께 묻는 식 뿐이니까. 곡물류? 겉을 태워 비벼서 까먹음.
25.11.16 14:37

(IP보기클릭)118.235.***.***

BEST
이 글 보니까 어쩔수 없이 저녁은 수육을 먹어야겠다
25.11.16 14:29

(IP보기클릭)14.57.***.***

BEST
결말이 왜그래 ㅋㅋㅋㅋㅋ 근데 화식이 시작되면서 인류 문명이 격변한건 사실이긴 함 ㅋㅋㅋㅋ
25.11.16 14:29

(IP보기클릭)175.195.***.***

Lailai_@

| 25.11.16 14:30 | | |

(IP보기클릭)124.153.***.***

Lailai_@
소화 행위의 외주화ㅋㅋㅋ | 25.11.16 14:39 | | |

(IP보기클릭)14.46.***.***

토기가 없던 시절에는 밥 못 먹었겠넹
25.11.16 14:29

(IP보기클릭)203.232.***.***

BEST
대서양과태평양
요리래봤자 볕에 말리거나 구이가 다이고, 찜 하려면 식물 잎으로 감싸서 숯이나 재와 함께 묻는 식 뿐이니까. 곡물류? 겉을 태워 비벼서 까먹음. | 25.11.16 14:37 | | |

(IP보기클릭)39.113.***.***

루리웹-8329133273
우리 모두가 몬스터헌터 고기굽기를 하고 있는 미래라니 | 25.11.16 14:38 | | |

(IP보기클릭)220.119.***.***

요노모리 코베니
진흙구이 같은 거도 많이 해먹었을 거임. 그러다 어? 구운 진흙이 단단해지네? 하면 토기 제작 시작하고 그러겠지. | 25.11.16 14:39 | | |

(IP보기클릭)221.147.***.***

대서양과태평양
뭐 쌀밥 자체도 밥이 나오고 좀 지나서 보편화 되지 않았을까 그 전에는 수수라던가 별별 잡곡이 주였을테고 | 25.11.16 14:57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이 글 보니까 어쩔수 없이 저녁은 수육을 먹어야겠다
25.11.16 14:29

(IP보기클릭)121.129.***.***

BEST

세라믹의 발명은 우주시대까지 두고두고 써먹지 ㅋㅋ
25.11.16 14:32

(IP보기클릭)220.125.***.***

BEST

인류가 물을 끓이지 않았더라면 절대로 나오지 못할 물건 증기 터빈
25.11.16 14:35

(IP보기클릭)124.54.***.***


음...라면...
25.11.16 14:35

(IP보기클릭)59.12.***.***

루리웹-222722216
와 폭력적이네 | 25.11.16 20:49 | | |

(IP보기클릭)168.188.***.***

BEST

??? 그러니까 물 좀 끓이고 마시라고 ㄱㅈㅅ들아 그러다 뒤진다고
25.11.16 14:35

(IP보기클릭)106.101.***.***

BEST
위생면에서도 보존면에서도 영양적인 면에서도 엄청나긴 하지
25.11.16 14:35

(IP보기클릭)203.232.***.***

February02
뜨거운물을 조달 가능하면 대번에 평균 수명이 확 오를 정도라. ㅎㅎ | 25.11.16 14:37 | | |

(IP보기클릭)119.201.***.***

그럼 인류의 식생활이 크게 변화한 곡점 두개가 고기등을 불에 구워먹는 화식이랑, 물을 쉽게 끓이게 되는 지점 인가. 생각해보니 물을 끓여야 살균소독같은것도 쉬울테니 건강적인 면에서도 이득이네
25.11.16 14:35

(IP보기클릭)39.7.***.***

증기터빈은 그릇에서 시작되었다
25.11.16 14:36

(IP보기클릭)1.235.***.***

그러면 불을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아닌가....
25.11.16 14:37

(IP보기클릭)106.101.***.***

무지개용
1차적으론 불이긴 함 | 25.11.16 14:39 | | |

(IP보기클릭)1.246.***.***

무지개용
단순한 불의 사용이랑 내열성을 가진 그릇을 사용해서 물을 끓이는거랑 매우 달라.. 그릇 없이 불만 피워서 물 끓일수 있어? | 25.11.16 14:39 | | |

(IP보기클릭)220.119.***.***

무지개용
불이 처음엔 불을 활용은 할 수 있어도 불씨를 만들어낼지 몰라, 그 불씨를 지키는 역할이 종교적으로 여겨질 만큼 자연 발생에 기인해 사용한 거라면, 그릇의 발명 부터는 슬슬 기술이라...ㅎㅎ | 25.11.16 14:41 | | |

(IP보기클릭)118.235.***.***

단순히 채집하거나 수확한 곡식 낱알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써도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나 벌레를 막아서 오래 보관할 수 있었으니까 농업의 시작과 함께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음 신석기 혁명 당시에 잉여 생산물은 별로 없었다곤 하지만 일단 곡물을 저장해서 다음 수확기까지 버틸 수 있게 되면서 농업만으로 먹고살 수 있게 되고 그렇게 정주민이 되면서 그게 문명의 시작으로 이어지게 되었으니까
25.11.16 14:57

(IP보기클릭)58.78.***.***

하늘물총새
빗살무늬토기 유명하지 장독대처럼 땅에 파묻어 사용하기 위해 끝이 뾰족한 모양 이었던가 | 25.11.16 15:05 | | |

(IP보기클릭)118.235.***.***

설탕물위스키
아마 그런 용도였을 걸 | 25.11.16 15:07 | | |

(IP보기클릭)58.78.***.***

25.11.16 15:01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