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ㅈ망
잇츠 트로닌' 타임
................이라고 말할거같다고 각오하고 들어갔는데 아니 왜 영화 괜찮아요?????
괜찮다고는 썼지만 막 엄청나게 훌륭하고 내실이 갖춰진 수준까진 아니고.
적어도 극장에서 팝콘들고가서 즐겁게 통 비우고 나설수 있는 그정도 영화로는 만들어졌다.
영화의 문제점을 말하자면 뭐............
이진법의 논리를 벗어난 새로운 감각을 느끼며 인간성을 깨닫고 인간이 되어가는 이야기
인간성은 어떤 존재냐가 아니라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생기는것
이런 이야기는 정말 너무 뻔질나게 많이 한걸 그대로 답습했고, 새롭지도 않다.
뭐 후반부의 대화에서 독특한 감수성과 관점이 느껴져서 좋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을만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영화에서 AI가 코드뭉치를 벗어난 인간성을 발현하고 그걸 느끼는 이야기는 [정이] 수준에서 논다.

메인빌런 아테나 역시 정말 밑도끝도없이 주어진 명령만을 우선시하며 행동하다 파국을 벌인다는 AI 캐릭터에서 조금도 나아간게 없고.
그나마 퀵실버형............악역 CEO 줄리안 딜린저가 특유의 머리만 좋은채 커버린 애새끼 연기를 탁월하게 잘 해냈다고 생각한다.
결말부의 파국에 치닫는 모습도, 쿠키영상의 (스포일러)하는것의 충격과 별개로 꽤 괜찮았다.
그런데도 영화가 괜찮았다는 느낌을 받았던 점을 이야기해보자면
일단 당연히 트론 시리즈니까 끝장나는 미니멀한 라이트 미학의 향연을 만끽할수 있다.
나인 인치 네일스의 음악은 다프트펑크가 아쉽지 않을 만큼 끝내주며, 영화의 편집도 음악에 잘 맞아떨어져 준수한 120분 뮤직비디오같기도 하다.
디즈니 회사의 설거지 담당(?) 으로 악명높았던 요아킴 뢰닝의 연출은 상업영화로서 폼떨어지는 모양없게 잘 살아났다.
그리고 액션씬이 상당히 많아서 대개 지루하지 않고 트론 시리즈의 독자적인 메카닉들 보는 맛도 준수하게 잘 살렸다.
그리고 이 영화가 골수팬들에게 마음에 들만하고 관객들에게도 꽤 인상깊게 다가올만한 것이
시리즈의 근본 주인공 케빈 플린의 특별출연 파트인데
예고편에서 보여준 비주얼은 색감이 확연히 다르다는 느낌은 줬어도 구작영화라 해봐야 어비스? 정도의 느낌을 주는데
영화 본편에서는..............
뺑끼 안치고 이 비주얼 룩 그대로 나오는 근본짓을 시전한다.
가히 구작팬들에겐 렉시의 귀환이요 톰캣의 재회와도 같은 충격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구작팬들이 아니라도 지금의 미학과 완전히 다른 그때의 미학을 디지털월드라는 설정으로 정당화하며 거부감없이 즐길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이 영화는 82년도 초기작을 그 40년 가까이 지난 시간에도 전혀 내팽겨치지 않고 애정하고 있었다는것처럼 굴며
그 애정이 영화에 분명히 드러나기에 엄근진 평론가 마인드로 극장문을 들어가도 이상하게 밉지가 않았다.
"그 애정과 리스펙의 반만큼이라도 2010년도 주연들에게 보여줬다면 더 좋았을텐데"
".,..........................................."
(IP보기클릭)221.151.***.***
이게 뭔데 계속 시리즈가 나오지 싶겠지만 82년도에 이런 장면을 선보였다는건 그야말로 혁신이었다
(IP보기클릭)39.117.***.***
계속 말하지만, 오히려 1982년작 트론을 보면 진짜 기가막힌 영화라는거임.
(IP보기클릭)39.117.***.***
누구는 왜 트론 시리즈의 미덕인 사이버스페이스 묘사를 줄였느냐? 라고 불평할 수 있지만, 원래 트론의 근본은 사이버스페이스만큼이나 테크노 스릴러의 면모도 분명히 있어서. 그리드라는 설정이 살아나기 위해서 트론 시리즈의 현실 파트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함.
(IP보기클릭)221.151.***.***
https://youtu.be/cFuRPMjYKhs?si=bhAl6OWiMwNA4Uxm 그당시 극장에서 이걸 본 사람들에겐 이게 아바타였어 솔직히 아바타 이상의 혁신이었지
(IP보기클릭)175.113.***.***
영화에서 헛웃음나오고 로튼 메타 몇점 깎였겠다 싶은 부분이 아테나가 스프링쿨러 맞으면서 멍때리는 부분인데 난 웃긴게 그 장면이 이상하게 좋더라고. 영화에서 말하는 인간성 획득이나 자유의지는 결국 '그냥 생기는거에요. 그냥 좋아하는것처럼' 이라는 뻔뻔한 기조가 킥이었던건가 싶더라.
(IP보기클릭)175.113.***.***
나하고 거의 비슷한 느낌인듯. 이게 이상하게 왜 괜찮지? 싶었거든. 난 80년대 트론 1편도 거의 모르는데. 그런데 나오면서 생각한게, 영화에 감성이 정말 따뜻했어. '80년대 틀딱 ip가 난 좋아요. 왜 좋냐면...말로 말하기 어려운데, 그냥 좋아하니까 영화로 만들면 안되나? '물론 돈 벌려 만드는거고 망하면 슬프겠지만, 설령 그렇다 해도 삶이란게 비연속적이고 끝이 있는거니까.' 솔직히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나 어지간한 퀄리티 곱절로 좋은 영화들보다 더 훈훈하게 볼수 있던 영화였음.
(IP보기클릭)14.36.***.***
(IP보기클릭)58.236.***.***
(IP보기클릭)121.171.***.***
(IP보기클릭)221.151.***.***
이게 뭔데 계속 시리즈가 나오지 싶겠지만 82년도에 이런 장면을 선보였다는건 그야말로 혁신이었다
(IP보기클릭)221.151.***.***
루리웹-7996239743
https://youtu.be/cFuRPMjYKhs?si=bhAl6OWiMwNA4Uxm 그당시 극장에서 이걸 본 사람들에겐 이게 아바타였어 솔직히 아바타 이상의 혁신이었지 | 25.10.13 21:50 | | |
(IP보기클릭)218.155.***.***
천공카드에 좌표찍어서 렌더링 하던 시절이라지 | 25.10.13 21:55 | | |
(IP보기클릭)211.119.***.***
이게..? 하면서 틀었는데 끝까지 다 봤네 열광할만 한 듯 | 25.10.13 22:01 | | |
(IP보기클릭)39.117.***.***
계속 말하지만, 오히려 1982년작 트론을 보면 진짜 기가막힌 영화라는거임.
(IP보기클릭)39.117.***.***
RussianFootball
누구는 왜 트론 시리즈의 미덕인 사이버스페이스 묘사를 줄였느냐? 라고 불평할 수 있지만, 원래 트론의 근본은 사이버스페이스만큼이나 테크노 스릴러의 면모도 분명히 있어서. 그리드라는 설정이 살아나기 위해서 트론 시리즈의 현실 파트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함. | 25.10.13 21:53 | | |
(IP보기클릭)175.113.***.***
사실 82년작 트론을 몰라도 이번 작에서 현실/가상의 대조가 레거시보다 더 균형이 잘 맞았다고 느꼈음. 레거시는 너무 붕 떠버린 이야기였는데 아레스는 퀄리티가 문제지 닻은 확실히 현실에 박고 이야기를 끌어갔거든. | 25.10.13 22:08 | | |
(IP보기클릭)211.234.***.***
이게 82년작 트론에서도 극중 세계관이 사이버스페이스임을 나타내는 장면들이 바로 현실에서 딜린저가 MCP랑 지지고 볶고 하는 장면들ㅇㅇ 현실과 가상의 대조가 명확한 장면이 나오는 만큼 사이버스페이스임이 더 강조되지만 레거시의 그리드는 솔직히 사이버스페이스 설정 떼놓고 보면 그냥 일반적인 SF의 미래 도시상이라. 그나마 극장에서 보는 사람들은 그리드 - 현실 구분을 화면 비율 차이, 3D 효과로 그나마 느낄 수 있다만, 가정이나 2D극장에선 그게 안 되니까. 오히려 아레스에서 묘사된 딜린저 그리드의 경우 직선적이면서 각진 디자인, 좁지만 회로기판을 연상케하는 도시 디자인까지 훨씬 더 사이버스페이스임이 강조된 느낌. 82년작 트론을 오마주한 딜린저와 아레스의 대화 장면도 이를 뒷받침해주고. | 25.10.13 22:35 | | |
(IP보기클릭)49.163.***.***
(IP보기클릭)219.255.***.***
정확히는...........사진만 나옴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근데 그 둘 찾고있다고 언급되면서 후속작이 "나온다면" 복귀할 희망회로 쌩쌩 돌아감 | 25.10.13 21:56 | | |
(IP보기클릭)175.113.***.***
나하고 거의 비슷한 느낌인듯. 이게 이상하게 왜 괜찮지? 싶었거든. 난 80년대 트론 1편도 거의 모르는데. 그런데 나오면서 생각한게, 영화에 감성이 정말 따뜻했어. '80년대 틀딱 ip가 난 좋아요. 왜 좋냐면...말로 말하기 어려운데, 그냥 좋아하니까 영화로 만들면 안되나? '물론 돈 벌려 만드는거고 망하면 슬프겠지만, 설령 그렇다 해도 삶이란게 비연속적이고 끝이 있는거니까.' 솔직히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나 어지간한 퀄리티 곱절로 좋은 영화들보다 더 훈훈하게 볼수 있던 영화였음.
(IP보기클릭)175.113.***.***
DDOG+
영화에서 헛웃음나오고 로튼 메타 몇점 깎였겠다 싶은 부분이 아테나가 스프링쿨러 맞으면서 멍때리는 부분인데 난 웃긴게 그 장면이 이상하게 좋더라고. 영화에서 말하는 인간성 획득이나 자유의지는 결국 '그냥 생기는거에요. 그냥 좋아하는것처럼' 이라는 뻔뻔한 기조가 킥이었던건가 싶더라. | 25.10.13 22:0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