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에서 소수의 자기 친구들 앞에서 말 재밌게 해서 모두 까기로 웃기는 친구였는데
슬슬 자기 친구들 말고 다른 애들한테도 웃긴걸로 유명해져서 나름 반에서 영향력이 있다가
모두까지가 마냥 무지성 까기가 아니라 나름의 논리를 가지고 까니까 다들 '얘가 잘 까네 뭘 좀 아네' 이렇게 생각하게 된거임
애니나 게임, 영화 이런거 새로 나오면 다들
'너 이거 봤냐, 너는 어떻게 평가하냐' 이러면서 절대적인 기준을 가진 사람인거 처럼 대해주니까
실제로 일부 분야에 대해서는 전문가이겠지만 다 맞을 수가 없는데 점점 내말이 다 맞음 약간 이런 스탠스로 가다가 ㅈ망한듯
비슷한 느낌으로는 교수 같은 사람들이 자기 분야에서 추앙 받으면 전혀 상관 없는 분야에 대해서
문외한급 지식을 가지고 평가질 하다가 욕먹던데 교수야 주 업무가 연구랑 수업이니까
사회적 논란 일어나면 알빠노 하면 미디어에 안나오면 그만인데 미디어가 주 업무인 방송인이 같은 절차를 밟아 버려서 망해버린
망했다해도 자기들만의 왕국을 세워서 꾸준히 놀겠지만, 다시 양지에서 아이돌 키우고 뭐 이런급으로 돌아오긴 쉽지 않을듯
모두까기가 이렇게 위험합니다
(IP보기클릭)118.235.***.***
제대로 끝까지 보지도 못하는게 평가질하는게 웃기지
(IP보기클릭)118.235.***.***
제대로 끝까지 보지도 못하는게 평가질하는게 웃기지
(IP보기클릭)175.119.***.***
시간 관계상 어쩔 수 없다면 어쩔 수 없는데 평가를 너무 가볍게 한게 문제인듯 나쁘게 말하면 프로정신이 없었다. 다른 게임 유튜버들은 엔딩보려고 최소 몇십시간 투자하고 좋네 나쁘네 하는데 이 사람은 2-3시간 길어도 5시간 내외로 하고 평가내려버리더라 | 25.07.13 00:44 | | |
(IP보기클릭)121.147.***.***
ㅇㅇ 사실 짧게 해도 평가는 내릴 순 있는데 그나마 허용되는 영역은 게임 시스템, 최적화, 그냥 말초적인 재미, 그래픽 정도지 스토리에 대한 평가거나 무지성 똥겜 낙인을 찍어 버려서 문제임... 심지어 그래픽이거나 말초적인 재미도 스토리가 좋다거나 연출, 자유성이 뛰어나면 그건 중요한게 아니게 될 때도 많은데도;;; | 25.07.13 00:5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