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ZD,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
##############################
[벤조디아제핀 복용]
│
▼
[GABA-A 수용체의 α-γ 부위에 결합]
https://en.m.wikipedia.org/wiki/GABAA_receptor
│
▼
[GABA의 작용 강화됨]
→ Cl⁻ 이온 통로 더 자주 열림
│
▼
[신경세포 안으로 Cl⁻ 이온 유입 증가]
│
▼
[신경세포 과분극 상태]
→ 흥분하기 어려운 상태가 됨
│
###############################
▼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
├─ 불안 완화 (Anxiolysis)
├─ 수면 유도 (Sedation)
├─ 항경련 작용 (Anticonvulsant)
├─ 근육 이완 (Muscle Relaxation)
└─ 기억력 저하, 진정 등 부작용 가능성
1. 주요 효과 (Effect)
| 효과 | 설명 | 주요 활용 질환 | 대표 논문 |
|---|---|---|---|
| 항불안 작용 (Anxiolytic) | GABA-A 수용체를 통해 신경 흥분 억제 → 불안 완화 |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 Baldwin DS et al., J Psychopharmacol. 2011【PMID: 21273293】 |
| 진정 및 수면 유도 (Sedative/Hypnotic) | 뇌의 각성 수준 억제 → 수면 유도 및 유지 | 불면증, 수면 장애 | Glass J et al., BMJ. 2005【PMID: 15851434】 |
| 항경련 작용 (Anticonvulsant) | GABA 신경전달 강화 → 뇌전증 억제 | 간질, 발작 상태 | Treiman DM, Epilepsia. 2001【PMID: 11737157】 |
| 근이완 작용 (Muscle Relaxant) | 척수 및 뇌간 수준에서 신경 억제 | 근육경련, 긴장성 두통 | van Tulder MW et al., Spine. 2003【PMID: 14501932】 |
| 마취 보조 (Pre-anesthetic) | 수술 전 진정/기억상실 유도 | 내시경, 수술 전 | Dundee JW et al., Br J Clin Pharmacol. 1980【PMID: 6986831】 |
짧은기간동안 불안감, 수면유도 할 수 있는 효과 좋은 약인데
2. 주요 부작용 (Side Effect)
| 부작용 | 설명 | 주의사항 | 대표 논문 |
|---|---|---|---|
| 인지 기능 저하 | 기억력, 집중력 저하 / 장기 사용 시 지속 | 노인에서 치매 위험 증가 | Barker MJ et al., CNS Drugs. 2004【PMID: 15291097】 |
| 의존성 및 금단 증상 | 심리적·신체적 의존 / 중단 시 불안, 발작 등 | 장기복용 시 중단 어려움 | Lader M, Addiction. 2011【PMID: 21355930】 |
| 낙상 위험 증가 | 어지러움, 졸림으로 인한 균형 저하 | 고령자 낙상 → 골절 위험 | Leipzig RM et al., JAMA. 1999【PMID: 10359388】 |
| 역설적 반응 | 공격성, 불면, 불안 증가 등 예외적 흥분 | 특히 청소년/노인에서 보고 | Mancuso CE et al., Pharmacotherapy. 2004【PMID: 15198472】 |
| 호흡억제 | 고용량 혹은 다른 CNS억제제 병용 시 |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위험 | Ekström MP et al., Eur Respir J. 2014【PMID: 24966329】 |
| 면역 저하 및 감염 위험 | 폐렴 등 감염 증가 가능성 보고 | 고령자/입원 환자 | Obiora E et al., Thorax. 2013【PMID: 22983577】 |
| Drug | Mean | Pleasure | Psychological dependence | Physical dependence |
|---|---|---|---|---|
| Heroin/Morphine | 3.00 | 3.0 | 3.0 | 3.0 |
| Cocaine | 2.39 | 3.0 | 2.8 | 1.3 |
| Tobacco | 2.21 | 2.3 | 2.6 | 1.8 |
| Barbiturates | 2.01 | 2.0 | 2.2 | 1.8 |
| Alcohol | 1.93 | 2.3 | 1.9 | 1.6 |
| Ketamine | 1.54 | 1.9 | 1.7 | 1.0 |
| Benzodiazepines | 1.83 | 1.7 | 2.1 | 1.8 |
| Amphetamine | 1.67 | 2.0 | 1.9 | 1.1 |
| Cannabis | 1.51 | 1.9 | 1.7 | 0.8 |
| Ecstasy | 1.13 | 1.5 | 1.2 | 0.7 |
| 순위 | 증상 | 설명 |
|---|---|---|
| 1위 | 불안(Anxiety) | 가장 흔한 증상. 원래 불안장애 치료제로 쓰이기 때문에 반동성 불안(rebound anxiety)이 심하게 나타남. |
| 2위 | 불면(Insomnia) | 반동성 불면(Rebound insomnia). 수면 잠복기 증가, 야간 각성 등으로 수면의 질 악화. |
| 3위 | 자율신경 항진 증상 | 심계항진, 발한, 떨림, 어지럼증, 위장 장애(메스꺼움, 설사 등) 등 교감신경계 항진. |
| 4위 | 감각이상(Paresthesia) | 피부 따끔거림, 전기충격감(electric shock sensation), 이명 등 비정상적인 감각 증상. |
| 5위 | 근육 긴장 및 통증 | 목, 어깨, 턱 부위에 주로 나타남. 떨림과 함께 동반 가능. |
| 6위 | 우울 증상(Depressive mood) | 무기력, 흥미 저하, 자살 사고 등. BZD가 억제했던 감정이 반동적으로 튀어나오는 경우. |
| 7위 | 집중력 저하/인지기능 저하 | 멍한 느낌, 기억력 저하, 두통 등. 직업적 기능 수행에 문제 유발. |
| 8위 | 공황발작(Panic attack) | 호흡곤란, 죽을 것 같은 느낌, 흉통 등 전형적 공황 증상. 기존 불안장애가 악화되기도 함. |
| 9위 | 발작(Seizures) | 특히 고용량 장기복용 후 갑작스러운 중단 시.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 |
| 10위 | 정신병적 증상(Delirium, Hallucinations) | 드물지만 위험. 환청, 망상, 혼돈 상태 등. 특히 고령자에서 흔함. |
| 사용 기간 | 권장 사항 |
|---|---|
| 2주 이하 | 일반적으로 안전하며 의존성 위험이 낮음. |
| 2~4주 | 의존성 위험이 증가하므로 사용 기간을 최소화하고, 필요 시 점진적 감량 고려. |
| 4주 이상 | 의존성 및 금단 증상 위험이 높아지므로 사용 중단을 고려하고,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감량 계획 수립 필요. |
| 6개월 이상 | 의존성 및 금단 증상 위험이 매우 높아지므로, 반드시 의료 전문가의 지도하에 점진적 감량 및 중단 필요.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11.***.***
ㅇㅇ 약효가 빠르고 좋다고 하더라 | 25.05.16 14:2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