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주재원하던 친구한테
중국 산업의 문제에 대해서 들은게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알리나 테무같은곳을 보면
"이 가격이 맞나?"싶을 정도로 저렴한것들이
막 쏟아져나오기 시작함
물론 품질이나 상품성이 좋냐면 그건 다른 이야기이지만
어찌되었든 압도적인 가성비와 물량이라는건 사실이지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 라는 의문이 생기는데
간단하다고 함
'낮은 인건비'
1) 인구가 많음
>낮은 인건비에서 일을 할 사람들은 많음
2) 젊은 세대는 고등 교육을 받았지만
이전 세대는 상대적으로 고등 교육을 받지 못함
고로, 공장이나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많음
뭐 여기까지는그렇다고 침
흔한 현상이니까
문제는 중국이 엄청난 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소득 격차가 엄청나게 벌어졌고 이에 대해서 갈등이
생긴다는것
대표적으로 시진핑이
"젊은 사람들 취업안되면 시골가서 농사지어라"
라고하지만 젊은이들이 거부하 하는것도 저것들
때문이라고 함
중국에서 소위 시골이나 도시에서 먼 지방일수록
인건비는 점점 낮아지니
소위 "미래가 없다"라고 판단을
하고 일을 안해버리거나 알바만 하는 젊은 중국인들이
늘어난다는거
대표적으로 베이징 신입 평균 월급이 300만원정도라는
뉴스도 있거든?
조오오오오오오온나 많이 받는거지 중국기준으로
그런데 베이징에서 멀리 떨어지기 시작하면 월 100만원 혹은
그 이하를 받는곳도 널려있음
그러니 몇몇 중국인들이 한국에서 일하면서
"한국에서 설거지만해도 연봉3 천만원을 번다"라고 말하면
중국인들이 사기치지말라고 못믿는다는거.
실제로 알바천국가보면 주6일 근무에 10시간정도 일하는
식당 일 찾아보면 월급 300넘게 주는곳 많음
(그게 좋냐 나쁘냐를 떠나서 말이지)
아무튼 이런 양극화와 극단적인 상황속에서
중국은 경제 성장 동력을 놓칠수 없겠지?
그렇기에 아이러니하게도
경제가 성장하지만 '낮은 인건비'를 계속 유지해야하는
딜레마에 빠짐
'세계의 공장'이 되어서 돈을 벌고있지만
역설적으로 중국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은 계속
낮은 상태를 유지시켜야 산업이 돌아감
인건비를 낮춰야하니까
여기에다가 중국도 소위 '돈 많이주는 기업,대기업'이
국민 14억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게 현실이다보니
여기에서 병패가 터지는게 제일 크다고 하더라
(IP보기클릭)203.100.***.***
공장역할을 하는 국가들이 중국만 있는건 아니지만 아시겠지만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만큼 온간 공장과 기업들을 다 받아들이고 세계의 엄청난 양을 생산하면서 경제성장을 땡기다보니 생긴 부작용이 타 공장 국가보다 크게 나타난다고 하네요.
(IP보기클릭)203.100.***.***
이터널스카이
공장역할을 하는 국가들이 중국만 있는건 아니지만 아시겠지만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만큼 온간 공장과 기업들을 다 받아들이고 세계의 엄청난 양을 생산하면서 경제성장을 땡기다보니 생긴 부작용이 타 공장 국가보다 크게 나타난다고 하네요. | 24.03.16 09:43 | | |
(IP보기클릭)182.216.***.***
(IP보기클릭)203.100.***.***
말씀대로 문제는 이 규모가..중국은 14억짜리 규모다 보니 더더욱 부작용이 크게, 심하게 나타난다고하네요. 중국 젊은이들 출산률 꼬라박는것도 위와같은 맥락이라고 합니다. 쉽게말해 "대기업 취업 못하면 나는 100만원이나 벌면서 인생을 살아야해?" 가 되어버리니 그냥 포기하는거죠. 한국도 비슷한 현상이긴한데 여기는 14억짜리에 땅도 겁나크고 통제도 더 어렵다보니 더더욱 부각되는거라고하네요. 그렇다고 인건비를 올리고 통제를 하자니.... 말씀대로 그렇게해버리면 공장들이 빠지기시작할테고 그럼 또 부작용.... 쉽게말해 중국은 낮은 인건비로 공장을 돌려주는 계층이 있기 때문에 돌아가는 업계라고 설명하더군요 | 24.03.16 09:48 | | |
(IP보기클릭)182.216.***.***
그래서 중국의 문제라기보단...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문제. 미국은 결국 50년각 탈제조업화하다가 빈부격차 벌어지니간 트럼프의 보호무역 시대 열려고하잔슴. 유럽처럼 세금을 빡세게 잡고 자본순환율을 극대화하던가... 근데 또 이러면 기업들이 투자안하려고하고... | 24.03.16 10:0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