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화 출처 : 칼부림
부잔타이는 울라의 중흥기를 이끌었던 뛰어난 군주였다. 그러나 동시에 울라의 마지막 군주로서 망국의 오욕을 뒤집어 쓴 인물이기도 했다. 부잔타이의 능력이 전술했다시피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결국 몰락한 것은 그의 장점이 유별났던 만큼 단점과 한계 역시도 명확하였기 때문이며, 동시에 그와 동 시대에 그를 뛰어넘는 역량의 세력 지도자, 누르하치가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1613년 누르하치에게 패하여 자신의 나라 울라가 멸망한 뒤 여허로 망명하였으며, 그 곳에서 죽었다.
부잔타이는 울라의 군주로서 살아오면서 흔히 버일러, 혹은 한(汗)으로 호칭되었다. 둘 모두 여진의 군주급에게 붙는 호칭인데, 한은 임금을 뜻하며 버일러는 그보다 급이 낮은 군주를 의미한다. 부잔타이가 버일러 또는 한의 두 가지 호칭으로 불린 까닭은 그가 시기와 상황에 따라서 어떨 때에는 버일러로, 어떨 때에는 한으로 호칭되었기 때문이다. 그의 통치 말년, 즉슨 울라가 멸망하기 직전 무렵에는 확정적으로 '한'으로서 호칭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1그 이전에는 버일러로도 불리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잔타이는 버일러로 호칭될 때에 그의 이름 뒤에 버일러를 붙인 '부잔타이 버일러'로 주로 호칭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에게는 또 다른 이칭(異稱)이 존재했었으니 그것은 '하스후 버일러(hashū beile)'이다.
하스후 버일러라는 별칭에서 중심이 되는 부분은 결국 '하스후'이다. 버일러야 그의 직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의 별칭으로서의 성격을 규정하는 것은 그에 선행되어 존재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하스후는 무슨 뜻일까. 하스후는 만주어상에서 '왼쪽'을 뜻한다. 즉, 하스후 버일러는 직역하자면 좌(左) 버일러, 좌패륵(左貝勒)으로 번역할 수 있다.2
'좌 버일러'라는 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일견 16세기 여진 세력의 양두제 체제에서 착안하여 부잔타이의 형이자 부잔타이 단독 체제의 수립 이전 울라의 1인자였던 만타이를 '우 버일러', 그리고 동생인 부잔타이를 '좌 버일러'라고 판단할 수도 있으며 실제로 일리는 있는 추론이지만 그 근거는 빈약하다.
그보다도 가능성이 높은 것은 부잔타이의 신체행동적 특징에서 따와서 그를 '하스후 버일러'라고 칭했다는 것이다. 그 신체행동적 특징이란 바로 부잔타이가 주로 쓰는 손이 왼손이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부잔타이가 왼손잡이였기에 그를 '하스후 버일러'라고 칭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는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파악된다. 부잔타이는 울라 세력의 확장을 위해 조선과 여러 차례 충돌하였으므로 조선의 기록에도 물론 언급이 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부잔타이는 여러 형태의 인명으로 서술되는데 그것은 여진 인명과 별칭이 조선에서 익숙치 않았기 때문이다.
조선의 기록상에 언급된 부잔타이의 실명과 별칭중 가장 대표적인 명칭은 '하질이(何叱耳)'이다. 하질이는 즉슨 하스후 버일러의 별칭에서 직함을 의미하는 버일러를 떼고 하스후만을 조선식으로 음역화한 명칭이다. 조선의 기록을 살펴보면 당시 영의정 유영경이 말하기를 '하질이'(하스후 또는 하스후 버일러)라는 별칭은 부잔타이가 왼손으로 활을 쏘기 때문에(左弓) 붙은 별칭이라고 한다.3여진족들 역시도 보통 오른손으로 활을 쏘는데 부잔타이는 특이하게도 왼손으로 활을 쏘기 때문에-즉 왼손잡이였기에 그것을 특징화하여 이런 별칭이 붙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선의 기록을 통해서 부잔타이가 왼손잡이였고 그 때문에 그 특이한 행동습관으로 '하스후 버일러'라는 별칭이 붙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조선은 부잔타이의 실체에 대해 오랜 시간 파악하지 못했고, 또 울라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기도 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하스후의 뜻(왼쪽)을 생각해 보고, 유영경이 해당 발언을 할 당시의 조선이 울라의 외교관계에 대한 정보는 몰라도 울라 국내에 대한 정보는 나름대로 신빙성이 있는 정보들까지도 쌓아둔 것을 생각해 보자면 조선의 기록상에서 언급되었듯이 부잔타이가 왼손잡이로서 왼손으로 활을 쏘았기 때문에 그에게 '하스후 버일러'라는 별칭이 붙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살펴진다. 이는 김주원 교수의 논문을 통해서도 그 가능성이 인정된 바로, 현재까지 정설이라고 할 만 한 추론이다.4
이상의 글을 요약하자면 부잔타이의 대표적인 별칭인 '하스후 버일러'라는 별칭은 부잔타이의 신체행동적 특징에 의해 그에게 붙은 별칭이며, 그 특징이란 '왼손잡이'일 가능성이 높다. 다른 가설을 생각해 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위의 추론은 사료를 통하여 검증된 바로서 현재로서 정설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부잔타이는 하스후 버일러라는 별칭을 스스로 끝까지 쓰진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전의 글과 본글의 전반부에서 서술했듯 부잔타이의 말년에 그는 확실히 '한'으로서 불리고 있었다. 부잔타이가 한을 자처한 뒤부터는, 그의 '하스후 버일러'라는 구(舊) 호칭은 외부에서 부잔타이를 지칭할 때에만 쓰이지 않았을까 한다. 그러다가 울라가 멸망하고 부잔타이가 몰락한 뒤에야 다시 보편적으로 쓰인 것으로 생각된다.
---
1.만문노당 임자년 음력 9월, 계축년 음력 1월
2.이훈,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2018, p.82.
3.조선왕조실록 선조 38년 음력 11월 3일
4.김주원,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논총 제64집, 2010, p.68.

(IP보기클릭)106.251.***.***
번호들을 철거하여 자신의 세력에 이입시키고 조선의 국경과 조선군의 역습을 박살낸 뒤 조선으로부터 직첩과 면포를 얻어내며 무역관계를 구축하며 동해 여진계에도 자신의 영향력을 늘릴 정도로 능력 있는 군주였지만 자신보다 모든 면에서 상위호환인 누르하치가 존재해서.
(IP보기클릭)116.121.***.***
한을 자처했지만 외부에서는 버일러라 칭하는 거 보면 여진 바깥에서도 여진족 간의 알력다툼을 파악하고 있었다는 거네 ...근데 이거 완전 공명이랑 주유;
(IP보기클릭)220.125.***.***
서양 발음이 나오는게 신기하네
(IP보기클릭)116.121.***.***
한을 자처했지만 외부에서는 버일러라 칭하는 거 보면 여진 바깥에서도 여진족 간의 알력다툼을 파악하고 있었다는 거네 ...근데 이거 완전 공명이랑 주유;
(IP보기클릭)106.251.***.***
번호들을 철거하여 자신의 세력에 이입시키고 조선의 국경과 조선군의 역습을 박살낸 뒤 조선으로부터 직첩과 면포를 얻어내며 무역관계를 구축하며 동해 여진계에도 자신의 영향력을 늘릴 정도로 능력 있는 군주였지만 자신보다 모든 면에서 상위호환인 누르하치가 존재해서. | 23.07.09 14:32 | | |
(IP보기클릭)220.125.***.***
서양 발음이 나오는게 신기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