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SSD랑 글카 슬롯 레인공유 없는 X870E 보드는 없나요? [7]


profile_image


(1415067)
0 | 7 | 1997 | 비추력 172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7
1
 댓글


(IP보기클릭)182.225.***.***

BEST

> 옛날에는 없지 않았나요? 레인공유가 왜 생겼지? 생긴 이유는 PCIe 라는 방법으로 CPU 및 메모리와 곧장 고속 통신할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그 전에는 로컬버스 라는 것도 있었죠. 로컬버스는 거의 그래픽카드 전용으로 각 회사들마다 규격이 달랐습니다. 그러다가 PCIe 로 통일된 것입니다. - - - - 그리고 속도는... 일단 비디오카드 레인은 PCIe 3.0 이상이면 x8 만 되어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이건 메인보드 만의 문제가 아니라 CPU 와도 관계가 있습니다. 레인이라는 것은 PCIe 레인 의 숫자이고, 이는 CPU 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CPU 가 16레인 가지고 있고 메인보드가 16레인을 다루게 해주면 글카 8레인 쓰고 나머지 8레인을 PCIe SSD (또는 NVME SSD), 그 외 기타 PCIe 슬롯의 장치들과 나눠 씁니다. 예전에는 한동안 16레인 CPU 가 일반적이었습니다만 요즘은 16레인보다 많은 레인수를 가진 CPU 와 그런 CPU의 레인수를 그대로 쓸 수 있게 해주는 메인보드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엄청난 고사양 작업 할 거 아니면 PCIe 규격 발전에 따라 속도가 빨라지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쓰는 NVIDIA 가 요구되는 그래픽사양에 비해 PCIe 밴드위드(대역폭... 속도라고 생각하면 됨)를 적게 쓰는 압축방식을 사용하다보니 PCIe 레인수가 8x 정도만 되어도 전혀 문제를 느끼지 않는 상황입니다. HWmonitor 앱을 사용하면 그래픽카드의 bus interface 와 PCIe 스피드 를 모니터링 해볼 수 있는데, GPU 연산능력 한계가 먼저 오지, PCIe 의 한계가 먼저 오지는 않습니다.
25.10.01 05:15

(IP보기클릭)125.132.***.***

BEST
https://youtu.be/LXNNWbsX-y8?si=vFIntJo3vuzlAEYz
25.10.01 01:53

(IP보기클릭)125.132.***.***

25.10.01 01:53

(IP보기클릭)125.132.***.***

그리고 어차피 성능차이 벤치해봣자 1%도 차이 안나요
25.10.01 01:58

(IP보기클릭)125.132.***.***

Kylelin
5.0 16배속 8배속이 | 25.10.01 01:58 | |

(IP보기클릭)182.225.***.***

BEST

> 옛날에는 없지 않았나요? 레인공유가 왜 생겼지? 생긴 이유는 PCIe 라는 방법으로 CPU 및 메모리와 곧장 고속 통신할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그 전에는 로컬버스 라는 것도 있었죠. 로컬버스는 거의 그래픽카드 전용으로 각 회사들마다 규격이 달랐습니다. 그러다가 PCIe 로 통일된 것입니다. - - - - 그리고 속도는... 일단 비디오카드 레인은 PCIe 3.0 이상이면 x8 만 되어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이건 메인보드 만의 문제가 아니라 CPU 와도 관계가 있습니다. 레인이라는 것은 PCIe 레인 의 숫자이고, 이는 CPU 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CPU 가 16레인 가지고 있고 메인보드가 16레인을 다루게 해주면 글카 8레인 쓰고 나머지 8레인을 PCIe SSD (또는 NVME SSD), 그 외 기타 PCIe 슬롯의 장치들과 나눠 씁니다. 예전에는 한동안 16레인 CPU 가 일반적이었습니다만 요즘은 16레인보다 많은 레인수를 가진 CPU 와 그런 CPU의 레인수를 그대로 쓸 수 있게 해주는 메인보드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엄청난 고사양 작업 할 거 아니면 PCIe 규격 발전에 따라 속도가 빨라지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쓰는 NVIDIA 가 요구되는 그래픽사양에 비해 PCIe 밴드위드(대역폭... 속도라고 생각하면 됨)를 적게 쓰는 압축방식을 사용하다보니 PCIe 레인수가 8x 정도만 되어도 전혀 문제를 느끼지 않는 상황입니다. HWmonitor 앱을 사용하면 그래픽카드의 bus interface 와 PCIe 스피드 를 모니터링 해볼 수 있는데, GPU 연산능력 한계가 먼저 오지, PCIe 의 한계가 먼저 오지는 않습니다.
25.10.01 05:15

(IP보기클릭)182.225.***.***

JOSH
> M.2SSD 슬롯과 레인공유를 하는 글카 슬롯에 글카 꼽으면 > 글카 성능 반토막 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레인공유하는 > M.2 슬롯은 없다 생각하고 다른 슬롯에 M.2SSD 꼽으라던데 > 그래도 보통 M.2SSD 2개 정도는 꼽을 수 있겠죠? M.2 슬롯은 모양이 다른 PCIe 슬롯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M.2 에 뭔가를 꽂아서 컴에서 인식이 된다! 라는 것은 PCIe 레인을 하나라도 쓴다 라는 의미입니다. 예외가 있긴 한데, M.2 슬롯이 PCIe/NVME 용 SSD 와 SATA SSD 를 겸용으로 쓸 수 있는게 있습니다. 이 M.2 슬롯에 SATA SSD 를 꽂으면 PCIe 레인수를 잡아먹지는 않습니다. 대신, 다른 SATA 슬롯이 사용불가하게 될 수 있습니다. 당연히 그냥 SATA 규격 SSD 이므로 속도는 NVME 보다 낮습니다. | 25.10.01 05:25 | |

(IP보기클릭)223.39.***.***

X870E NOVA 사세요
25.10.01 06:53

(IP보기클릭)183.96.***.***

이실아나르
시퓨 태워먹는다며 절대 구매하지 말랍니다. | 25.10.01 09:57 | |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