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ce74\uc81c\ub098","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1},{"keyword":"\uc57c\uad6c","rank":2},{"keyword":"\ub864","rank":0},{"keyword":"\uc2a4\ud154\ub77c\uc18c\ub77c","rank":-4},{"keyword":"\ub9bc\ubc84\uc2a4","rank":1},{"keyword":"\uc820\ub808\uc2a4","rank":1},{"keyword":"\ub2c8\ucf00","rank":2},{"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9c8\ube44m","rank":-4},{"keyword":"\uba85\uc870","rank":1},{"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4},{"keyword":"\ud2b8\ub7fc\ud504","rank":"new"},{"keyword":"@","rank":1},{"keyword":"\uc544\uc774\uc628","rank":3},{"keyword":"\uc6d0\uc2e0","rank":-3},{"keyword":"\uc2a4\ud154\ub77c","rank":-3},{"keyword":"\ub9d0\ub538","rank":2},{"keyword":"\ub358\ud30c","rank":"new"},{"keyword":"\ub9c8\ube44","rank":-9}]
(IP보기클릭)112.167.***.***
이 견적을 봤을 때에 가장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은 컴퓨터의 외형, 겉모습의 아름다움을 신경 쓰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하는 점입니다. 그 부분을 확실히 밝혀주셔야 나머지 부품 선택이 좀 원활할 거 같네요. 세부적인 부품 선택에 아쉬움이나 의문점이 있어서 그렇지 전체적인 조합 자체가 안돌아가거나 불가능하게 짜여진 것은 아니니까 아래에 제가 적어둔 거 보시고 맘에 안 드시면 그냥 본인 생각한대로 가셔도 됩니다. 저는 주로 돈을 절약하는 쪽으로 조언 드릴텐데 결국 통장에서 돈 나가는 건 본인이니까 자기 판단대로 하세요. CPU 7500f 그냥 쓰셔도 되는데 지금 요 다음 세대의 9600x 와 둘의 가격차가 꽤 좁혀져 있는 상황입니다. 10만원 정도 더 내면 9600x 로 갈 수 있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그 정도 더 낼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 다른 부분에서 돈 아끼시고 그럼 돈 절약했으니 성능이나 좀 더 올려볼까? 하면 9600x 선택해주세요. 메모리 DDR5 의 삼성램 권하지 않습니다. 라이젠 7천번대 CPU 와 5600클럭 램의 조합을 권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설명할 수 있는데 그거 설명하려면 댓글 10줄 더 적어야 되니 일단 생략. 제 권장제품은 아래 제품입니다. TeamGroup DDR5-4800 CL40 Elite 메인보드 가급적 A보드는 권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분명 B보드보다 등급이 낮고 대체로 품질이 떨어지는데 값이 싸지 않기 때문입니다. 와이파이가 들어간 보드를 가급적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고 싶으시다면 ASRock B650M PG Lightning + WiFi6E 를 사시는 게 차라리 낫다고 봅니다. 그래픽카드 5060ti 정말 추천하고 싶지 않은 물건인데, 그만큼이나 현 시장상황에서 대안이 없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딱 이 정도 금액에 딱 이 정도 성능을 원하시면 어쩔 수 없이 쓰셔야 되구요. FHD 에서 평범하게 즐겜할거면 성능과 가격 좀 하향조정 해서 라데온 7600 이나 지포스 4060 싼거 쓰시거나 만약 이 견적을 QHD 에서 게임하실 용도로 쓰실 생각이라면 어떻게든 돈 더 보태서 5070 까지 올라가는 쪽을 권하고 싶습니다. SSD P31 은 저발열이 특징인 제품이고 그 점을 제외하면 현재 대세로 많이 쓰이는 애들보다 속도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쌉니다. 솔리다임 P44, 삼성 PM9A1 을 우선 권장합니다.
(IP보기클릭)121.140.***.***
(IP보기클릭)112.167.***.***
이 견적을 봤을 때에 가장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은 컴퓨터의 외형, 겉모습의 아름다움을 신경 쓰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하는 점입니다. 그 부분을 확실히 밝혀주셔야 나머지 부품 선택이 좀 원활할 거 같네요. 세부적인 부품 선택에 아쉬움이나 의문점이 있어서 그렇지 전체적인 조합 자체가 안돌아가거나 불가능하게 짜여진 것은 아니니까 아래에 제가 적어둔 거 보시고 맘에 안 드시면 그냥 본인 생각한대로 가셔도 됩니다. 저는 주로 돈을 절약하는 쪽으로 조언 드릴텐데 결국 통장에서 돈 나가는 건 본인이니까 자기 판단대로 하세요. CPU 7500f 그냥 쓰셔도 되는데 지금 요 다음 세대의 9600x 와 둘의 가격차가 꽤 좁혀져 있는 상황입니다. 10만원 정도 더 내면 9600x 로 갈 수 있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그 정도 더 낼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 다른 부분에서 돈 아끼시고 그럼 돈 절약했으니 성능이나 좀 더 올려볼까? 하면 9600x 선택해주세요. 메모리 DDR5 의 삼성램 권하지 않습니다. 라이젠 7천번대 CPU 와 5600클럭 램의 조합을 권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설명할 수 있는데 그거 설명하려면 댓글 10줄 더 적어야 되니 일단 생략. 제 권장제품은 아래 제품입니다. TeamGroup DDR5-4800 CL40 Elite 메인보드 가급적 A보드는 권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분명 B보드보다 등급이 낮고 대체로 품질이 떨어지는데 값이 싸지 않기 때문입니다. 와이파이가 들어간 보드를 가급적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고 싶으시다면 ASRock B650M PG Lightning + WiFi6E 를 사시는 게 차라리 낫다고 봅니다. 그래픽카드 5060ti 정말 추천하고 싶지 않은 물건인데, 그만큼이나 현 시장상황에서 대안이 없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딱 이 정도 금액에 딱 이 정도 성능을 원하시면 어쩔 수 없이 쓰셔야 되구요. FHD 에서 평범하게 즐겜할거면 성능과 가격 좀 하향조정 해서 라데온 7600 이나 지포스 4060 싼거 쓰시거나 만약 이 견적을 QHD 에서 게임하실 용도로 쓰실 생각이라면 어떻게든 돈 더 보태서 5070 까지 올라가는 쪽을 권하고 싶습니다. SSD P31 은 저발열이 특징인 제품이고 그 점을 제외하면 현재 대세로 많이 쓰이는 애들보다 속도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쌉니다. 솔리다임 P44, 삼성 PM9A1 을 우선 권장합니다.
(IP보기클릭)112.167.***.***
파워 7500f + 5060ti 현 조합 그대로라면 사실 500w 로도 괜찮고 안전빵으로 600w 정도 권장하는 수준입니다. 700w 까지 올라갈 필요는 사실 없어요. 다만 이거 100w 낮춘다고 해서 돈이 그렇게 많이 아껴지지 않는다는 점이 제품 선택을 애매하게 만들죠. 어차피 파워에 이 정도 돈 쓸 생각이시라면 지금처럼 700w 에 메이커 인지도 덜한 제품으로 가실지 아니면 600w 에 메이커 인지도 좋은 제품으로 가실지 정도는 선택하실 수 있겠습니다. CPU쿨러, 케이스, 케이스쿨러 이 부분이 이 견적의 가장 알 수 없는 부분입니다. 케이스 비싼거 고르셨어요. 3~4만원짜리 써도 괜찮을 견적에 16만원짜리를 넣으셨습니다. 물론 케이스 디자인은 온전히 개인의 취향이기에 자기가 돈 내고 멋있는 거 쓰겠다고 하면 무조건 오케이입니다. 하지만 이 케이스는 속이 들여다보이는 일명 '어항형 케이스' 이고 보통 어항형 케이스를 쓰고 컴퓨터 외형에 신경을 쓴다면 내부 부품의 외형도 같이 신경써서 분위기를 맞춥니다. 그런데 지금 이 구성은 케이스는 블랙인데 파워와 케이스쿨러, 그래픽카드는 화이트, 메인보드는 최하급, 램은 초록색 삼성시금치의 굉장히 혼잡한 구성입니다. 선택하셔야 합니다. 이 16만원 짜리 케이스가 맘에 들어서 이걸 쓰고 싶고, 여기에 걸맞는 컴퓨터 외형도 꾸미고 싶다면 그만큼 돈을 들이고 다른 부품도 외형에 신경쓰는 방향으로 가실건지 돈을 아끼실 거라면 아예 케이스도 안이 들여다보이지 않는 싼 걸로 가시고 (물론 3만원대에도 어항형은 있습니다만) 내부 부품도 외형에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 방향으로 가서 돈을 아끼실 건지 확실한 방향성을 잡아주세요. 지금 이 상태는 결코 권할만한 상태는 아닙니다. 매니아, 컴덕들이 괜히 눈에 불을 켜고 깔맞춤을 하려는 게 아닙니다. 매니아들이 특정 방향성을 가지는 데에는 대체적으로 이유가 있어요. 사람의 미적감각은 개인마다 다르기에 작성자님도 그럴거라고 확답은 못하지만 대체로 외형에 신경을 쓸 거라면 흑백 난잡하게 얼룩덜룩 한 것보다 한가지 색으로 미는 게 나은 모습을 보입니다. 적어도 제 기준에는 해당 케이스는 기본 팬도 들어가 있지 않으면서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고, 대체로 어항형 케이스들이 전면을 투명처리해서 전면팬을 달지 못하니 측면팬이라도 지원하는 데에 반해 무조건 하단팬만 쓸 수 있기에 쿨링에서도 손해를 많이 보는 제품이라고 생각되구요. 어지간하면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해당 케이스를 포기하시고 평범하게 전면 2~3팬, 후면 1팬 구성의 3~4만원대 일반 케이스로 가신다면 케이스값에서 차액 12만원, 추가쿨러 안 사도 되니까 4만5천원, CPU쿨러는 2만원짜리로도 충분한 CPU니까 4만원 이렇게 20만원이 아껴집니다. 5060ti 가 5070 이 될 수도 있는 가격이네요. 아 그리고 견적은 다나와 견적페이지가 편하게 잘 되어 있어서 여기서 넣어보는 거 나쁘진 않지만 | 25.05.18 11:09 | |
(IP보기클릭)112.167.***.***
글자수가 많아서 댓글 아래가 짤리네요;;; 견적은 다나와 견적페이지가 편하게 잘 되어 있어서 여기서 넣어보는 거 나쁘진 않지만 금전적인 면에서 컴퓨존 견적페이지에서 똑같은 부품으로 다시 넣어보고 비교해보시고 구매하세요. 어지간하면 컴퓨존 쪽이 나은 결과가 나올겁니다. | 25.05.18 11:10 | |
(IP보기클릭)112.167.***.***
아 빼먹은 게 하나 더 있는데 위에도 적었지만 어지간하면 5060ti 자체를 별로 권하지 않는데 사셔야만 한다면 몇만원 더 보태서라도 16기가 모델 사세요. | 25.05.18 12:07 | |
(IP보기클릭)58.231.***.***
답변 감사드립니다 컴퓨터를 잘 몰라서 인터넷 찾아 보다가 금액 비슷한 걸로 견적 내다 보니까 뭔가 이상하게 되었네요 자세하게 셜명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좀 막막했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도 외관보다는 성능이나 가격이 좋아서 견적을 전반작으로 다시 수정해야 겠습니다 | 25.05.18 15:36 | |
(IP보기클릭)59.29.***.***
(IP보기클릭)59.29.***.***
그리고 외관 때문에 기능을 포기 하시는거 같은데 외관적 가격대를 깍아 보면 5060TI 16기가와 파워도 750~800으로 가실수도 있고요. | 25.05.18 10:51 | |
(IP보기클릭)58.231.***.***
답변 감사드립니다 외관을 중시하는 건 아닌데, 컴터를 잘 모르다 보니까 그렇게 되었네요^^ 공랭으로 바꾸고 케이스도 다시 알아봐야 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25.05.18 15:38 | |
(IP보기클릭)59.29.***.***
견적짜시는게 어려움이 있으시당션 유튜버 홍보 하는건 아닌데 신성조라는 컴유튜버의 월간견적 참고하셔서 한번 짜보세요.꼭 그 견적대로 사는게 아니고 참고용으로 보기 편합니다. | 25.05.18 15:42 | |
(IP보기클릭)220.118.***.***
절대적으로 외관 신경쓰세요~ 나중에 새제품 구매 기존제품 당근행 무한루프 하고싶지 않으면요~ 쌔려죽여도 외관 신경안쓴다, 돈낭비다 하시는 분이면 제말 무시하시구요 ㅎㅎㅎ | 25.05.20 15:4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