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견적] 컴퓨터 업그레이드 겸 교체 견적 [5]


profile_image_default


(290221)
0 | 5 | 1126 | 비추력 2662
프로필 열기/닫기
마지막 수정 시간: 24.12.08 02:55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5
1
 댓글


(IP보기클릭)112.167.***.***

#램 : 라이젠 7천번대 CPU 에서 램은 4800 또는 5200 클럭 램 사용을 권장합니다. 팀그룹꺼 4800 짜리 사서 쓰세요. #보드 : 저 보드가 a620m 보드 중에서는 나은 축에 속하는 보드이긴 합니다. 근데 해당 보드가 11만원이고, 라이젠 7천번대 조립컴에서 가장 많이 쓰였다고 볼 수 있는 제품들인 ASRock B650M PG Lightning 이 14만원 GIGABYTE B650M K 가 15만원입니다. 이걸 놔두고 3만원, 4만원 줄이겠다고 a620 을 선택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봅니다. 메인보드는 파워서플라이와 함께 조금 문제가 있거나 맘에 안들어서 다른 제품으로 교체해보려고 할 때에 가장 교체에 손이 많이 가는 제품입니다. 바꿀려면 컴 한대를 분해+재조립하는 느낌으로 여기저기를 잔뜩 풀어헤치고 뜯어내야 하기에 기왕이면 처음 들어갈 때에 안정적인거, 당장은 안 쓰지만 나중에는 쓸 수도 있을거 같은 필수에 가까운 기능은 가급적 빠지지 않고 챙길거는 다 챙긴 물건을 쓰는게 낫습니다. a620 과 b650 의 가격이 한 10만원 정도 벌어져 있다면 a620 이 아예 이해 못할 선택은 아닐텐데, 이 가격이면 아니라고 봅니다. 게다가 당장 지금 고른 케이스는 전면(상단) USB 3.1 포트를 지원하는데, 이 메인보드는 전면 USB 3.1 포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꽂을데가 없어요. #쿨러 : 무난합니다. 만원만 더 주면 620 으로 올라갈 수도 있는데 어떻게든 예산을 빼려는거 같아서 권하진 않겠습니다. #케이스 : 취향입니다. 무난한 물건이기도 하구요. #파워 : 글카를 4070 을 쓸거라면 700w 이상을 쓰세요. 파워는 CPU, 글카처럼 돈 더 준다고 성능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메인보드처럼 돈 더 준다고 기능이 늘어나는 것도 아니고(적게 주면 성능이 떨어질 수는 있습니다만) 그래서 가장 싼거 찾기가 쉬운데 그럼 파워는 돈을 더 주면 뭐가 올라가냐하면 안정성이 올라갑니다. 파워는 죽으면 혼자 죽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그저 멀쩡히 잘 돌아가주기만 하면 오케이인 물건이고 안쪽 내용물을 사용자가 쉽게 들여다보기 어렵고 설령 본다 해도 뭐가 좋은건지 나쁜건지 구분이 어려운 물건이기에 다른 사용자의 리뷰개수, 실사용경험, 총 판매대수 등을 좀 더 신경써서 봐야 합니다. 많이 팔렸고, 그에 비례해서 리뷰도 많고, 많이 팔린 만큼 사용자도 많을 텐데 제품리뷰나 컴퓨터 관련 커뮤니티에 해당 제품의 고장문제에 대한 불만이 적은 물건이 베스트입니다. 꼭 무슨 삼대장 파워니, 시소닉, 안텍 쓰고 아니면 fsp 라도 쓰라느니 그런 얘기는 안하겠습니다. 심지어 저부터도 그렇게 고르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자기 컴퓨터가 소중하다면 최하 커트라인은 지켜야됩니다. 이 파워는 w 가 낮은 것도 그렇지만 가격이 너무 쌉니다.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브론즈 ATX3.1 을 가장 무난픽으로 권해드립니다. 어지간하면 이거 쓰세요.
24.12.08 10:32

(IP보기클릭)39.116.***.***

Jenu
요새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면 5600도 문제 없다고 합니다 파워는 600W면 충분합니다 제가 컴퓨터 10년이상 쓸 것도 아니고 대신 고품질의 전원부를 가진 녀석으로 사야겠습니다 보드는 14~15만원짜리 b650이 제가 고른 녀석보다 전원부가 더 좋은가요?? | 24.12.08 10:57 | |

(IP보기클릭)112.167.***.***

Gyangsal
사용 못하진 않습니다. 다만, 라이젠 7천번대 CPU 는 뭐가 어쨌건간에 amd 공식 권장 램이 5200 입니다. 5600 을 꽂으면 5200 으로 강제 하향되어 들어갑니다. 이 때에 램에 따라서, 쉽게 비유하자면 램이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유연한 놈이면 문제 없이 5200 으로 낮춰져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팀그룹은 하이닉스 메모리를 쓰고 있고, 여유가 있는 편이라 5600 을 꽂을거면 거의 이걸 견적에 넣구요. 하지만 5200 이 제조사가 정해놓은 선이라는건 변하지 않습니다. 5600 을 꽂으면 여전히, 그 가능성이 낮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컴 조립이나 수리 대행하는 업체들의 유투브 찾아보시면 최근 반년 내에도 이걸로 AS 맡긴 실 사례들이 있구요. 굳이 소비자가 이 가능성을 두고 5600 을 꽂아 써야만 할 이유가 없습니다. 성능차이? 안납니다. 내 이야기가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하면 쓰고싶은거 쓰세요. 파워는 일반적으로 '실제로 사용될 전력의 최대치가 파워 최대치의 절반 정도 수준이 되도록'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 7500f 는 표기상으로는 65w 이긴 한데, 커옵을 넣지 않는 한 100w 전후까지 튈 수 있습니다. 4070 은 언더볼팅을 하지 않는 한 200w 정도 먹습니다. 메인보드, SSD, 하드, 케이스의 각종 쿨러, 키보드, 마우스, 기타USB 장치 각각 따로 계산하기엔 지나치게 잡다하고 사용자에 따라 조금 차이난다고 해도 소량입니다. 한데 묶어서 넉넉하게 50w 잡습니다. 그럼 350w 은 봐야됩니다. 이게 50% 수준에 머무르게 하려면 권장은 700w 입니다. 물론 이건 컴 파는 사람들, 조립하는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왜냐면 실질적으로 쓰는 양이 350w 인데 600w 파워에서 감당이 안될리가 없으니까요. 다만 그렇게 따지면 500w 파워에서도 감당이 가능한 수치인데, 왜 500w 을 권하는 사람도 없고, 500w 에서 실 사용하는 사람도 없는걸까요. 난 전문가가 아닙니다. 남들이 '이런 계산으로 이 정도 선에서 써야 괜찮다더라' 라는 말을 그냥 믿고 따르는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계산법이 만들어진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내 이야기가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하면 쓰고싶은거 쓰세요. | 24.12.08 11:21 | |

(IP보기클릭)39.116.***.***

Jenu
문제가 있는건 5600 자체가 아니라 하이닉스가 아닌 삼성이나 마이크론제품들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5600 하이닉스 램을 사서 수율이 떨어진다 해도 5200으로 돌아갑니다 5600과 5200의 가격차이는 없다시피 하구요 그러면 그냥 5600을 써도 별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파워는 당연히 높으면 좋은거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10년 이하로 쓰기에는 600W 고품질 전원부를 가진 녀석이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메인보드 전원부는 뭐가 얼마나 좋은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고른 A620보다 님이 적으신 b650이 전원부가 더 좋나요?? | 24.12.08 11:36 | |

(IP보기클릭)112.167.***.***

Gyangsal
위에 적어둔 것 중에 고르세요. ASRock B650M PG Lightning GIGABYTE B650M K 가장 무난한 선택입니다. 얘들이 b보드의 상급들(같은 b650m 이지만 20만원이 훌쩍 넘어가는 애들) 이랑 비교하면 분명 전원부가 부족한데 라이젠 CPU 들이 저걸로도 충분할 정도로 전력사용량이 적습니다. 그러니까 a620 까지도 쓰이죠. | 24.12.08 10:57 | |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