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할 것
CPU : 7500f
RAM : teamgroup ddr5-5600 cl46 또는 essencore klevv ddr5-5600 cl46 로 16gb 2개
메인보드 : ASRock A620M-HDV/M.2+ 디앤디컴
CPU쿨러 : deep cool ag400
케이스 : darkFlash DRX70 MESH RGB
파워 : 에너지옵티머스 EXCEL II 600W 80PLUS스탠다드 230V EU
이미 집에 있는 것
4070과 P31(m.2 nvme ssd) 1tb 그리고 하드 1tb 이식할려고 합니다
제가 하루종일 알아보고 가성비 있는 것들로 골라봤습니다
컴퓨터 주 사용 용도는 게임 웹서핑 유투브입니다
가끔 한글로 문서작업합니다
그 외의 용도로는 사용할 예정이 없습니다
cpu는 9600x는 오버클럭인가 바이오스 설정 좀 만져주면 성능이 올라서 아주 쓸만해진다고 해 살까 고민하다가 게임 성능에서는 7500f랑 고만고만한 수준이라 그냥 저렴한 7500f 골랐습니다
램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유튜버도 추천한 안정성 최고의 하이닉스 램을 골랐습니다
클럭은 5600이 가장 무난해 보였습니다
메인보드는 모 유튜버 영상보고 고민고민하다가 전원부가 DR.MOS가 있어 좋아보이고 저렴해서 선택했습니다
M.2 ssd 슬롯은 1개만 있어도 충분하고 랜도 1기가면 충분하고 메인보드 방열판은 딱히 안 좋아도 될 것 같고 c타입 포트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1개씩 있으면 좋겠는데 이 가격대에는 전면이나 후면 둘 중 하나만 있네요
어느쪽이든 1개라도 있으면 되긴 합니다
가장 중요한건 전원부와 보드수명인데 이 가격대에서는 그나마 제일 나은건지 궁금합니다
케이스는 모 유튜버 영상보고 3만원 후반대의 모델이랑 4만원 중반의 지금 선택한 모델 중 하나 살려 하는데 6~7천원 밖에 차이 안나서 그냥 지금 모델로 선택했습니다
파워는 비싼건 부담스럽고 다나와 순위 높은 것 중 그나마 저렴한걸로 선택했습니다
대충 보니 가성비는 좋은 평이네요
모 유튜브 보니 7500f에 사제 CPU쿨러를 달아주는게 좋다고 하더군요
기쿨은 성능도 좀 떨어지고 온도도 높은편이네요
그래서 가성비 있는 ag400으로 골라봤습니다
혹시 이렇게 구매하고 이식해 pc를 완성하는데 무슨 문제나 제가 알아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다른 가성비 제품 추천하시는게 있나요?
(IP보기클릭)112.167.***.***
(IP보기클릭)39.116.***.***
요새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면 5600도 문제 없다고 합니다 파워는 600W면 충분합니다 제가 컴퓨터 10년이상 쓸 것도 아니고 대신 고품질의 전원부를 가진 녀석으로 사야겠습니다 보드는 14~15만원짜리 b650이 제가 고른 녀석보다 전원부가 더 좋은가요?? | 24.12.08 10:57 | |
(IP보기클릭)112.167.***.***
사용 못하진 않습니다. 다만, 라이젠 7천번대 CPU 는 뭐가 어쨌건간에 amd 공식 권장 램이 5200 입니다. 5600 을 꽂으면 5200 으로 강제 하향되어 들어갑니다. 이 때에 램에 따라서, 쉽게 비유하자면 램이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유연한 놈이면 문제 없이 5200 으로 낮춰져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팀그룹은 하이닉스 메모리를 쓰고 있고, 여유가 있는 편이라 5600 을 꽂을거면 거의 이걸 견적에 넣구요. 하지만 5200 이 제조사가 정해놓은 선이라는건 변하지 않습니다. 5600 을 꽂으면 여전히, 그 가능성이 낮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컴 조립이나 수리 대행하는 업체들의 유투브 찾아보시면 최근 반년 내에도 이걸로 AS 맡긴 실 사례들이 있구요. 굳이 소비자가 이 가능성을 두고 5600 을 꽂아 써야만 할 이유가 없습니다. 성능차이? 안납니다. 내 이야기가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하면 쓰고싶은거 쓰세요. 파워는 일반적으로 '실제로 사용될 전력의 최대치가 파워 최대치의 절반 정도 수준이 되도록'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 7500f 는 표기상으로는 65w 이긴 한데, 커옵을 넣지 않는 한 100w 전후까지 튈 수 있습니다. 4070 은 언더볼팅을 하지 않는 한 200w 정도 먹습니다. 메인보드, SSD, 하드, 케이스의 각종 쿨러, 키보드, 마우스, 기타USB 장치 각각 따로 계산하기엔 지나치게 잡다하고 사용자에 따라 조금 차이난다고 해도 소량입니다. 한데 묶어서 넉넉하게 50w 잡습니다. 그럼 350w 은 봐야됩니다. 이게 50% 수준에 머무르게 하려면 권장은 700w 입니다. 물론 이건 컴 파는 사람들, 조립하는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왜냐면 실질적으로 쓰는 양이 350w 인데 600w 파워에서 감당이 안될리가 없으니까요. 다만 그렇게 따지면 500w 파워에서도 감당이 가능한 수치인데, 왜 500w 을 권하는 사람도 없고, 500w 에서 실 사용하는 사람도 없는걸까요. 난 전문가가 아닙니다. 남들이 '이런 계산으로 이 정도 선에서 써야 괜찮다더라' 라는 말을 그냥 믿고 따르는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계산법이 만들어진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내 이야기가 신뢰도가 낮다고 생각하면 쓰고싶은거 쓰세요. | 24.12.08 11:21 | |
(IP보기클릭)39.116.***.***
문제가 있는건 5600 자체가 아니라 하이닉스가 아닌 삼성이나 마이크론제품들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5600 하이닉스 램을 사서 수율이 떨어진다 해도 5200으로 돌아갑니다 5600과 5200의 가격차이는 없다시피 하구요 그러면 그냥 5600을 써도 별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파워는 당연히 높으면 좋은거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10년 이하로 쓰기에는 600W 고품질 전원부를 가진 녀석이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메인보드 전원부는 뭐가 얼마나 좋은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고른 A620보다 님이 적으신 b650이 전원부가 더 좋나요?? | 24.12.08 11:36 | |
(IP보기클릭)112.167.***.***
위에 적어둔 것 중에 고르세요. ASRock B650M PG Lightning GIGABYTE B650M K 가장 무난한 선택입니다. 얘들이 b보드의 상급들(같은 b650m 이지만 20만원이 훌쩍 넘어가는 애들) 이랑 비교하면 분명 전원부가 부족한데 라이젠 CPU 들이 저걸로도 충분할 정도로 전력사용량이 적습니다. 그러니까 a620 까지도 쓰이죠. | 24.12.08 10:5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