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견적] 초보인데 AMD 조립 피시 견적 봐주실수 있나요? [11]
inter-style
(5864889)
출석일수 : 6일 LV.1
Exp.30%
추천 0 조회 1118 비추력 18
작성일 2024.11.30 (09:37:48)
IP : (IP보기클릭)14.3.***.***
2024.11.30 (09:37:48)
마지막 수정 시간: 24.11.30 09:38

(IP보기클릭)211.193.***.***
(IP보기클릭)14.3.***.***
그래요? 좀 부족한 느낌이 있나요? 감사합니다. | 24.11.30 10:57 | |
(IP보기클릭)112.167.***.***
당장도 사용하는데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컴퓨터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부품은 CPU 와 그래픽카드로, 파워서플라이를 고려할 때에도 이 두개의 전력소모를 최우선으로 보고 결정하면 되고 이 구성이라면 CPU 가 많이 써봤자 100w, 글카가 150w 이하, 다른 부품들이 아주 넉넉하게 잡아도 50w 이하라서 합이 300w 이하 수준입니다. 실 소모량의 50% 전후쯤으로 잡고 파워를 결정해서 파워에 충분한 여유를 주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현 시스템 상태로는 650w 면 넉넉합니다. 다만 여기에서 추후 그래픽카드 같은데에 조금 더 욕심 내서 더 높은 급의 제품으로 올라하거나 하면 그 때에는 파워도 같이 갈아주셔야 한다는거 기억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혹여나 4070 시리즈 내지는 추후 5070 시리즈 같은걸 염두해 두고 있다면 미리 700~750w 급으로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 24.11.30 11:14 | |
(IP보기클릭)14.3.***.***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추후 업그레이드도 염두에 두면 그런 것이 필요하겠네요. 750파워가 1500엔 밖에 차이가 안나서 750으로 변경을 하려구요. | 24.11.30 11:26 | |
(IP보기클릭)112.167.***.***
(IP보기클릭)14.3.***.***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케이스는 와이프가 색깔 들어간 이 제품이 마음에 들어서 정했습니다. 사실 저는 아무거나 상관없지만요. 조립은 제가 직접하려고 하는데요. 색깔을 맞추는 것에 대해서는 지식이 좀 부족했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좀 더 공부를 해봐야 할거 같네요. 색깔 맞추는 것은 어떤 개념이 제일 필요한가요? CPU는 제가 알아봤는데, 7500f이거는 일본에서 잘 안보이네요. 아쉽네요. DSP는 하드웨어 귀속이라는 것은 알고 있는데, 그래도 FPP쪽이 좋으려나요? 가격은 2배정도 됩니다. | 24.11.30 11:47 | |
(IP보기클릭)14.3.***.***
이렇게 해봤습니다. | 24.11.30 12:11 | |
(IP보기클릭)112.167.***.***
아무래도 저는 성능 최우선의 게이머 컴덕이다보니 외형적인 부분에서는 더 이상 조언해드릴 수가 없습니다. 어렴풋이 알고 있는 지식으로는 RGB 색을 전부 통합해서 컨트롤 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을 다는 방식과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조절하는 방식, 경우에 따라서는 그 양쪽을 둘 다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고 알고 있구요. zod, 퀘이사존, 쿨앤조이 같은 컴퓨터를 좀 더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이트들에 가서 이 부품들을 보여주고 RGB 색을 똑같이 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검색하시거나 직접 물어보시는게 나을겁니다. SSD는 역시 그다지 저렴하게 안 나오는군요. 그래도 1테라가 14500엔이면 좀 비싸긴 한데 일본 가격상황을 모르니 적당한 제품을 추천하기도 어렵네요. 제가 위에 추천한 여섯제품을 모두 검색해보시고, 그 중에서는 가장 저렴한 것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한국에서도 저 제품들 중에는 980프로, 990프로가 유독 비싼 값이 찍히는데, 개인적으로는 sn850x 를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면 이걸 가장 추천하는 편입니다. 2테라 짜리 제품도 같이 가격을 확인해보세요. 컴퓨터를 무슨 용도로 쓰실지는 모르겠지만 가급적 2테라쪽을 조금 더 권합니다. SSD 는 용량이 얼마나 차 있느냐에 따라, 많이 가득 차 있을 수록 속도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테라짜리에 800기가 넣고 쓰는 거랑 2테라짜리에 800기가 넣고 쓰는거는 완전히 다른 경험이 될 수 있다는거죠. 컴퓨터의 목적을 말씀해주시지 않았지만 평범한 게임용 PC라 보면 요즘 게임들 용량으로 봤을 때에 2테라쪽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게임은 아주 조금에 사무용이나 웹서핑용, 영상감상용으로 쓰고 1테라짜리에 500기가를 넘게 쓸 일이 거의 없을거 같다면 1테라도 괜찮겠구요. 램은 다시 말씀드리지만 4800 클럭이나 5200 클럭을 권합니다. 5600 클럭짜리는 꽂으면 5200 으로 강제로 낮춰져서 적용되고, 이 과정에서 간혹 문제가 발생하는 PC 가 있을 수 있습니다. 라이젠 7천번대 CPU 에서는 자잘한 문제에 일일히 대처하기 귀찮다면 처음부터 5600 은 선택하지 않는 쪽이 낫구요. 6000 클럭짜리는 xmp 또는 expo 적용 메모리인데, 6천클럭까지 오버클럭 되는 값 자체를 메모리에 이미 탑재하고 있어서 바이오스에서 딸깍하면 6천까지 오버클럭 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xmp 는 메인보드 호환성을 탑니다. 메인보드와 램의 궁합이 중요합니다.(QVL) 이게 맞지 않으면 비싼 값을 주고 6천짜리 메모리를 샀는데 4800 으로 쓰게 되는 돈지랄이 발생합니다. 6천은 실 성능에서 그리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자기만족에 가까운 영역입니다. 그럼에도 어떻게든 6천짜리 메모리를 쓰고 싶으시다면 꼭 반드시 이 메인보드와 램의 xmp 를 문제 없이 적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구매하세요. 어지간하면 4800 또는 5200 짜리 그냥 꽂고 쓰시는걸 권합니다. | 24.11.30 13:18 | |
(IP보기클릭)112.167.***.***
윈도우 DSP 는 최근에 확인해본 적은 없는데 마소의 정책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메인보드 귀속입니다. 이 컴퓨터를 5~6년 혹은 그 이상(가급적 권하진 않습니다만) 사용할거고, 그 동안 메인보드에 아무 문제가 없을거고, 새 PC 를 다시 장만하게 되면 윈도우11 이 아닌 그 이후에 나올(아마도?) 새 윈도우를 또 구매해서 사용할 거라면 DSP 구매도 별 상관 없을 수 있습니다. 다만 거기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겠죠. 중간에 무슨 사연이 있건 메인보드를 교체해야 한다면, 또는 컴을 폐기하고 완전히 새로 사야하는 상황이라면 해당 윈도우키는 쓰레기가 됩니다. 기존 메인보드가 완전히 고장났고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나는 새로운 메인보드를 구했고 이 시스템에서 다시 윈도우를 사용할거라는걸 마소에 입증할 수 있으면 새 키를 발급받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리 쉽지 않을거고 꽤나 번거로운 과정이 될겁니다. 여러모로 '싸다' 는 장점과 '다시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는 단점이 공존하는게 DSP 니까 본인 판단 하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실 한국에서는 컴퓨터 사면서 윈도우값으로 10만원대 초중반을 내고 별 생각 없이 구매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DSP 였다 같은 문제가 있어서 좀 더 주의해야 하는데, 명백히 DSP 인걸 알고 싼 가격에 샀으면 DSP 를 쓰지 못할 것도 없습니다. | 24.11.30 13:26 | |
(IP보기클릭)14.3.***.***
RGB 색깔, SSD,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언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말씀대로 메모리를 4800이나 5200 클럭으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컴퓨터의 목적은 말씀대로 게임 조금, 동영상 편집 가끔 정도인데요. 일반적인 사용목적에 가끔 게임이나, 영상편집 정도를 생각합니다. 색깔 맞추는 것은 무슨 뜻인지는 알거 같은데, 제 수준을 넘어서는 것 같아서 대응이 어려워보이네요. 그래도 감사드립니다. | 24.11.30 13:47 | |
(IP보기클릭)14.3.***.***
DSP는 말씀대로 메인보드 귀속 같은데, 메인보드가 고장날 것이다라는 상상은 해본적이 없네요. 가격은 좀 추가되지만, 리스크 회피를 위해서 필요한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패키지 판을 고려해보겠습니다. 고장나지는 않을거고, 메인보드를 바꾸는 업그레이드 시기에 한번더 사려고 했는데 그게 그거겠네요. | 24.11.30 13:4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