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는 2025년 2분기 AMD의 6%에 비해 현재 94%에 안착하며 사상 최고의 dGPU 시장 점유율을 다시 한 번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5년 2분기에 AMD가 단 6%에 불과한 94%의 시장 점유율로 독보적인 dGPU 시장의 왕입니다.
이전 JPR 보고서에서 제 이론이 옳았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수치를 고려할 때 엔비디아가 dGPU 세그먼트를 지배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JPR은 2025년 2분기 dGPU (AIB) 시장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부문의 총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27%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데이터 센터 GPU 보드도 4.7% 증가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2028년 예측 기간 동안 AIB의 연간 복합 성장률은 -5.4%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기간 동안 dGPU는 1억 6,300만 대의 설치 기반에 도달할 것이며, 향후 5년 동안 데스크톱 PC의 87%가 개별 그래픽 카드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게임용 고성능 그래픽 카드, 전문 워크로드, AI 사용 사례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향후 몇 년 동안에도 데스크톱 GPU 시장이 매우 활기를 띠게 될 것임을 보여줍니다.
2025년 2분기에 엔비디아는 전 분기 대비 2.1% 성장하며 94%의 시장 점유율로 다시 한 번 차트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AMD와 인텔과 같은 엔비디아의 라이벌은 GPU 시장 점유율 6%(QoQ -2.1%)와 0%(QoQ 0% 변동)를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최근 실적 발표를 고려할 때, RTX 50 시리즈 그래픽 카드는 계속해서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우 잘 팔리고 있습니다. 게임 부문이 기록적인 매출을 기록했으며 4분기에 홀리데이 시즌이 다가옴에 따라 이러한 수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수치는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JPR은 또한 최근 미국이 부과한 관세로 인해 시장이 일종의 패닉 모드로 접어들었고, 고급 그래픽 카드의 가격은 상승한 반면 재고는 고갈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엔트리 및 미드티어 GPU는 여전히 더 낮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지만, 지역마다 관세가 비정상적으로 변경되면서 구매자들이 괜찮은 가격에 새 GPU를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분기 데스크톱 PC의 AIB 전체 부착률은 154%로 지난 분기 대비 2.3% 증가했습니다.
데스크톱 PC CPU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으며 전분기 대비 21.6% 증가했습니다.
향후 몇 달 동안 엔비디아와 AMD는 대규모 GPU 출시를 계획하고 있지 않습니다. RTX 50 "Blackwell" 및 Radeon RX 9000 "RDNA 4" 시리즈는 대부분 완성되었으며, 유일한 놀라움은 더 큰 Battlemage 옵션 형태의 인텔 출시일 수 있습니다. 신제품 라인업은 내년에나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IP보기클릭)39.115.***.***
이런거보면 암드는 바이럴을 참 많이 돌리는거같음
(IP보기클릭)121.189.***.***
역대 최고 점유율을 매번 갱신하네 ㅋㅋ
(IP보기클릭)175.210.***.***
한국 한정으로 보자면 예전 쉐슬람 같은거죠 인터넷만보면 쉐보레가 국민자동차였음 ㅋㅋㅋㅋㅋㅋㅋ
(IP보기클릭)211.49.***.***
애초에 엔비디아 제품의 간본다고 가격을 확정 못해서 이미 생산해서 페키징까지 끝난 제품을 판매 딜레이 시키면서 쌓았던 물량을 한번에 털어낸 시점 이외에 딱히 잘 팔린적이 없음 그때 제조사나 유통사 모두 극초기 물량 빼고 리베이트로 보상도 안해준다고 해서 수익성이 악화된 물건이라 제조사는 과거 점유율 개꼬라박고 생산량 줄인 기준에서 딱히 케파를 늘리지도 않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임 가격 책정 100달러 오차 났으면 일년은 쭉 리베이트 하면서 제조사랑 고통분담을 하던가... 그저 극초기 물량에 찔끔 리베이트 주고 중단하니 그런 물건을 적극적으로 생산할리가 없는 상황 개 같이 꼬라박힌 점유율을 기준으로 생산 물량을 고정하거나 오히려 100달러 할인으로 판매가만 교란된 물건 생산을 줄였을 것 그 결과는 위 결과일테고... 향후에도 amd가 지들이 제품 그지 같이 만들고는 생산단가 생각 안하고 엔비디아 가격에서 억지도 가격책정해서 발표하고 가성비 딸이나 칠텐데 그걸 제조사가 또 당할까 싶음 amd 물건은 향후 케파는 아작내서 저기서 더 줄어들겠지
(IP보기클릭)14.49.***.***
진짜 커뮤 속 극소수 암드빠들이 물고 빨고 쥰내 호들갑 떨면서 이번 세대는 암드의 승리니 어쩌니 하는 건데 얘네들이 활동력이 워낙 뛰어나서 글카 게시글마다 무조건 댓글 장악하고 선동하니까 일반 유저들이 실제 상황과는 괴리된 착시를 보게 되는 거
(IP보기클릭)121.189.***.***
역대 최고 점유율을 매번 갱신하네 ㅋㅋ
(IP보기클릭)39.115.***.***
이런거보면 암드는 바이럴을 참 많이 돌리는거같음
(IP보기클릭)14.54.***.***
(IP보기클릭)14.35.***.***
알리바바때문에요 | 25.09.03 19:22 | | |
(IP보기클릭)175.210.***.***
엔비디아만 떨어진게 아니고 amd도 떨어졌고 다른 빅테크 주식도 같이 떨어지면서 조정받고있죠 암만 회사가 잘나간다해도 주식이 계속 오르기만 하는게 아니에요 많이오르면 조정도 받고 쉬어가는거죠 | 25.09.03 19:28 | | |
(IP보기클릭)222.233.***.***
뚝? 진짜 뚝이 뭔지 모르는구나 | 25.09.03 19:44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75.210.***.***
루리웹-2431306139
한국 한정으로 보자면 예전 쉐슬람 같은거죠 인터넷만보면 쉐보레가 국민자동차였음 ㅋㅋㅋㅋㅋㅋㅋ | 25.09.03 19:31 | | |
(IP보기클릭)111.118.***.***
(IP보기클릭)106.133.***.***
암드 칭찬하는 사람은 30퍼가 바이럴이고 70퍼가 선동당한 사람임 | 25.09.03 19:54 | | |
(IP보기클릭)121.189.***.***
그냥 멀리 갈필요도 없이 스팀 하드웨어 통계만봐도 알수있죠 | 25.09.03 19:57 | | |
(IP보기클릭)14.49.***.***
cach3828
진짜 커뮤 속 극소수 암드빠들이 물고 빨고 쥰내 호들갑 떨면서 이번 세대는 암드의 승리니 어쩌니 하는 건데 얘네들이 활동력이 워낙 뛰어나서 글카 게시글마다 무조건 댓글 장악하고 선동하니까 일반 유저들이 실제 상황과는 괴리된 착시를 보게 되는 거 | 25.09.03 20:06 | | |
(IP보기클릭)118.235.***.***
웃긴 건 정작 그런 선동하는 애들도 지포스 쓰는게 부지기수임 그릉이도 지포스 사드만 ㅋㅋ | 25.09.03 20:49 | | |
(IP보기클릭)211.49.***.***
애초에 엔비디아 제품의 간본다고 가격을 확정 못해서 이미 생산해서 페키징까지 끝난 제품을 판매 딜레이 시키면서 쌓았던 물량을 한번에 털어낸 시점 이외에 딱히 잘 팔린적이 없음 그때 제조사나 유통사 모두 극초기 물량 빼고 리베이트로 보상도 안해준다고 해서 수익성이 악화된 물건이라 제조사는 과거 점유율 개꼬라박고 생산량 줄인 기준에서 딱히 케파를 늘리지도 않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임 가격 책정 100달러 오차 났으면 일년은 쭉 리베이트 하면서 제조사랑 고통분담을 하던가... 그저 극초기 물량에 찔끔 리베이트 주고 중단하니 그런 물건을 적극적으로 생산할리가 없는 상황 개 같이 꼬라박힌 점유율을 기준으로 생산 물량을 고정하거나 오히려 100달러 할인으로 판매가만 교란된 물건 생산을 줄였을 것 그 결과는 위 결과일테고... 향후에도 amd가 지들이 제품 그지 같이 만들고는 생산단가 생각 안하고 엔비디아 가격에서 억지도 가격책정해서 발표하고 가성비 딸이나 칠텐데 그걸 제조사가 또 당할까 싶음 amd 물건은 향후 케파는 아작내서 저기서 더 줄어들겠지
(IP보기클릭)125.179.***.***
(IP보기클릭)106.101.***.***
올해 5000 출시부터 지금까지 주제 맞지않는 엔비디아 글에서도 엔비디아 쓰레기 라데온이 답이다 싸질러대던 곳이 여기 아닌가 ㅋㅋ 생각이 이정도에 멈춰있으니 엔비디아에 물린 사람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거겠죠.. | 25.09.03 21:33 | | |
(IP보기클릭)121.141.***.***
주식 가격이랑 제품 가격은 별 상관 없는데 뭔 소리임. 애플 주식 있는 사람들은 뭐 아이폰 비싸게 사고 싶어하고 삼전 주주들은 갤럭시 비싸게 팔아야 좋아하나. 전 엔비디아 주식 몇천단위로 있지만 맨날 황통수새끼 욕하면서 지포스 비싸다고 욕하는데요. | 25.09.03 23:00 | | |
(IP보기클릭)218.153.***.***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196.***.***
(IP보기클릭)220.126.***.***
(IP보기클릭)49.164.***.***
(IP보기클릭)175.124.***.***
(IP보기클릭)124.52.***.***
(IP보기클릭)121.141.***.***
(IP보기클릭)121.141.***.***
이게 얼마나 상황이 더 안 좋은가 하면 9000시리즈가 충분히 잘 팔리는데 50시리즈가 더 많이 팔려서 저런 것조차 아님. 그냥 완전 제자리걸읍입니다. 이번 분기에 전체 판매량이 240만장 늘었는데, 그 240만장 늘어난 것의 99%를 엔비디아 혼자 쳐먹음.
(IP보기클릭)124.59.***.***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4.5.***.***
(IP보기클릭)211.226.***.***
(IP보기클릭)211.226.***.***
거기다가 공식으로 뉴스 나온것도 아니고 커뮤니티에서 토탈 글카 점유율 자료들 정리해서 쓴 개인 자료인거 같다고 하면 추가로 비추 먹겠죠? | 25.09.04 08:57 | | |
(IP보기클릭)211.209.***.***
JPR 데이터에서 님이 말하는 건 Total GPU입니다. 내외장, 데탑 랩탑 다 포함인거요. 그리고 내장그래픽 제외한 랩탑 데탑 외장은 dGPU, 우리가 흔히 데스크탑 외장으로 칭하는 건 Add in Board 차트고, 이번에 나온 차트가 이겁니다. 그리고 옛날부터 JPR은 H100 A100, 라데온 인스팅트, 인텔의 가우디 같은 데이터센터/AI용 칩은 통계에 안 넣습니다. "그래픽카드"가 아니라서요. | 25.09.04 09:26 | | |
(IP보기클릭)211.209.***.***
애초에 JPR에서 분기마다 내는 시장조사표를 갖고 탐스에서 보기 좋게 그래프로 그려주는 거지 저걸 무슨 개인 유저가 뇌피셜로 그렸다는 것마냥 떠드시면 추합니다. 이 바닥에서 점유율 하면 항상 저거 갖고 얘기해왔고, 거의 20년동안 그러고 있는데 뭘 새삼스레..... | 25.09.04 09:28 | | |
(IP보기클릭)211.209.***.***
당연히 커뮤니티 유저들과 괴리가 클 수밖에 없는 게 CPU든 GPU든 거의 절대다수의 마켓쉐어는 OEM/B2B로나오지 리테일 단품 판매에서 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당장 CPU만 봐도 리테일 조립시장에선 국내 해외 불문하고 AMD가 인텔을 앞서지만 전체 마켓 쉐어론 아직도 7:3인 이유기도 하구요. 쿼드로 라데온 프로는 이미 엔암 실적표에서도 드러나는 사실이지만 총 매출액으로 따지나, 판매댓수로 따지나 저 통계를 근본적으로 뒤엎을 만큼의 비중이 못 되구요. | 25.09.04 09:33 | | |
(IP보기클릭)122.35.***.***
(IP보기클릭)14.42.***.***
(IP보기클릭)1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