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양산 목표..."현대차 대부분 차량에 탑재될 듯"
17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는 현대자동차가 자체 개발을 추진하는 자율주행용 칩을 양산한다. 이 칩은 8나노 공정으로 양산되며 2028년까지 개발을 완료하고, 2030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2030년 양산 목표..."현대차 대부분 차량에 탑재될 듯"
17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는 현대자동차가 자체 개발을 추진하는 자율주행용 칩을 양산한다. 이 칩은 8나노 공정으로 양산되며 2028년까지 개발을 완료하고, 2030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ID | 구분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2279563 | 기타 | 주예원1윤다혜누나 사랑해 | 13 | 10757 | 2025.10.19 | |
2279559 | 기타 | 루리웹-2727598421 | 16 | 6397 | 2025.10.19 | |
2279553 | 기타 | 원히트원더-미국춤™ | 4 | 1283 | 2025.10.19 | |
2279549 | 기타 | 루리웹-2727598421 | 4 | 3839 | 2025.10.19 | |
2279543 | 휴대기기 | 삶을향해다시한번소리치다 | 23 | 3397 | 2025.10.19 | |
2279540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3657 | 2025.10.18 | ||
2279530 | 기타 | 시무라오바상 | 750 | 2025.10.18 | ||
2279508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9 | 14022 | 2025.10.18 | |
2279506 | 기타 | 루리웹-2727598421 | 10 | 5189 | 2025.10.18 | |
2279498 | 기타 | Kingroro | 24 | 13088 | 2025.10.17 | |
2279488 | 기타 | 시무라오바상 | 10 | 6301 | 2025.10.17 | |
2279482 | 기타 | Saminet | 3329 | 2025.10.17 | ||
2279471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 | 1480 | 2025.10.17 | |
2279452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0 | 10556 | 2025.10.17 | |
2279440 | 기타 | 시무라오바상 | 4 | 2148 | 2025.10.16 | |
2279435 | 기타 | 시무라오바상 | 1480 | 2025.10.16 | ||
2279433 | 기타 | 루리웹-2773314636 | 2343 | 2025.10.16 | ||
2279412 | 기타 | 루리웹-475507 | 1 | 2158 | 2025.10.16 | |
2279398 | 기타 | 루리웹-2727598421 | 21 | 10912 | 2025.10.16 | |
2279397 | 기타 | 루리웹-475507 | 17 | 11881 | 2025.10.16 | |
2279395 | 기타 | A-z! | 1 | 4629 | 2025.10.16 | |
2279386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8 | 8050 | 2025.10.15 | |
2279374 | 기타 | K.Malone | 11 | 12141 | 2025.10.15 | |
2279372 | 기타 | 시무라오바상 | 1 | 2315 | 2025.10.15 | |
2279355 | 기타 | 루리웹-2773314636 | 1 | 1108 | 2025.10.15 | |
2279351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0 | 16400 | 2025.10.15 | |
2279349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20 | 19107 | 2025.10.15 | |
2279329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9 | 10760 | 2025.10.14 |
(IP보기클릭)112.223.***.***
차는 공간커서 8나노도 충분함
(IP보기클릭)106.101.***.***
차는 보통 미세공정 안씀
(IP보기클릭)223.38.***.***
차는 미세공정보다 안정성 입증된 공정을 씀
(IP보기클릭)211.234.***.***
현시점 테슬라에 들어가는 최신형 MCU가 14nm 레이븐 릿지 기반임.
(IP보기클릭)211.238.***.***
우주선도 그렇고 내구성이 우선되는 제품들이 있음.
(IP보기클릭)211.214.***.***
(IP보기클릭)112.223.***.***
JuliaHart
차는 공간커서 8나노도 충분함 | 25.10.17 17:47 | | |
(IP보기클릭)221.163.***.***
8나노냐 3나노냐.. 크기 문제는 아닐거같은데; | 25.10.17 17:51 | | |
(IP보기클릭)106.101.***.***
JuliaHart
차는 보통 미세공정 안씀 | 25.10.17 17:51 | | |
(IP보기클릭)211.234.***.***
JuliaHart
현시점 테슬라에 들어가는 최신형 MCU가 14nm 레이븐 릿지 기반임. | 25.10.17 18:10 | | |
(IP보기클릭)106.101.***.***
테슬라 카컴이랑 자율주행 ai시리즈랑 각각 다름 | 25.10.17 18:14 | | |
(IP보기클릭)211.234.***.***
전장반도체는 최신공정 안 쓴다는 예시로 말한 거죠. 글파&삼성의 14nm는 무려 10년 넘은 공정이지만 지금 신차들에도 멀쩡히 들어가는데 아무도 뭐라 안하잖아요. | 25.10.17 18:16 | | |
(IP보기클릭)211.234.***.***
14나노는 HW3고 지금은 AI4 | 25.10.17 18:18 | | |
(IP보기클릭)211.234.***.***
그리고 ai5 곧 나옴 | 25.10.17 18:20 | | |
(IP보기클릭)118.235.***.***
그리고 일반적인 PC 하드웨어나 모바일 기기에서 구식공정이 기피되는 이유가 결국 칩이 커지고 전력소모량이 커져 일정 범위 내에서의 깡성능도 뒤쳐진다는 것인데 자동차는 원체 거대하고 전자기기들만큼 몇w 정도로 목숨 걸지 않아도 되고 깡클럭 같은 것에도 그리 민감하지 않으니 공정이 좀 뒤쳐저도 단가를 확 아낄 수 있으면 그걸로도 나쁘지 않다고 판단한 거겠죠. 테슬라도 그래서 MCU 3세대에 (이미 ZEN3+까지 나와있는 시점에서도) 굳이 ZEN 1세대 박아넣은거구요. | 25.10.17 18:21 | | |
(IP보기클릭)14.56.***.***
자동차 주행 환경상 미세공정으로 갈수록 잔 진동에 작살 납니다. 그래서 일반 스마트기기들이랑 다르게 보셔야 되요 생각해보셈 지금같은 기술력 좋은 시대에 왜 우주선에서 쓰이는 cpu는 구닥다리를 쓰는지를... | 25.10.17 18:56 | | |
(IP보기클릭)211.235.***.***
차량이나 비행기 같은건 공정보다 안정성 따짐 | 25.10.17 20:53 | | |
(IP보기클릭)223.38.***.***
차는 미세공정보다 안정성 입증된 공정을 씀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211.234.***.***
무지성 비추박는 현기차 알바들 많네 그놈의 안정성 핑계 더 신공정 쓰는 곳 있는 걸 보면 그냥 못하는거라 봐야지 | 25.10.17 18:32 | | |
(IP보기클릭)121.141.***.***
구세대 공정을 쓰면서 생기는 다이 사이즈, 전력소모 증가 같은 디메리트는 이게 뭐 태블릿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데에선 매우 치명적이겠지만 자동차 업계에선 자동차 그 자체의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면 새발의 피라서 그럼. 당장 호박색 할로겐 다마 한 짝이 수십와트씩 쳐먹음. 이것만으로도 이미 7LPP 8LPP 차이로 인한 효율 차이는 극복이 되고도 남걸랑요. | 25.10.17 18:39 | | |
(IP보기클릭)211.234.***.***
안정성은 현기차가 못하는거지 이미 하는 기업은 그럼 안전하지 않은데 쓰는거임? 자율주행용 칩인데, 뭔 전력소모량 낮단 말을 하는거임? | 25.10.17 18:59 | | |
(IP보기클릭)211.234.***.***
pc에서 고사양 게임돌린다니까, 웹서핑 얘기하는거랑 뭐가 다름? | 25.10.17 19:01 | | |
(IP보기클릭)121.141.***.***
그니까 똑같은 자율주행칩이라도 일반 IT 기기만큼 구세대 공정쓴다고 크게 손해를 보는 게 아니라니까 그러시네. 구세대 공정이 왜 문제겠음? 덜 미세하고 @ISO POWER가 떨어지니 동일한 스펙과 성능을 뽑기 위해선 칩 크기가 더 커져야 하고, 더 많은 전력, 더 많은 발열이 나기 때문 아닌가? 이게 노트북, 핸드폰, 태블릿 등의 기기에선 치명적인 문제지만 물리적인 체급 자체가 다른 자동차에선 저 문제가 그리 큰 문제가 아니라니까 그러시네. 7LPP로 만들 걸 8LPP로 만들어서 전성비가 더 나빠지고 전력소모량이 몇십와트 늘어나는 게 기존 전자기기엔 사형선고급일지 몰라도 자동차 세계에선 전구 하나 차이 수준이라고요. | 25.10.17 19:51 | | |
(IP보기클릭)49.165.***.***
아니, 지금 25년에 7나노 쓰고 ai6는 2나노 쓰는데 ai6 28년 양산 목표임 현기차는 30년에 8나노 양산이고. 그럼 그 공정으로 깡스펙 올려서 2나노 ai6랑 비비겠다는거임? 대체 전구가 어쩌고 전력소모량을 왜 말하는거지? 자율주행칩이고 선단공정가는게 성능도 당연히 영향이 있으니까 가는거지 | 25.10.17 20:13 | | |
(IP보기클릭)49.165.***.***
그놈의 전구 하나 ㅋㅋㅋㅋ 진짜 현기차는 30년되어서나 8나노 쓰는 걸 옹호하는 이유가 뭐지? 전구 드립은 지금 수준에서나 해당하는거고, 자율주행용이라는 말 무시하는 건 왜 그런거임? 지금까지야 자율주행 쥐뿔도 없고, 인포테인먼트도 구리니까 필요없었던거지 테슬라는 지금 7나노 쓰는 데 이악물고 무시하는 이유가 뭐임? | 25.10.17 20:16 | | |
(IP보기클릭)118.235.***.***
어차피 1나노가지고 fsd패권 바뀔 일 없는데 입에 거품 무는 이유기 뭐임? | 25.10.17 21:30 | | |
(IP보기클릭)49.165.***.***
1나노가 아닌데? 테슬라는 25년 7나노, 28년 2나노임 현대차는? 자율주행 그런 거 없음. 30년 8나노 어디가 1나노 차이지 | 25.10.17 21:50 | | |
(IP보기클릭)49.165.***.***
패권 바뀔 일 없는 거야, 전세계 모든 메이커 다 똑같고 그러면 스팩빨이라도 받으면 모를까 지금도 나오는 ccnc는 2016년에 테슬라가 쓰던거임 | 25.10.17 21:51 | | |
(IP보기클릭)49.167.***.***
다이 사이즈 무한정 못 늘림. 자율주행용은 빅다이 쓰기 때문에, 구공정 쓴다고 칩 크기가 더 커지는게 아니라, 집적되는 트랜지스터 갯수가 적어지는 거임. | 25.10.17 23:06 | | |
(IP보기클릭)121.141.***.***
빅다이라는 게 기존 전장용 반도체들 기준으로 빅다이인 거지 물리적 한계에 도달한 수준(858mm2)은 아닐걸요. | 25.10.17 23:33 | | |
(IP보기클릭)121.185.***.***
그냥 단가랑 이미 성숙도 넘사인 8nm로 선택했을뿐이죠 ㅋ 일단 자율주행하는데 크게 문제 없어요 ㅋㅋ 어차피 모든 자동차 회사들이 완전 자율주행 할려면 멀었음 다 주행보조 가지고 입터는거지 지금 | 25.10.18 00:31 | | |
(IP보기클릭)121.168.***.***
어짜피 선단 공정 써서 하드웨어 성능 오지게 뽑아줘도 거기 올릴 소프트웨어가 충분치 않아서 오히려 과투자일텐데요. 그리고 뭐... 벤츠 같은 애들은 저번달 중순인가에 이제 칩 디자인 하는 애들이랑 협력 들어갔고, bmw는 스냅드래곤 걍 받아 쓰는 정도고 해서... 레거시 자동차 업체중에서는 그래서 빠른편일걸요? | 25.10.18 00:42 | | |
(IP보기클릭)49.165.***.***
"자율주행용 칩" | 25.10.18 00:57 | | |
(IP보기클릭)121.168.***.***
그러니까 최선단 공정 써서 칩 성능 잘 나와도 현기 자율주행 프로그램 수준으로 칩 성능 다 쓰기도 힘들 거 같다는 소리임. 지금 현대차에서 ADAS에 쓰는 칩 성능 많이 안 좋을거고 탑재된 소프트웨어도 딱 수준일텐데요. 막말로 지금 당장 테슬라처럼 엑시노스 기반으로 코어 20개 짜리 가져다 꽂아도 현대가 만든 자율 주행 프로그램이 그거 다 쓸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물론 뭐 현대도 라이다 안쓰는 플랫폼은 포디투닷 쓰는 플랫폼은 모셔널이 만들어서 소프트웨어 수준 끌어올리려고 노력하는가본데... 전자는 가시적인 성과가 보도된 기사 같은것도 안보이고 후자는 미국에서 로보택시까지 돌리니 얘들 프로그렘이면 칩 성능 다쓰겠다만 워낙 단가가 높아서 현대차에 못넣을 거 같음. | 25.10.18 01:08 | | |
(IP보기클릭)59.1.***.***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211.108.***.***
GM, 자율주행 '슈퍼 크루즈(Super Cruise)' 출시 결정됐어요. 애플/GM 규정에 맞추던데요. | 25.10.17 19:29 | | |
(IP보기클릭)106.101.***.***
GM는 한미 fta로 들어오는거에요 | 25.10.17 19:35 | | |
(IP보기클릭)211.108.***.***
미국산 테슬라 말한거죠. 당연히 | 25.10.17 19:36 | | |
(IP보기클릭)106.101.***.***
입털지마 | 25.10.17 19:37 | | |
(IP보기클릭)119.206.***.***
입은 니가 터는 듯 | 25.10.17 19:55 | | |
(IP보기클릭)172.226.***.***
테슬라는 뭐 독일찬가요 애초에 그 FTA빨로 단자도 안갈고 들여왔는데 | 25.10.17 23:27 | | |
(IP보기클릭)106.101.***.***
? 국평오? 국내 판매중인 테슬라는 상하이산 한미fta 적용 받는건 미국생산분 5만대까지 | 25.10.17 23:39 | | |
(IP보기클릭)211.238.***.***
우주선도 그렇고 내구성이 우선되는 제품들이 있음.
(IP보기클릭)175.124.***.***
(IP보기클릭)49.165.***.***
(IP보기클릭)121.141.***.***
AI4에 들어가는 7LPP 자체부터가 이미 6년도 훨씬 넘은, 얘조차도 최신 공정과는 거리가 먼데 뭔 소리임. 인포테인먼트는 14nm 레이븐 릿지 맞고. 그만큼 자동차 반도체는 맛폰 태블릿 노트북만큼 최신공정에 목숨걸지 않아도 되고 공정이 딸린다고 해서 맛폰 태블릿 노트북만큼의 넘사벽급 현격한 격차가 나오는 것도 아니라고요. 그리고 모든 현기차에 죄다 8nm 쓰는 것도 아니고 대중차 라인만 싼 공정 쓰고 고급차는 더 최신 공정 쓰는데 계속 8nm만 강조하는 이유는 뭐임. | 25.10.17 23:37 | | |
(IP보기클릭)121.141.***.***
그리고 현기나 되니까 스스로 설계라도 시도하네 마네 하는 거지 다른 회사들은 자체 설계고 뭐고 싹 다 포기한 놈들 천지임. 도요타만 하더라도 엔비디아 오린이랑 Drive OS 그대로 갖다 쓸 예정이고. | 25.10.17 23:50 | | |
(IP보기클릭)49.165.***.***
ai4도, 지금 기사도 자율주행칩 얘기하는데 대체 무슨 소릴하는거지? 자꾸 어설프게 다른 거 엮어서 선동하지마시고요 그래서 지금 16년도 테슬라가 쓰던 칩으로 ccnc하는 것처럼 2030년에 지금 테슬라가 쓰는 공정인 건 왜 무시하시죠? 안정성은 현대차가 못하는거지, 그럼 그냥 40나노 쓰라고하세요 ㅋㅋㅋ | 25.10.18 00:14 | | |
(IP보기클릭)49.165.***.***
현실은 ccic는 엘지, ccnc는 금방 접고 aaos로 넘어가고 ccnc나 ccic는 엔비디아가 만든 칩(테그라=드라이브)인데 ㅋㅋㅋㅋ | 25.10.18 00:17 | | |
(IP보기클릭)121.168.***.***
저분이 말한 도요타 칩, 자율주행 용 칩입니다... 진짜로 다른 레거시 업체는 이제 막 칩 설계 업체랑 계약하거나 (벤츠- 9월 말에 칩 설계 업체랑 손 잡았다고 기사뜸) 걍 다른 업체 꺼 가져다 쓰거나 (bmw-스냅드레곤 라이드 파일럿 탑재해서 얼마전에 차량 출시됨 , 도요타 엔디비아 솔루션 탑재 할거라고 1월 경에 발표) 하는 수준입니다. | 25.10.18 01:26 | | |
(IP보기클릭)49.165.***.***
도요타가 엔비디아랑 한다는 것도 곧 적용되는 거지, 2030년 얘기가 아님 그리고 그렇게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포티투닷의 플레오스가 퀄컴, 엔비디아보다 안정적인가? 오히려 엔비디아, 퀄컴이 좋겠죠. 자율주행을 목표로 하는 성능과 os니까요. 스냅은 4나노, 오린도 8나노인가 한다는데 그럼 더더욱 현대차가 뒤쳐지는 거 아닌가요?? | 25.10.18 11:06 | | |
(IP보기클릭)121.168.***.***
그으을쎄요 곧 적용 아닐걸요? 차세대 플랫폼에 탑재한다고 들었는데 올해 풀체인지 신형 rav4도 아직 tnga에 지들 프로그램 쓰거든요... 도요타 얘들 헤맨거 생각하면 27~8년 쯤 들어갈 거 같긴 합니다. 들어가도 잘 작동할지는 모르겠네요. 요즘 얘들 최근 일이년새 하는 짓이 전기차 개발한다고 목업 만 좋나 세워 놓고 홍보하기, 엔진 늘러 붙는거 모른척 하기, 새 전기차 시승단 모아 놓고 출시 행사에서 휠 너트 부러졌는데 걍 출시 했다가 전액 환불 해주고 고쳐서 다시 내놓기. 이러고 있어서 참... 그리고 여기 분들이 이 말하는 안정성은 소프트웨어적인 게 아니고 하드웨어적인 안정성인데, 아마 비슷할겁니다. 당장 현대가 만든다는 자체설계 칩... 제 생각에는 삼성 엑시노스 기반으로 만든 커스텀 칩텐데요. 그럼 이미 테슬라가 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해서, 현대는 따라가기만 하면 되거든요. 그럼 뭐 안정성은 보장 되지 않을까 싶은데... 또 스펙도 지금 뿌려진 플레오스용 Devbox 보다는 높을 테니 뭐 존나게 존나 큰 빅칩으로 만들든 지랄을 하든 스펙은 맞춰오지 않을까요? 제가 엔디비아 홈피에 있는 보도자료 보니 도요타가 쓴다는 엔디비아 솔루션이 오린으로 나오는데 60w 짜리 솔루션이라 뭐 120w 쯤 처먹이면 못 이길 것도 없지 싶은데. | 25.10.18 13:5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