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hesda Softworks에서 약 20년에 걸쳐 SVP(Senior Vice President)를 맡은 Pete Hines씨가, 해외 미디어 DBLTAP에 의한 인터뷰 중에서, 구독형 게임 서비스에는 문제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 Hines씨의 발언에 호응하는 형태로, Xbox Games Studios의 전 VP인 Shannon Loftis씨가 찬성하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 PC Gamer가 보도하고 있다.
Pete Hines씨는 1999년에 Bethesda Softworks에 입사. 이후 2023년에 퇴사할 때까지, 글로벌 마케팅 부문 SVP나 퍼블리싱 부문의 톱을 맡는 등, 오랫동안 회사에 공헌한 인물이다.
그는 DBLTAP 인터뷰에서 자신의 반생을 돌아보고 있다. 그리고 인터뷰 중에서는 Game Pass로 대표되는 구독 서비스에 대해서도 언급. 그는 현재 시점에서는 업계에 몸을 담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도, 그러한 서비스의 본연의 자세에 대해 전부터 염려하고 있던 것 같아, 생각하고 있던 대로의 상황이 되고 있다고 하여 구독 서비스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했다.
Hines씨는, 구독 서비스의 운영사과 개발사 양쪽 다 밸런스 좋게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내지 못하면, 심각한 문제를 안게 된다, 라고 경종을 울리고 있다. 그는 특히 컨텐츠가 없으면 애초에 구독 서비스는 성립되지 않는 점을 들어, 게임 개발이나 발매 후의 서포트에 드는 코스트나 노력을 정당하게 평가해, 보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또 현재로서는 서비스 운영측과 개발사에 각각의 요구가 다른 "긴장 상태"가 있어 크리에이터를 포함한 많은 사람을 괴롭히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해, 현재의 구독 서비스 운영에 있어서의 결함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 발언에 대해 Shannon Loftis씨가 찬성의 뜻을 나타냈다. Loftis씨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Xbox Games Studios에 재적하고 있던 인물. Kinect를 이용한 여러 타이틀의 개발이나, 퍼블리싱에 있어서의 제너럴 매니저를 맡은 것 외에, Xbox Games Studios의 VP를 맡은 경험도 있다.
그런 Loftis씨는 LinkedIn 상에서, 자신의 경력을 근거로 해 「Hines씨의 의견을 옳다고 단언할 수 있다(I can attest that Pete is correct)」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출시 후의 모네타이즈 수단, 즉 DLC나 과금 아이템의 판매가 계획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Game Pass에 나오는 게임의 대부분이, 많은 소매의 매상을 희생하고 있다고 하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즉 완성품 타이틀로서도 발매되고 있는 타이틀에서는, 인게이지먼트를 획득할 수 있는 한편, 소매 매상의 기회 손실도 크다고 하는 견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Human Fall Flat'을 예로 들면서, Game Pass의 효과도 있어 본래 묻혀버리는 게임이 성공을 거두는 경우도 있는 반면, 많은 게임에서는 인기 획득과 수익성을 저울질하는 딜레마가 생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Game Pass를 중심으로 한 구독 서비스에 대해서, 요즘에는 종종 그 메리트나 비즈니스로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보인다. Game Pass에 작품을 제공하는 대가가 되는 계약금이 당초보다 적어지고 있다고 하는 보고도 보여져 업계에서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회의적인 의견도 있다.
특히 마이너한 장르의 타이틀이거나 소규모 스튜디오인 경우에는 계약금뿐만 아니라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하는 개발자도 존재. 또 중규모 스튜디오 Rebellion이 다룬 "Atomfall"에서도 발매 후 곧 장기적으로는 개발비를 회수할 수 있는 전망이 선 것이 보고되었다. 해당 작품에서는 스토리 확장 DLC로서 6월에 "Wicked Isle"이 배포되어 9월 16일에는 "The Red Strain"이 발매 예정. 출시 이후에도 여러 스토리 확장 DLC가 전개되고 있으며, Game Pass로 인해 높아진 주목도를 수익으로 이어간다는 전략일 것이다.
"게임을 구입한다"는 허들을 낮추고, 게임에 주목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 다만, 특히 발매 첫날부터 배포되는 Game Pass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매상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는 것 같아서, 요즘은 개발 규모에 따라서는 계약금만으로 "손실"을 커버하는 것은 어려워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Loftis씨의 진술과 같이, 구독 서비스로 높아진 주목을 모네티이즈에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작품이나 개발 방침에 따라서는 그러한 전략을 취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번에는 과거 Xbox의 간부를 맡았던 인물로부터도 Game Pass의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향후도 구독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은 업계에 있어서 주목의 토픽이 될 것 같다.
(IP보기클릭)122.32.***.***
애초에 말도 안되는 비지니스였음 퍼스트 파티 내실을 다졌어야했는대 죄다 겜무원 양성하고 개발취소만 이어지고 필스펜서 놈만 안짤리는 기이한 상황
(IP보기클릭)211.198.***.***
엑박유저들은 게임패스 수익난다고 떠들어대더니 다 거짓말이었네
(IP보기클릭)118.38.***.***
퍼스트 플스로 다 풀고 있고 여러나라(한국포함) 엑박 콘솔 판매 중단 시키고 수장인 필스팬서는 본사에서 요구하는 돈이 너무 많아서 플스로 게임을 낼수밖에 없다고 인터뷰로 대놓고 발언까지하니 거의 한계이긴 할거임
(IP보기클릭)211.107.***.***
돈 비싸게 주고 사온 개발사 들도 상태가 안좋으니......
(IP보기클릭)39.121.***.***
대다수 게임의 매출을 희생해 유지되고 있다 경종을 울리다 돈넘치고 문제없고 수익좋고 잘나간다고 하던데 ㅋㅋ 이런데 무슨 차세대 엑박을 준비하냐 ㅋ 없지 ㅋㅋㅋ
(IP보기클릭)118.38.***.***
퍼스트 플스로 다 풀고 있고 여러나라(한국포함) 엑박 콘솔 판매 중단 시키고 수장인 필스팬서는 본사에서 요구하는 돈이 너무 많아서 플스로 게임을 낼수밖에 없다고 인터뷰로 대놓고 발언까지하니 거의 한계이긴 할거임
(IP보기클릭)45.82.***.***
논리대로 해석하면 풀프라이스로 경쟁사 기기에서 구매자가 사준걸 구독자에게 공짜로 풀어주는거네? 실크송 공짜 플레이 굳이긴 함 | 25.09.09 23:00 | | |
(IP보기클릭)58.238.***.***
이 논리대로면 너는 그냥 복돌이랑 다를께 없음 | 25.09.10 00:01 | | |
(IP보기클릭)182.212.***.***
그러게요 마소에서 엑박유저들을 뭘로 볼까요? 게임 하나 안 사서 돈 안되는 것들 이미 구독제로 받아 놓은 게 있어서 당장 접지도 못하고 진짜 빡칠거임 난 구독 아이디어 이것도 세가에서 준거거나 보고 따라한 걸로 보는데 이게 30년이 지나도 안 통하는 구만 플스 1~2 시절에 했다면 통했을지도? | 25.09.10 00:14 | | |
(IP보기클릭)39.118.***.***
구독료 내는게 공짜냐? 소유도 못하는데? | 25.09.10 00:35 | | |
(IP보기클릭)220.65.***.***
거의 공짜. 수용소 애들 겜패스 아이디 하니로 열명이 돌려쓰더라구요. 수용소 3대장이 10명이 돌려 쓸 수 있다고 공식으로 홍보까지 함, | 25.09.10 01:19 | | |
(IP보기클릭)59.16.***.***
(IP보기클릭)122.32.***.***
애초에 말도 안되는 비지니스였음 퍼스트 파티 내실을 다졌어야했는대 죄다 겜무원 양성하고 개발취소만 이어지고 필스펜서 놈만 안짤리는 기이한 상황
(IP보기클릭)211.198.***.***
엑박유저들은 게임패스 수익난다고 떠들어대더니 다 거짓말이었네
(IP보기클릭)218.147.***.***
저도 게임패스 오래가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 하긴 한데 기사 내용이 그 이야긴 아닙니다. 실제로 기사 내에서 수익이 난 게임에 대한 이야기들도 하고 있음 | 25.09.09 22:56 | | |
(IP보기클릭)175.193.***.***
엑박 유저들은 암말 안하는데 왜 자꾸 가공의 유저를 만들어요? | 25.09.10 01:00 | | |
(IP보기클릭)121.134.***.***
(IP보기클릭)211.107.***.***
돈 비싸게 주고 사온 개발사 들도 상태가 안좋으니......
(IP보기클릭)106.102.***.***
(IP보기클릭)39.121.***.***
대다수 게임의 매출을 희생해 유지되고 있다 경종을 울리다 돈넘치고 문제없고 수익좋고 잘나간다고 하던데 ㅋㅋ 이런데 무슨 차세대 엑박을 준비하냐 ㅋ 없지 ㅋㅋㅋ
(IP보기클릭)45.82.***.***
요즘은 현업 그 자리를 지키는 사람이 '現'이 아닌 '前' 직원이 상황을 파악 할 수 있는 초능력 같은게 있는건가? ㅋㅋ | 25.09.09 23:04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245.***.***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2.170.***.***
(IP보기클릭)211.241.***.***
(IP보기클릭)45.82.***.***
그나마 마음에 드는 게임 할인구매로 사거나 DLC 구매, 인결제 정도... 그런데 실제 디아4 인결제로 버는 돈이 어마어마 하다고 하죠 | 25.09.09 23:12 | | |
(IP보기클릭)211.241.***.***
저도 페르소나3 R 있다고 해서 한달 쓰고 엔딩 딱보니까 다른게임 패스에 언제 뜨나 그것만 보고 있더라고요 ....... | 25.09.09 23:14 | | |
(IP보기클릭)211.198.***.***
라이브러리 인증해봐 | 25.09.09 23:24 | | |
(IP보기클릭)210.103.***.***
인앱결제할 정도로 오래할거면 걍 본편사는게 싸게먹히는거 모르나 | 25.09.10 00:51 | | |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244.***.***
(IP보기클릭)49.172.***.***
(IP보기클릭)59.14.***.***
(IP보기클릭)118.43.***.***
(IP보기클릭)125.186.***.***
(IP보기클릭)121.157.***.***
(IP보기클릭)121.157.***.***
5년동안 꿀 빨았으니 이미 배부르지만~ | 25.09.10 00:21 | | |
(IP보기클릭)182.212.***.***
(IP보기클릭)36.39.***.***
(IP보기클릭)210.103.***.***
(IP보기클릭)211.253.***.***
(IP보기클릭)119.175.***.***
(IP보기클릭)125.244.***.***
(IP보기클릭)220.72.***.***
(IP보기클릭)121.133.***.***
(IP보기클릭)98.237.***.***
(IP보기클릭)27.117.***.***
(IP보기클릭)121.154.***.***
유정군이 자주쓰는 망한다의 뜻은 흥행에 실패했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것같습니다. | 25.09.10 07:49 | | |
(IP보기클릭)50.234.***.***
(IP보기클릭)58.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