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정보] 언리얼·유니티, 게임엔진계 최후 승자는 누구? [16]


(1076219)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8222 | 댓글수 16
글쓰기
|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110.10.***.***

BEST
언리얼이든 유니티든 거지같은 네이버카페에서 먼저 벗어나서 한글로 구글링 가능한 커뮤니티 만드는 쪽이 이길것 어차피 나중가면 다 영어로 검색하겠지만 초보가 기본적이고 자잘한 문제에 골치아플때는 한글로 된 글이 좋죠
19.05.26 09:43

(IP보기클릭)218.53.***.***

BEST
우선, 언리얼은 UDN의 이용 비용이 비싼 게 문제죠. UDN은 커스텀 라이센스 계약을 해야 이용할 수 있는데, 거기에 드는 비용이 꽤 높거든요. 개인 개발자이나 소규모 개발팀은 여기서 많은 부담을 느끼죠. 그렇다고 UDN 없이 개발하기에는 한국의 개발환경은 열악하죠. 일단, 한국어 앤써허브가 운영되지 않고 있는데다가 언리얼 공식 네이버 카페는 개발자들끼리 알아서 해결하라고 떠넘기고 있어서 UDN 없이 언리얼의 문제들을 해결하기는 정말 힘든 상황입니다. 그래서 개인 개발자이나 소규모 개발팀들이 자연스럽게 유니티로 가게 되는 거 같더라고요. 언리얼을 커스텀 라이센스 계약해서 사용하는 것보다 유니티 프로가 월등히 저렴하니까요. 여기서 중요하게 생각할 부분은 메이저 게임 회사의 숫자가 날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죠. 만약에 메이저 게임 회사의 숫자가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면, 언리얼의 UDN 중심의 마케팅 전략이 수익에 유리한 현명한 전략이겠만, 현실은 그 반대로 메이저 게임 회사의 숫자가 날이 줄고 있기 때문에 언리얼이 지금처럼 UDN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계속 고집하는 것은 수익에 불리한 멍청한 전략이라는 것이죠. 그리고 비겜분야쪽에서 그 비싼 언리얼의 커스텀 라이센스 계약을 해서 UDN을 쓰면서 언리얼로 산업용 S/W를 개발하는 곳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공장을 자동화할 목적으로 5G로 통제되는 공장내의 로봇들을 시뮬레이션하는 산업용 S/W를 만들라는 의뢰가 들어왔을 경우에 비싼 언리얼의 UDN을 사용하면서 개발하는게 단가에 유리하겠습니까? 아니면 저렴한 유니티 프로로 개발하는게 단가에 유리하겠습니까? 개발사는 당연히 이익에 더 유리한 유니티 쪽을 선택합니다. (저는 이와 유사한 사례를 실제로 목격했습니다.) 지금 현재 기준으로 비겜분야에서 유니티가 언리얼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가 바로 이런 선택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9.05.26 19:11

(IP보기클릭)182.228.***.***

BEST
한글 튜토이얼 제대로 만들어 쭤라~ 언리얼
19.05.26 11:02

(IP보기클릭)1.11.***.***

BEST
게임계 최종 승자는 뭐 정신과 의사들이랑 개--독상담사들이지. 뭐. 이제 아예 빨대 꼽고 돈 빨아먹게 생겼더만..
19.05.26 16:30

(IP보기클릭)218.53.***.***

BEST
언리얼이 메가그랜트의 비용을 데브그랜트의 20배로 올렸다는 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20배로 올렸다는 건 개발사에게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당장 들어온 의뢰를 제대로 처리해야 산업용 S/W 개발사의 생존에 문제가 없거든요. 메가그랜트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에픽의 주관적인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그러므로 개발사가 만드는 산업용 S/W가 메가그랜트로 선정이 된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선정이 되더라도 메가그랜트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에픽을 믿고 언리얼을 선택할 개발사는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산업용 S/W 개발사가 생존에 직결된 문제를 확실히 안정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불확실하게 많은 돈(메가그랜트)보다 더 중요하니까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는 내용이지만, 현재 한국의 통신 3사는 전부 유니티를 선택했습니다. 한국의 통신 3사는 돈이 많습니다. 따라서 메가그랜트로 받는 돈은 중요하지가 않습니다. 오직! 문제를 확실히 안정적으로 해결하는 게 더 중요하며, 여기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발지원과 교육지원입니다! 현재 개발지원과 교육지원 측면에서 언리얼보다는 유니티가 훨씬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선택을 했을 거라고 판단됩니다. 위와 같은 이유들 때문에 언리얼이 메이저 게임업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UDN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전면 재수정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갈수록 언리얼이 훨씬 불리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언리얼이 한국에서의 이런 분위기를 바꾸려면, 개발지원과 교육지원을 엄청 정성껏 해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19.05.26 19:12

(IP보기클릭)121.143.***.***

흥미롭네요
19.05.26 09:19

(IP보기클릭)110.10.***.***

BEST
언리얼이든 유니티든 거지같은 네이버카페에서 먼저 벗어나서 한글로 구글링 가능한 커뮤니티 만드는 쪽이 이길것 어차피 나중가면 다 영어로 검색하겠지만 초보가 기본적이고 자잘한 문제에 골치아플때는 한글로 된 글이 좋죠
19.05.26 09:43

(IP보기클릭)182.226.***.***

게섯거라! 게임엔진 GMS가 간다!
19.05.26 09:53

(IP보기클릭)210.100.***.***

메이저 업체 : 언리얼 인디 : 유니티 쉔무 : 언리얼? 니들이?
19.05.26 11:01

(IP보기클릭)182.228.***.***

BEST
한글 튜토이얼 제대로 만들어 쭤라~ 언리얼
19.05.26 11:02

(IP보기클릭)106.102.***.***

Zeitgeist
한글 튜토리얼은 유니티보다 언리얼이 훨씬 잘되있지 않음?? | 19.05.26 13:08 | | |

(IP보기클릭)211.230.***.***

Alice🐾
그냥 한글 문서 자체 한글화는 비슷합니다만 언리얼이 조금 낫습니다. 오히려 아직까지도 한글 문서화가 제대로 안되어있는 유니티가 조금 더 실망 스럽죠. | 19.05.26 13:23 | | |

(IP보기클릭)211.201.***.***

메이저 업체는 언리얼 쓰고 인디는 유니티 쓰면 유니티는 망해요. 수익모델이 섭스크립션 인데.. 인디는 큰 돈이 안 되죠.
19.05.26 12:25

(IP보기클릭)118.37.***.***

Simbian
근데 대형겜사들 돈들인 대작들 보면 대체로 언리얼4이던 | 19.05.26 14:27 | | |

(IP보기클릭)218.144.***.***

코리아개꿀
돈 엄청 버는 게임들중에 유니티로 만드는게 많으니... | 19.05.26 18:06 | | |

(IP보기클릭)39.122.***.***

걍 재밌게 구입하고 즐겨주면 좋은거지..편가르기식 또뭐냐?
19.05.26 15:32

(IP보기클릭)14.37.***.***

amd intel, 라데온 지포스 처럼 계속 경쟁체제로 갔고 서로 발전했으면~!~!
19.05.26 15:52

(IP보기클릭)1.11.***.***

BEST
게임계 최종 승자는 뭐 정신과 의사들이랑 개--독상담사들이지. 뭐. 이제 아예 빨대 꼽고 돈 빨아먹게 생겼더만..
19.05.26 16:30

(IP보기클릭)218.53.***.***

BEST
우선, 언리얼은 UDN의 이용 비용이 비싼 게 문제죠. UDN은 커스텀 라이센스 계약을 해야 이용할 수 있는데, 거기에 드는 비용이 꽤 높거든요. 개인 개발자이나 소규모 개발팀은 여기서 많은 부담을 느끼죠. 그렇다고 UDN 없이 개발하기에는 한국의 개발환경은 열악하죠. 일단, 한국어 앤써허브가 운영되지 않고 있는데다가 언리얼 공식 네이버 카페는 개발자들끼리 알아서 해결하라고 떠넘기고 있어서 UDN 없이 언리얼의 문제들을 해결하기는 정말 힘든 상황입니다. 그래서 개인 개발자이나 소규모 개발팀들이 자연스럽게 유니티로 가게 되는 거 같더라고요. 언리얼을 커스텀 라이센스 계약해서 사용하는 것보다 유니티 프로가 월등히 저렴하니까요. 여기서 중요하게 생각할 부분은 메이저 게임 회사의 숫자가 날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죠. 만약에 메이저 게임 회사의 숫자가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면, 언리얼의 UDN 중심의 마케팅 전략이 수익에 유리한 현명한 전략이겠만, 현실은 그 반대로 메이저 게임 회사의 숫자가 날이 줄고 있기 때문에 언리얼이 지금처럼 UDN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계속 고집하는 것은 수익에 불리한 멍청한 전략이라는 것이죠. 그리고 비겜분야쪽에서 그 비싼 언리얼의 커스텀 라이센스 계약을 해서 UDN을 쓰면서 언리얼로 산업용 S/W를 개발하는 곳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공장을 자동화할 목적으로 5G로 통제되는 공장내의 로봇들을 시뮬레이션하는 산업용 S/W를 만들라는 의뢰가 들어왔을 경우에 비싼 언리얼의 UDN을 사용하면서 개발하는게 단가에 유리하겠습니까? 아니면 저렴한 유니티 프로로 개발하는게 단가에 유리하겠습니까? 개발사는 당연히 이익에 더 유리한 유니티 쪽을 선택합니다. (저는 이와 유사한 사례를 실제로 목격했습니다.) 지금 현재 기준으로 비겜분야에서 유니티가 언리얼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가 바로 이런 선택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9.05.26 19:11

(IP보기클릭)218.53.***.***

BEST
LightningStorm
언리얼이 메가그랜트의 비용을 데브그랜트의 20배로 올렸다는 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20배로 올렸다는 건 개발사에게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당장 들어온 의뢰를 제대로 처리해야 산업용 S/W 개발사의 생존에 문제가 없거든요. 메가그랜트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에픽의 주관적인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그러므로 개발사가 만드는 산업용 S/W가 메가그랜트로 선정이 된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선정이 되더라도 메가그랜트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에픽을 믿고 언리얼을 선택할 개발사는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산업용 S/W 개발사가 생존에 직결된 문제를 확실히 안정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불확실하게 많은 돈(메가그랜트)보다 더 중요하니까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는 내용이지만, 현재 한국의 통신 3사는 전부 유니티를 선택했습니다. 한국의 통신 3사는 돈이 많습니다. 따라서 메가그랜트로 받는 돈은 중요하지가 않습니다. 오직! 문제를 확실히 안정적으로 해결하는 게 더 중요하며, 여기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발지원과 교육지원입니다! 현재 개발지원과 교육지원 측면에서 언리얼보다는 유니티가 훨씬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선택을 했을 거라고 판단됩니다. 위와 같은 이유들 때문에 언리얼이 메이저 게임업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UDN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전면 재수정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갈수록 언리얼이 훨씬 불리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언리얼이 한국에서의 이런 분위기를 바꾸려면, 개발지원과 교육지원을 엄청 정성껏 해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19.05.26 19:12 | | |

(IP보기클릭)14.63.***.***

에픽 코리아가 배가 불렀죠. 일을 안해요. 개발자 지원 좀 제대로 하라고
19.05.27 13:14


1
 댓글





읽을거리
[게임툰] 완전 게 같은 게임이네... 어나더 크랩스 트레저 (27)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57)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4)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6)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3)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9)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2)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57)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6)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게시판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50 전체공지 루리웹 공동대표 진인환 입니다. 8[RULIWEB] 2024.06.21
2304480 검은사막 PC 게임 정보 빡통이 9 2228 01:26
2304479 정보 PC 게임 정보 냐옹왕 9 3557 01:01
2304478 정보 PC 게임 정보 ComShepard 1 1170 00:52
2304477 정보 PC 게임 정보 롭스 326 00:07
2304476 ETC PC 정보 라스트리스 1231 2024.06.22
2304475 디아 PC 게임 정보 Naeri 16 7635 2024.06.22
2304474 정보 PC 게임 정보 빡통이 1 3076 2024.06.22
2304473 정보 PC 게임 정보 빡통이 1 2195 2024.06.22
2304472 S/W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745 2024.06.22
2304471 S/W PC 정보 불꽃남자 쟈기만 6 6352 2024.06.22
2304470 정보 PC 게임 정보 베르세리아2 2 1445 2024.06.22
2304469 ETC PC 정보 라스트리스 7 5877 2024.06.22
2304468 인디게임 PC 게임 정보 ComShepard 9 1574 2024.06.22
2304467 클로저스 PC 게임 정보 루리웹-293644438 4 1660 2024.06.22
2304466 클로저스 PC 게임 정보 루리웹-293644438 7 3663 2024.06.22
2304465 정보 PC 게임 정보 전국퍼리 인정협회 30 26781 2024.06.22
2304464 정보 PC 게임 정보 ComShepard 45 23784 2024.06.22
2304462 정보 PC 게임 정보 루리웹-3690280931 23 20629 2024.06.22
2304461 인디게임 PC 게임 정보 ComShepard 2 1334 2024.06.22
2304460 인디게임 PC 게임 정보 ComShepard 4 2415 2024.06.22
2304458 정보 PC 게임 정보 ComShepard 4 3153 2024.06.22
2304457 ETC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746 2024.06.22
2304456 S/W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057 2024.06.22
2304455 ETC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1453 2024.06.22
2304454 S/W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1302 2024.06.22
2304453 S/W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2424 2024.06.22
2304452 S/W PC 정보 사쿠라모리 카오리P 958 2024.06.22
2304451 정보 PC 게임 정보 ComShepard 6 2158 2024.06.22

글쓰기 287905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