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S의 처리 모델이 CNN에서 트랜스포머(챗GPT의 그것)로 변경되면서
이번 드라이브 업데이트를 통해 DLSS4 미지원 게임들에서도 강제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일단 결과를 보고 적용 여부를 판단해보세요.
적용 방법
https://www.nvidia.com/ko-kr/geforce/drivers/
로 들어가셔서 검색 시작 버튼을 누르신 후 1월 30일자 572.16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세요.
NVIDIA 앱을 열고
설정탭 → 게임 및 앱 → 지금 스캔 을 눌러주세요.
그래픽탭 → 퍼스트 디센던트로 들어가셔서 가장 아래쪽 드라이버 설정으로 가세요.
DLSS 오버라이드 - 모델 초기 설정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처음으로 돌아가셔서 지금 스캔을 다시 눌러주세요.
SUPER Resolution 항목을 3D 응용 프로그램 설정 사용(기본값) → 최신으로 변경하여 최신 프리셋인 프리셋K를 적용합니다.
설정이 끝났습니다.
게임을 켜고 DLSS4 적용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래픽 설정은 4K 모두 최상에 레이트레이싱과 모션블러만 끄고 진행했습니다.
※ 화질 열화 없이 보여드리기 위해 용량 압축을 제한했습니다.
전체화면으로 보세요.
원본
원본 자체엔 큰 변화가 없습니다.
DLAA
구버전 DLAA는 원본의 계단현상을 제거하여 헤어 표현이 깔끔한 반면 신버전은 머리 디테일을 다 뭉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DLAA는 FXAA나 TAA와 같은 안티엘리어싱 기술입니다. DLSS에서 업스케일 부분을 뺀 최상위 옵션입니다.
DLSS 품질
신버전에서 눈에 띄게 자글거림이 줄어들었습니다.
...대신 버니 머리에 거미줄을 쳐놨군요.
확대하지 않고 실제 게임에서 볼 때는 자글거림이 줄어들어 더 좋아졌나? 싶긴 합니다.
DLSS 울트라 성능
이쯤 되니까 거미줄이 아니라 버니 얼굴에 모자이크를 한 수준이네요.
고스팅 현상 감소라던가 다른 이점이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정적인 환경에서 비교하면 자글거림이 줄어든 대신 이미지 품질은 완전 실망스러운 수준입니다.
앞으로 업데이트 또는 게임에서 정식 지원 등의 개선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결론
버니는 예쁘다.
(IP보기클릭)118.32.***.***
(IP보기클릭)218.154.***.***
(IP보기클릭)211.246.***.***
나중에 정식지원하면 인벤 말고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를 해봐야겠습니다. 다른 것보다 셰이더컴파일을 다시 하는지 스터터링 엄청나서 그게 더 큰일이었음. | 25.02.02 23:1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