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요즘 S단자에 눈이 가는데 [22]


profile_image


(116452)
0 | 22 | 1239 | 비추력 176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22
1
 댓글


(IP보기클릭).***.***

도트들이 약간씩 뭉그러져 보입니다. TV 환경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약간 더 좋아보이긴 합니다.
09.11.30 00:00

(IP보기클릭).***.***

저도 큰맘먹고 S단자를 구매 했는데 화질이 완전 끝짱 나네요;
09.12.01 00:00

(IP보기클릭).***.***

보통 약간 정도가 아닙니다. AV단자에서 S단자로 넘어가는 순간, PS2때는 이런 정도로 못 느꼈는데 SFC의 경우에는 HDTV로 넘어간 수준의 느낌이더군요. 선명도는 둘째 치고 색감도 변하고 명암비가 높아져서 쨍해지는게 -_-
09.12.01 00:00

(IP보기클릭).***.***

아, 그런데 제 이야기는 브라운관 TV의 이야기입니다. LCD면 모르겠네요.
09.12.01 00:00

(IP보기클릭).***.***

TV에 따라 다르겠죠 ㅎㅎ 차세대기에 익숙하시다면 그럭저럭이겠지만, 아니시라면,정말 만족하실듯(브라운관에서)
09.12.01 00:00

(IP보기클릭).***.***

갑자기 궁금해집니다~ 그냥 오래전 아날로그 티비에도 쓸수있나요? 닌텐도큐브,N64,슈패 이렇게 호환된다는데 그것도 사실인지??
09.12.01 00:00

(IP보기클릭).***.***

브라운관tv 이용하신다면 S단자 강추입니다~! 확실히 선명해지네요~~~
09.12.01 00:00

(IP보기클릭).***.***

전.. 브라운관 TV에서 슈패용 2D도트게임 S단자(정품) 사용할때.. 그렇게 큰 차이는 못느끼겠더군요.. LCD는 말할 것도 없고요.. 여러분들 말씀 들어보면.. 브라운관 TV의 종류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예전 PS2 컴포짓 -> S단자 사용했을때 느꼈던 충격은 없습니다.
09.12.01 00:00

(IP보기클릭).***.***

음 그렇군요. 답변감사합니다~!~
09.12.01 00:00

(IP보기클릭).***.***

같은 브라운관이더라도 HD에 기반한 디지털 TV가 있고 완전한 아날로그 TV가 있으니까요. 패미컴부터 플스2까지의 15k 해상도 기반 기종들은 아날로그 브라운관에서 돌리는 게 좋습니다. 그나저나 저는 정말 플스 S단자 때보다 슈패미 S단자때 충격이 더 컸습니다. 아무래도 플스2가 480i의 인터레이스 그래픽이라서 지속적인 떨림 현상 때문에 원래 살짝 흐려보이는 데에 비해 슈패미의 240p는 떨림 하나 없는 안정된 화상이다 보니 선명도의 증가가 크게 눈에 띠었던 것 같네요.
09.12.01 00:00

(IP보기클릭).***.***

저도 여러가지로 오해하실까봐 댓글 남깁니다.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게임환경에서의 의견이였다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제가 슈패 실기 사용하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기때문에 PS2때(브라운관) 처럼 혁신적인 차이가 느껴지지 않더군요..
09.12.01 00:00

(IP보기클릭).***.***

화질로 따지면 컴터로 에뮬돌리면대것죠 슈패의 s단자 고전에의미가 잇나몰것군요... 화질로 따지면 플1 리판을 하것습니다 (파판기준으로)
09.12.03 00:00

(IP보기클릭).***.***

우리가 슈패를 이제와서 찻는건 그당시 그느낌 아닐가여 저가알기로 슈패나올당시 s단자는 일본에서조차 대중성이 없던걸로 암니다 모 취양이것지만 av에 브라운관티비에 일판 슈패로 하는것이 당시에 느낌그대로 아닐가합니다 고전은 고전일때 아름답습니다...
09.12.03 00:00

(IP보기클릭).***.***

ㄴ 실례이지만, RF나 AV단자처럼 색번짐이 심한 단자가 아닌 이상 컴퓨터 에뮬레이터보다 TV로 돌리는 게 화질이 더 좋은 게 맞습니다. 첫번째로 고전 기종들은(이라고 말해도 무려 PS2까지도) 15k NTSC의 해상도를 지니고 있지만 컴퓨터 모니터들은 최근 LCD모니터들은 고정 화소식인 덕택에 HD급의 해상도로 업스케일처리를 가할 수 밖에 없으며 심지어 CRT모니터를 구하더라도 최소 해상도가 31k VGA로 두배나 됩니다. 이런 디스플레이에 연결하려면 업스케일 처리가 불가불하기 때문에 그래픽도 많이 짜부라지며, 특히 업스캔 과정에서 처리 지연도 발생합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에뮬레이터라 하면 무조건 원판 그대로 돌려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요즘 많은데, 실제로 게임 기계들은 단순히 디지털 자료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게 아닙니다. 종스크롤 슈팅 게임 매니아들의 경우에는 사양 좋은 컴퓨터에서 에뮬레이터로 돌릴 시에 탄막이 뿌려질 때의 처리 지연 속도가 원판과 전혀 틀려서 감을 잡기 힘들다고 할 정도이며, 그 이외에도 여러가지 기술적인 문제로 제대로 구현이 안 되는 타이틀들도 아직 있습니다. 덤으로 에뮬레이터들 또한 아마츄어의 단계에서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자체적인 지연이 있기 때문에 더더욱 원판과는 미묘하게 느낌이 다르더군요. 아주 잘 돌아가는 순간 조차 0.2,3초 정도의 차이가 느껴지는 것 같아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좀 답답하죠. 제가 아는 에뮬레이터 중에서 이런 현상을 전혀 못 보고 완전히 PC용으로 게임을 이식한 마냥 부드럽게 돌아가는 건 아직까지 ZSNES뿐이었는데, 이건 어셈블러로 만들어졌다더군요. p.s. 세번째로 아무리 모니터가 좋더라도 모니터는 결국 가장 정확한 색과 가독성만을 중시한 업무용 패널이기 때문에 각종 영상 처리 기능이 달린 TV와 느낌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일반 수요자층의 감상을 주목적으로 한 멀티미디어 매체들은 당연히 TV에서 돌리는 게 화사한 화질을 감상할 수 있어서 좋죠.
09.12.03 00:00

(IP보기클릭).***.***

저도 브라운관티비로 하는게 가장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중 한명입니다! 그리고 그중에 s단자로 할때가 번지는게 없고 선명하더군요~!! 저도 한때 에뮬레이터로 할때가있었는데 조작감과 화질의 차이때문에 그리 정이 가지않더군요! 그래서 몇달전부터 구형티비와 슈퍼패미콤을 구입해서 하구 있지요!
09.12.03 00:00

(IP보기클릭).***.***

AV단자에 비해서 S단자가 화질이 더 좋으니 하나 구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09.12.03 00:00

(IP보기클릭).***.***

AV랑 s단자는 직접해보시면 알거라생각되네요. 일단 슈패는 케이블변환해서 해보진않았지만 괜히S단자거리는게 아니겠죠. 세턴 비정품s단자로 바꾸어서했을때 케이블교환으로 이정도 차이가나나하면서 충격을 받은적이있엇죠. 저도 TV에 한표던집니다. 제가 XRGB3(왓치TV X)로 RGB케이블연결해서 업스캔해서 CRT로해봤었는데 에뮬느낌이나서 그냥 되팔아버렸죠 이거볼려고 30만원정도 들여구입했나하는 후회를 하면서말이죠. 에뮬레이터로 시작한분들은 어떨지모르지만 좋아졌다해봐야 가짜일뿐입니다. 그래서 전에는 에뮬로 자주하곤했었는데 지금은 그냥 실기로하려고 참고있을뿐이죠. 그재미와감동을 에뮬로 한다는건 손해라는생각까지들더군요. 처음시작하시는분들은 TV에다가 실기로 플레이하시길권해드려요. 에뮬은 아무리 좋아봐야 에뮬이더군요. 그리고 Camille님 원래 슈패RGB출력이나 다른기기들 RGB출력이 화면에 뿌연가요 XRGB3쓰면서 에뮬같은것도 싫었지만 뿌연것도 싫더군요. 그래서 지금 게임기마다 RGB케이블 다구해놓고 처음에는 RGB모니터 구입하려했는데 그럴수도있을거같아서 그냥 세턴렌즈죽은거 본체하나 구입해서 RGB케이블 연결할수있게만들어 TV S단자로 출력을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또하나 XRGB 써보니 색감은 죽여주던데 제가 도트 튀는걸 싫어해서 오히려저에게는 S단자출력이 맞지않을까해서요.
09.12.04 00:00

(IP보기클릭).***.***

s단자 당연 av보다 화질좋습니다 여기서한가지 질문을 드리것습니다 s단자더좋아서 그걸습니다 그위가 컨퍼넌트화질이것죠 그리고요즘나오는 신에화질 hdmi... 만약에 슈패용 hdmi단자가 가능하다면 사용할 생각이 잇으신지요 아니라면 슈패는 s단자까지만 고전으로서 허용한다는 말인지 궁금하군요 이제와서 슈패 화질따지는거 자체가 좀 무의미하다는 생각에서 글좀써봅니다
09.12.04 00:00

(IP보기클릭).***.***

ㄴ 일단 HDMI단자는 디지털 단자이기 때문에 아날로그 해상도를 가진 슈패에서 쓰일 일은 없죠. 그런데 해상도는 아날로그인 상태에서 가장 뚜렷하고 선명한 컴포넌트 단자급의 화질을 자랑하는 단자가 고전 기종에 존재합니다. 21핀 RGB단자라고 하죠. 국내에선 아케이드 기판을 수집하는 소수의 매니아분들만 쓰는 정도지만 일본웹을 조사해 보면 과거부터 이 단자를 지원하는 TV도 소니에서 꾸준히 내어 왔었고(참고로 과거에 PS2용으로 최고의 화질이라며 유행을 탔던 내수용 트리니트론 브라운관 TV의 그 소문의 AV멀티단자가 21핀 RGB단자와 동일한 겁니다.) 또 업무용 오락실 모니터를 구해다 고전 게임기종을 RGB로 연결해 플레이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2ch등에선 'RGB가 없으면 죽는 사람들'이라는 스레도 있고요. 그 사람들을 '고전을 즐길 줄 모르는 사람들'로 봐서는 안 되죠.
09.12.04 00:00

(IP보기클릭).***.***

로보트 택견V // 제가 XRGB-2에 RGB로 연결해 본 콘솔이 세가 새턴과 플스2뿐이라 슈퍼 패미컴은 아직 모르겠네요. 그리고 RGB단자나 S단자나 지원 해상도는 480i로 비슷하니 RGB단자가 더 도트가 튄다던가 그런 문제는 없을 거에요. 선명도는 비슷한데 S단자는 거기에다 외곽선처리가 좀 더 거친듯한 느낌? 그 정도 차이더군요. AV단자의 경우에는 아예 지원 해상도 자체가 낮은 느낌이지만.
09.12.04 00:00

(IP보기클릭).***.***

여하간 이런 이야기 가지고 다투는 것도 이상한 거고, 결국 상품 소비란 건 소비자의 수요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릴 때의 추억을 상기시키기 위해 AV단자를 고집하는 것도 나쁘진 않은 일입니다. 자신의 수요니까요. 하지만 굳이 그 판타지를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시키는 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화질 좋게 플레이하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많고 그것 또한 수요니까요. p.s 제가 게임할 때 쓰는 TV가 90년대 초반에 구입했던 골드 스타 29인치 브라운관 TV인데, 이게 무려 S단자 입력이 가능합니다. 저렇게 오래 전에 국내에서 생산한 제품인데도요. 그리고 닌텐도 역시 본토에서는 슈퍼 패미컴이 한창 팔릴 때에 정품으로 S단자를 내어놨으며 심지어 매니아들만 찾는다던 RGB단자도 정품으로 발매했었습니다. 우리가 옛날에 모르고 AV단자로만 즐겼다지만 당시에도 정보를 입수하고 더 좋은 그래픽 환경을 꿈꾸던 게이머들은 S단자를 구해서 했을 수도 있죠. 꼭 모두가 AV단자로만 즐긴 건 아닐겁니다. p.s.2 일본 웹 자료를 검색하다 찾았던 정보인데 플스나 슈퍼 패미컴을 넘어 서서 무려 '패미컴'조차도 당시의 섬나라 게이머들은 그래픽 칩 셋을 사들이면서 직접 개조까지 가해서 RGB출력을 통해 즐기는 사람들이 있었다더군요. 80년대에 말이죠. 매니아의 세계는 깊고 깊습니다.(...)
09.12.04 00:00

(IP보기클릭).***.***

제대로 즐길려면 s단자 추천합니다. 제가 볼때 AV단자는 아주기본이며 지금 s단자니 RGB케이블이니 hdmi나왔있는시점에 Av로 그냥즐기는건 바보같은짓이죠. 예전부터 화질이니 그래픽이니 하면서 발전해왔는데 그런발전의차이를 느끼지못하는 사람이아니고서는 쓰는게 낫다고생각합니다. 어쨋든 s단자 쓰는거에 추천합니다.
09.12.08 00:00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