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전드 BB나 SDCS등 여러 가지 브랜드로부터 릴리스 되고 있는 SD건담이지만
이번에는 MGSD라고 하는 신브랜드로 키트화되었습니다.
가격은 4,290엔입니다.
부속품은 루프스 빔 라이플, 대빔 실드, 거기에 사벨 날 2개 뿐입니다.
잉여는 없습니다.
씰류는 마킹 씰이 부속되어 있습니다.
우선 프레임.
이번에는 MG라고 하는 것으로 통상의 MG와 같이 내부 프레임이 재현되어 있습니다.
바스트 업.
트윈 아이와 정수리 카메라에는 클리어 파츠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클리어 파츠를 사용하면서 트윈 아이의 가장자리의 블랙 등도 세밀하게 재현되어 있습니다.
다리의 프레임도 있어 나중에 소개하지만 세밀한 가동 기믹이 담겨 있습니다.
장갑을 장착한 상태.
MGSD 제1탄으로서 등장한 프리덤.
SD 건담이라고 하는 것으로 데포르메된 체형이지만 MG와 동등한 기믹이 담겨져 있어 정확하게 SD의 MG판이라고 하는 키트로 되어 있습니다.
스타일은 SD로서는 두신이 높고 스마트한 프로포션.
제작은 최신 키트답게 관절은 KPS로 폴리캡이나 ABS는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윙이지만 기존과 같이 두 갈래로 나뉘어진 느낌이 아니라 Ver.GCP처럼 하나로 정리된 실루엣으로 되어 있습니다.
단지 작은 윙 자체는 있으므로 펼치는 것으로 지금까지 가까운 실루엣으로 하는 것도 가능.
디테일은 꽤 어레인지되어 장갑에 단차나 분할이 화려하게 추가되어 정보량이 많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흰색 부분은 흰색과 라이트 그레이의 음영이 더해져 있습니다.
백팩을 분리한 모습.
배색은 물론 MG라고 하는 것도 있어 미세한 곳까지 재현되어 있고
트윈 아이 등도 파츠 분할로 재현되어 있으므로 색분할을 보완하는 호일 씰도 없습니다.
머리 확대. SD라는 것으로 크기도 있어서 상대적으로 꽤 선명하게 보입니다.
뺨의 그레이 등도 두껍게 되지 않고 멋진 조형.
물론 피쿠스 기관포도 확실히 파츠 분할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트윈 아이이지만 클리어 파츠의 뒤에 실버의 파츠가 있어 빛을 반사해 한 층 더 세밀한 디테일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마스크의 슬릿은 개방되어 있습니다.
콕피트는 개폐 가능하지만 파일럿은 없습니다.
동체는 디테일이 많고 가슴 덕트의 슬릿 몰드 등도 세밀하게 재현되어 있습니다.
뒷면의 커넥터인데 이 쪽은 MG 프리덤 2.0계의 조인트와 동형으로
MG의 팩을 붙이거나 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어깨 아머인데 푸른 노즐과 붉은 커버가 연동하여 가동합니다.
또 전후의 장갑 플레이트도 열리도록 가동.
팔의 간섭을 줄일 수 있습니다.
팔인데 손목은 근본이 가동하는 타입입니다.
접합선도 나오지 않는 분할로 되어 있습니다.
또 팔꿈치 관절은 늘리는 것이 가능.
가동 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백팩의 노즐인데 아래쪽을 내리는 것으로 3mm 스탠드 구멍이 나옵니다.
윙은 하나로 정리된 실루엣에서 지금까지처럼 두 갈래로 나뉘어진 실루엣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윙의 클리어 파츠인데 리플렉션 컷이 채용되어 복잡하게 난반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윙 기부인데 인출하여 윙의 위치를 바깥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윙은 물론 하이맷 모드로 할 수 있지만 그 때 긴 날개를 더 꺼낼 수 있습니다.
바라에나는 하이맷 풀버스트에도 대응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와 같이 구부러지는 관절이 있는 것 외
새로이 회전 축이 추가되어 위치 결정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바라에나의 접합선은 단락 몰드화되어 있습니다.
크시피어스는 중앙과 뒷부분이 연동하여 펼쳐집니다.
디테일도 늘어나 접합선은 단락 몰드화되고 붉은 부분도 개별 파츠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또한 라켈타 빔 사벨의 그립은 락이 있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고관절은 훈도시 부분의 락을 해제하는 것으로 스윙 가능.
또한 아머 뒷면도 뒷받침이 있고 골다공증 같은 느낌은 일부 있지만 충분한 밀도감입니다.
물론 허리에 라이플을 장착 가능.
다리는 SD 치고는 길고 무릎 장갑 등은 일부 실버의 파츠가 보이게 되어 있습니다.
허벅지 부분은 슬라이드 무릎 장갑도 분할되어 움직임에 연동합니다.
무릎을 구부릴 때 종아리의 슬러스터가 끌어들이도록 연동하여 움직임의 간섭을 피하는 구조입니다.
발바닥은 골다공증이 없고 발끝도 세밀하게 움직입니다.
가동 범위인데 SD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잘 움직이고 통상의 최신 건프라와 변함없는 정도로 움직임을 더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는 꺼내는 것으로 깊게 구부러지고 어깨의 스윙이나 세워 올리기도 충분하고.
동체는 끌어내는 것으로 크게 스윙 가능.
매우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하반신도 발끝이나 발뒤꿈치가 따로 회전 가능하고 접지도 발군이고
고관절 스윙등의 덕분에 무릎 세우기도 가능.
MG 특유의 정교한 가동 기믹은 움직이고 있어 즐겁습니다.
SDCS의 프리덤 (키트 데포의 SD 프레임)과 비교.
색분할의 재현도가 올라가고 디테일 등도 늘어나고 사이즈도 대형화되어 있으므로 그야말로 HG와 MG 같은 느낌입니다.
무기를 장비시키고.
루프스 빔 라이플도 접합선은 단락 몰드화되고 포어 그립이 가동.
가동손인데 유지 다보가 있으므로 후두둑하는 일은 없습니다.
라이플의 센서는 클리어 파츠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실드의 구멍에 총구를 통과시킬 수도 있습니다.
윙을 전개하여 하이맷 모드로.
현재로서는 무게로 허리가 멋대로 젖혀지는 일은 없지만 락 등은 없기 때문에 조만간 보강이 필요하게 되는 일이 있을지도.
다만 스탠드 구멍은 등에 있기 때문에 띄우게 한다면 별로 신경 쓰이지 않는 느낌은 듭니다.
물론 라이플은 양손잡이도 가능합니다.
윙은 확대되는 기믹이 있고 꽤 크게 조형되어 있으므로 박력은 충분.
작게 보이는 일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빔 실드는 전완의 조인트와 그립이 가동.
이 쪽도 제대로 색분할되어 있었습니다.
조인트의 자유도는 높고 스윙도 가능합니다.
크시피어스 레일포를 전개.
그립은 교체없이 전개할 수 있습니다.
라켈타 빔 사벨의 칼날은 HG 등에 자주 부속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립에는 앵커가 있어 이 쪽도 확실히 고정 가능.
그것과 프리덤계의 입체물은 아무래도 허리의 사벨 그립이 움직이고 있으면 떨어지기 쉬운 경우가 많지만
이 쪽은 그러한 일이 없고 매우 놀기 쉽습니다.
물론 그립은 교체없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
바라에나 플라즈마 수렴 빔포도 전개해 풀 버스트
역시 안테나가 간섭하기 쉬우므로 샤프화하는 분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이맷 풀 버스트.
SD에서도 박력있는 하이맷 풀 버스트가 재현 가능합니다.
윙의 확대 기믹도 딸깍하는 락이 있어 멋대로 줄어드는 일은 없습니다.
MG 프리덤 Ver.2.0용의 이펙트도 붙을까 하고 생각했는데
라이플은 문제없지만, 바라에나나 크시피어스는 형상이 맞지 않습니다.
사진은 억지로 끼워 고정하고 있는 것 뿐으로 그대로라면 툭하고 떨어지거나 분해되거나 합니다.
마지막으로 HGCE 프리덤이나 MG 프리덤 Ver.2.0과 크기 비교.
신장이나 윙의 볼륨은 HGCE 정도로 SD로서는 꽤 큽니다.
이상 MGSD 프리덤 건담 리뷰였습니다.
브랜드명대로 MG의 구조를 그대로 SD 건담의 두신에 반영시킨 구조로
프레임이나 장갑의 연동 기믹과 각종 전개 기믹이 세밀하게 만들어져 SD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만큼 잘 움직이고 포즈를 더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물론 색분할 등도 완벽하고 어깨나 크시피어스의 연동 기믹도 수수하면서 움직이고 있으면 즐거운 부분입니다.
물론 SD에서는 크기가 있기 때문에 눈에 띄는 머리도 세밀하게 만들어져 특히 눈의 내부 디테일도 볼 수 있고
윙의 리플렉션 컷이 채용된 클리어 파츠 등 새로운 곳도 많아 조립하는 것도 장식하는 것도 즐거운 키트로 되어 있습니다.
(IP보기클릭)118.235.***.***
그럼 연장 안한 채로 전시하면 되는거 아니에요?
(IP보기클릭)1.251.***.***
애니에서도 재현된적 있는 기믹이라고 합니다.
(IP보기클릭)14.52.***.***
햐 이걸 SD등급에...진짜 변태들이야ㄷㄷ 이번 앙케이트한 제품 다음에는 스프덤 나와줬으면 좋겠다 MGEX랑 같이 놓게
(IP보기클릭)49.164.***.***
방패 구멍이 총열 끼우라고 있는거였구나.... 첨알았
(IP보기클릭)58.226.***.***
MGSD 덴드로비움, 미티어, 크샤트리아, 사이코 건담 mk-2 등 나올 만한 좋은 대형 킷들이 많네요 ㅎㅎㅎ 그리고 계속 잘 되어서 건담 쪽 뿐만 아니라 슈퍼로봇대전에 나오는 다른 기체들도 이쪽 라인에서 나올 수 있기를. 슈로대 스타일로 전시하기에 딱 좋은 제품라인임 ㅎㅎ
(IP보기클릭)58.124.***.***
(IP보기클릭)1.228.***.***
생각할수록기가막힌
MG일 겁니다. 호환되는게 이쁘긴 한데.. 따로 구해보자니 이펙트 가격이 생각보다 세군요. | 23.01.20 23:52 | | |
(IP보기클릭)219.254.***.***
(IP보기클릭)121.153.***.***
(IP보기클릭)121.129.***.***
(IP보기클릭)218.148.***.***
(IP보기클릭)118.235.***.***
혁돌君
그럼 연장 안한 채로 전시하면 되는거 아니에요? | 23.01.21 01:18 | | |
(IP보기클릭)49.164.***.***
방패 구멍이 총열 끼우라고 있는거였구나.... 첨알았
(IP보기클릭)1.251.***.***
해팡
애니에서도 재현된적 있는 기믹이라고 합니다. | 23.01.21 08:23 | | |
(IP보기클릭)223.62.***.***
애니 봤는데도 몰랐네요 | 23.01.21 11:58 | | |
(IP보기클릭)121.133.***.***
(IP보기클릭)61.82.***.***
(IP보기클릭)14.52.***.***
햐 이걸 SD등급에...진짜 변태들이야ㄷㄷ 이번 앙케이트한 제품 다음에는 스프덤 나와줬으면 좋겠다 MGEX랑 같이 놓게
(IP보기클릭)218.159.***.***
(IP보기클릭)59.15.***.***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4.46.***.***
(IP보기클릭)14.46.***.***
루리웹-6707399725
시드가 중화권에서 인기많으니 돈이달달할수밖에요 ㅎㅎ 1:1사이즈도 상하이에서 올라탈정도면 반다이 입장에선 효자아이템이기도하죠? 어차피 MGEX는 첫유닛이니까 분명히 하자점은 나올순있겠지만야 여태까지 해왔던 반다이 행보를보면 건프라 라인업들이 뭔가하나같이 나사빠지거나 2%부족한느낌이강했는데말이죠. 상상의 자유겠지만야 저렇게 특정국가 관련해서 대놓고 밀어줄정도면 돈 의힘은 무시못한다는말을 하고싶습니다. | 23.01.21 13:18 | | |
(IP보기클릭)221.154.***.***
거 우리나라 건베에 프리덤 벌룬 띄운건 우리가 중국 속국이라 띄운건가? | 23.01.21 14:46 | | |
(IP보기클릭)182.227.***.***
어이가 어처구니와 함께 안드로메다로 빠지겠네요. 비우주세기 통틀어서 매출 가장 좋은게 시드입니다. 다시 말해서 MGSD 프리덤은 중국 돈 먹고 나온게 아니라는 겁니다. | 23.01.21 15:40 | | |
(IP보기클릭)211.105.***.***
MG 날개 붙이니 위험한데요 이런 걸 알아버리면 실 제품 만들고 나서 날개가 '작아...' 하고 느끼게 되는 ntr물 전개로 흐를 거 같은
(IP보기클릭)118.235.***.***
mg2.0 날개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디테일이 인상적이네요 2.0프리덤 mg중에 디테일 최상급인데... | 23.01.21 10:49 | | |
(IP보기클릭)58.226.***.***
MGSD 덴드로비움, 미티어, 크샤트리아, 사이코 건담 mk-2 등 나올 만한 좋은 대형 킷들이 많네요 ㅎㅎㅎ 그리고 계속 잘 되어서 건담 쪽 뿐만 아니라 슈퍼로봇대전에 나오는 다른 기체들도 이쪽 라인에서 나올 수 있기를. 슈로대 스타일로 전시하기에 딱 좋은 제품라인임 ㅎㅎ
(IP보기클릭)1.246.***.***
(IP보기클릭)122.37.***.***
(IP보기클릭)118.37.***.***
(IP보기클릭)124.105.***.***
(IP보기클릭)180.231.***.***
(IP보기클릭)104.28.***.***
(IP보기클릭)12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