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드래곤 라자 코믹스가 괴작이 된 이유.jpg [81]




profile_image (5105006)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49408 | 댓글수 81
글쓰기
|

댓글 | 81
1
 댓글


(IP보기클릭)124.63.***.***

BEST
코믹스판 출판사인 대명종의 간판작가는 김성모였다. 이미 여기서 운명은 정해졌다고 봐야...
21.04.09 09:28

(IP보기클릭)121.137.***.***

BEST
이영도 작품은 미디어믹스 운이 안좋은 것 같음.
21.04.09 09:21

(IP보기클릭)156.146.***.***

BEST
어릴 때 만화방에서 저거 읽고 만든 새기들 진짜 팔릴거라고 생각하고 그린거냐고 생각했는데
21.04.09 09:19

(IP보기클릭)211.230.***.***

BEST
아마 그 초반이 저 사람이 쓴 스토리인듯 ㅋㅋ
21.04.09 09:29

(IP보기클릭)124.63.***.***

BEST
이현세 아래에서 가장 유능한 문하생이라지만 사실 이현세도 만화방 대본소 체제에서나 대작가였지 만화잡지 전국시대가 열리고 드래곤볼이나 베르세르크 수입될때 자리없어서 신문연재하던 양반이지. 실제로 신문 만화연재가 인맥의 결정체라 신인작가는 안써줌.
21.04.09 09:34

(IP보기클릭)106.101.***.***

BEST
그림작가새끼 처절하게 ↗망했으면 좋겠다 오랜 비원이다
21.04.09 09:28

(IP보기클릭)1.230.***.***

BEST
운이 안좋은게 아니라 황금가지가 팔아먹고 신경 안 쓰는 거지. 그렇게 판 자금으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했다고 해명하는데 결국 돈 받고 팔았으니 거기에대해선 신경 안 쓰겠다는 거고 오로지 책만 중하고 다른 미디어는 낮잡아보는 태도가 그대로 드러나.
21.04.09 09:34

(IP보기클릭)211.177.***.***

BEST
이현세가 아니고 이현세 밑 문하생 출신. 무슨 부모도 아니고 문하생 성격 보고 스승 성격을 짐작하는 건 아니겠지
21.04.09 09:40

(IP보기클릭)223.39.***.***

BEST
처음부터 삐끗한거 같은데? 돈없는 출판사가 어거지로 판권사왔다는 도입부 부터 망인데 그런거 안가리고 돈주는대로 계약하면 저꼬라지
21.04.09 09:33

(IP보기클릭)118.46.***.***

BEST
제목과 등장인물의 이름이 같다는것 외에는 하나부터 열까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21.04.09 09:35

(IP보기클릭)14.4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롸벗트
천룡인 자제분이 그림을 그리시겠다는데 누가 막아 ㅋㅋ | 21.04.09 09:30 | | |

(IP보기클릭)124.63.***.***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롸벗트
이현세 아래에서 가장 유능한 문하생이라지만 사실 이현세도 만화방 대본소 체제에서나 대작가였지 만화잡지 전국시대가 열리고 드래곤볼이나 베르세르크 수입될때 자리없어서 신문연재하던 양반이지. 실제로 신문 만화연재가 인맥의 결정체라 신인작가는 안써줌. | 21.04.09 09:34 | | |

(IP보기클릭)39.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롸벗트
당시 7만원이면 ㄷㄷㄷ | 21.04.09 09:55 | | |

(IP보기클릭)110.15.***.***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롸벗트
의외로 일본스타일의 작풍이 도래하기 시작했던 시기의 아이큐점프에서도 김성모의 <마계대전>같은 작품이 인기를 얻었으니 작화야 그렇다쳐도.. 웬 양아치가 나오냐- 했더니 저게 운차이라고요? 아예 원작을 읽어보지 않은 것 같네요. 원작에 대한 존중이 없는데, 그걸 바탕으로 하는 작가의 오리지널리티가 제대로 나타날리 없죠. 에구 ㅜㅠ | 21.04.09 10:31 | | |

(IP보기클릭)223.62.***.***

드래곤 라자 만화판 캇셀프라임 ~ 이루릴 합류때까지는 초반은 딱 좋았음...
21.04.09 09:19

(IP보기클릭)211.230.***.***

BEST
환타포도맛
아마 그 초반이 저 사람이 쓴 스토리인듯 ㅋㅋ | 21.04.09 09:29 | | |

(IP보기클릭)223.62.***.***

콩은까야제맛
뭐..옛날 만화 작화니까 그런갑다 해도... 갑자기 눈깔을 파먹질않나 탑 메이지께서 요상한 마법을 쓰질않나... | 21.04.09 09:31 | | |

(IP보기클릭)156.146.***.***

BEST
어릴 때 만화방에서 저거 읽고 만든 새기들 진짜 팔릴거라고 생각하고 그린거냐고 생각했는데
21.04.09 09:19

(IP보기클릭)121.137.***.***

BEST
이영도 작품은 미디어믹스 운이 안좋은 것 같음.
21.04.09 09:21

(IP보기클릭)175.121.***.***

루리웹-5157188439
미디어믹스 운이 안좋다기 보다 만회좋아하던분이 만화가 박살나자 그 이후엔 '소설 아니면 내걸로 뭘하든 뭔문제랴' 라는 마인드가 되서 철저하게 손을 놓은게 문제라고 봐야 | 21.04.09 09:31 | | |

(IP보기클릭)223.39.***.***

BEST
루리웹-5157188439
처음부터 삐끗한거 같은데? 돈없는 출판사가 어거지로 판권사왔다는 도입부 부터 망인데 그런거 안가리고 돈주는대로 계약하면 저꼬라지 | 21.04.09 09:33 | | |

(IP보기클릭)1.230.***.***

BEST
루리웹-5157188439
운이 안좋은게 아니라 황금가지가 팔아먹고 신경 안 쓰는 거지. 그렇게 판 자금으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했다고 해명하는데 결국 돈 받고 팔았으니 거기에대해선 신경 안 쓰겠다는 거고 오로지 책만 중하고 다른 미디어는 낮잡아보는 태도가 그대로 드러나. | 21.04.09 09:34 | | |

(IP보기클릭)211.222.***.***

루리웹-5157188439
아냐...우리나라 미디어믹스 환경 자체가 ㅄ인데 운이고 뭐고 할게 있냐? | 21.04.09 09:37 | | |

(IP보기클릭)59.6.***.***

루리웹-5157188439
이영도 작품 중 가장 만족스러운 건 오디오북... 정말 슬픈 일임. | 21.04.09 10:37 | | |

(IP보기클릭)211.57.***.***

천! 벌!
21.04.09 09:27

(IP보기클릭)211.57.***.***

루리웹-1395089300
그림 그린 사람 뭐하나 찾아보니까 성인웹툰 그리고 있네 | 21.04.09 09:28 | | |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1395089300
소설에도 저 장면이 있음? | 21.04.09 09:29 | | |

(IP보기클릭)211.57.***.***

꼬르륵꾸르륵
난 드래곤라자 안봤는뎅 | 21.04.09 09:29 | | |

(IP보기클릭)218.156.***.***

꼬르륵꾸르륵
있겠어..? | 21.04.09 09:30 | | |

(IP보기클릭)118.46.***.***

BEST
꼬르륵꾸르륵
제목과 등장인물의 이름이 같다는것 외에는 하나부터 열까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 21.04.09 09:35 | | |

(IP보기클릭)117.111.***.***

꼬르륵꾸르륵
애초에 동양풍 암살자 컨셉 어니었나... | 21.04.09 09:35 | | |

(IP보기클릭)124.63.***.***

제정신입니까휴먼
학자 정령사 10서클마법사 에스터크 단검 숙련자 파이터 라이더를 모두 섞은 괴물임 | 21.04.09 09:41 | | |

(IP보기클릭)110.15.***.***

제정신입니까휴먼
이루릴은 뭐랄까, 냉철한 서양검객같은 스타일이죠. 레이피어로 몬스터 포를 뜰 수준의 실력과 감정에 동요되지 않는 냉정함. | 21.04.09 10:34 | | |

(IP보기클릭)112.151.***.***

요새 웹툰화 많이들 하던데 다시 했으면 좋겠다
21.04.09 09:28

(IP보기클릭)211.5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7624799716
스타크래프트는 김성모 사단 작품임 | 21.04.09 09:29 | | |

(IP보기클릭)223.6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1395089300

드라군 하나만을 남긴 전설의 작품 | 21.04.09 12:00 | | |

(IP보기클릭)124.63.***.***

BEST
코믹스판 출판사인 대명종의 간판작가는 김성모였다. 이미 여기서 운명은 정해졌다고 봐야...
21.04.09 09:28

(IP보기클릭)223.39.***.***

아빠안잔다
아니 ㅋㅋㅋ 이게 중요했네 왜 이런말이 본문에서빠졋냐ㅜㅋㅋ | 21.04.09 09:39 | | |

(IP보기클릭)220.71.***.***

아빠안잔다
근데 차라리 김성모가 그렸어도 저지경은 안됬을거 같은데. 대신 후치가 사시미들고 칼춤 췄을듯. | 21.04.09 09:46 | | |

(IP보기클릭)39.7.***.***

라쿤맨
김성모가 그렸으면 남깡여창의 세계관에 따라 여캐들 운명이 좋지 않았을듯;; | 21.04.09 09:54 | | |

(IP보기클릭)121.145.***.***

아빠안잔다
김성모가 잡았으면 다른의미로 명작이 나왔을거임. 그래도 그 양반은 의외로 고증에 철저하거든.... | 21.04.09 13:56 | | |

(IP보기클릭)106.245.***.***

아빠안잔다
대명종의 간판 작가는 또 용대운이었으며 군림천하였죠. (...) | 21.04.09 14:54 | | |

(IP보기클릭)106.101.***.***

BEST
그림작가새끼 처절하게 ↗망했으면 좋겠다 오랜 비원이다
21.04.09 09:28

(IP보기클릭)211.219.***.***

므네모시아
저거 그리고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던데. | 21.04.09 12:19 | | |

(IP보기클릭)39.7.***.***

그림부터가 ↗구린데;;
21.04.09 09:30

(IP보기클릭)223.39.***.***

만화판에 비하면 게임은 선녀였지
21.04.09 09:30

(IP보기클릭)223.39.***.***

Superton-
근데 애초부터 이현세 사단이면 일간지 삘은 벗어날수 없었던거같은데.. | 21.04.09 09:31 | | |

(IP보기클릭)110.15.***.***

Superton-
아예 그럴거면 이두호 화백 문화생을 데려와 <임꺽정>이나 <객주>스타일로 사상초유의 극화체 판타지를 그려내는 게 더 의미있었을 듯. | 21.04.09 10:38 | | |

(IP보기클릭)182.210.***.***

스토리 작가를 물로 봤다 이거지
21.04.09 09:31

(IP보기클릭)1.239.***.***

드래곤라자는 스타트만 잘했으면 라그나로크급 IP됬을텐데...
21.04.09 09:31

(IP보기클릭)118.235.***.***

진짜 원작만 잘 쫒아가면 되는데 그걸 못해서
21.04.09 09:32

(IP보기클릭)61.105.***.***

소설 유명하다는건 알았는데 만화로 보고 이딴 개똥이 유명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만화 자체를 말아 먹은거네
21.04.09 09:33

(IP보기클릭)110.15.***.***

루리웹-1922265914
던전앤드래곤 시스템을 무단으로 표절했느니 마니 해도 대중소설 중에서도 역사가 짧고 취급이 좋지 않던 판타지소설을 교과서에 실어버린 대단한 필력으로, 나름 의미있는 작품이죠. | 21.04.09 10:42 | | |

(IP보기클릭)121.140.***.***

소년 날다
사실 그 시절엔 IP와 저작에 관한 개념이 지금처럼 일반에게도 잘 알려진 개념이 아니다 보니까, 그냥 사극이 역사 참고 하듯이, 판타지라면 D&D룰을 따라가는 느낌이 좀 있었죠. | 21.04.09 11:39 | | |

(IP보기클릭)110.15.***.***

TYPE;Unknown
저작권이란 건 그 때도 중시(한창 우리나라에 대중소설의 붐이 일면서 다양한 소재의 책들이 쏟아지던 시기)했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그 안의 설정들, 특히 마법같은 경우는 원체 일반 rpg 게임에도 비슷한 마법들(예를 들어 파이어볼)이 많이 차용되다보니 순간적으로 '위저드 오브 더 코스트'의 지적재산권이라는 걸 망각했던 거 같아요. ^^ | 21.04.09 11:49 | | |

(IP보기클릭)106.245.***.***

루리웹-1922265914
그 시절에는 모든 것이 해적판으로 나돌던 시절입니다. TRPG북은 정발판이 거의 없었으며. 다들 자체적으로 번역해서 제본하는 것조차도 구하기 힘들었었죠. 잘했다는게 아니고. 그냥 뭘 모르던 시절이라고 보시는 게 맞습니다. | 21.04.09 14:55 | | |

(IP보기클릭)218.148.***.***

소년 날다
저작권 개념 희미했음. 그리고 뭐가 저작권에 접촉 되는지 개인이 알기에는 정보가 한없이 부족하던 시절임. | 24.03.17 04:56 | | |

(IP보기클릭)211.178.***.***

루리웹-4918600366
쌍팔년도 갑오경장 시대도 아니고, 저도 이영도 작가의 단순 실수라고 보지만, 그렇다고 그 시기가 게임의 불법복제라면 모를까, 문학에서의 저작권을 밥 말아먹던 시기는 아니었어요. 출판사들이 이런 것에 얼마나 민감한데요. 당장에 많은 소설책에 '카피라이트'가 박혀서 나오는 걸요. 그리고 책방(대여점)의 범람과 한국의 판타지 장르가 꽃피우려던 시기라서 많은 소설가가 등단했죠. 물론 어중이 떠중이 뜨내기도 있었지만, 정식 코스를 밟고 작품을 준비하다 이쪽 장르로 빠진 사람들도 있었어요. 이영도도 마찬가지였구요. '문창과' 출신의 제대로 된 글쟁이가 저작권의 개념이 몰랐을리가요. 당장 예술이나 창작계통 전공을 하면 배우는 기초개념(표절과 소송을 피하기 위한 기본)인데요. 그렇기에 D&D 룰북 안의 것들을 차용하는 것에 있어 그 하나하나가 전부 지적재산권 안에 포함된다는 걸 망각했다기 보다는 그 시작이 상업적 목적이 아니라 PC통신(인터넷도 아닌)에서의 개인적 습작 및 취미에 가까운 글이었기 때문에 그런 걸 개의치 않은 게 맞을 것 같아요. 즉 이게 엄청난 인기로 출판물이 될 줄은 몰랐던 것이죠. 물론 실수이든 아니든 이는 분명 <드래곤 라자>의 오점이 되었구요. 뭔가 지적하는 댓글처럼 되었는데 따지거나 공격하려던 건 아니고, 저작권을 인식하지 못할만큼 한국이 미개했던 시기는 아니었단 걸 말하고 싶었어요. 당장 그 시절 와레즈의 게임들을 명백히 '불법복제' 구분지었다는 건 그게 누군가의 재산권을 침해했다는 걸 인식하고 있었다는 반증이었겠죠. | 24.03.17 06:10 | | |

(IP보기클릭)218.148.***.***

소년 날다
한국이 아니라 당시대 아시아가 그랬음 오려 드래곤 라자가 D&D와의 저작권 문제가 생기니까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생긴거임. 판타지라는 장르자체 한국에서 이제 태동 하던 시기이고 대중적인 정보 교환은 모뎀을 통한 통신사 커뮤니티 정도가 전부였던 시대임. 당장 SNK정도 되는 회사가 오마쥬 패러디라는 뻔뻔함으로 에반게리온에서 이것저것 가져다 쓰던 시대였음. 국내 만화는 파이트 볼이라는 아주 대놓고 일본 격겜 케릭터 디자인 이름까지 그대로 가져다 쓰고 비홀더가 아 그게 D&D 고유 몬스터이고 그걸 가져다 쓰려면 허락을 받고 돈을 줘야 하는 거야? 다들 이러던 시대임. 그래서 어떤게 저작권에 걸린 용어인지 민감해 하던 시절이 저 시대임. | 24.03.17 06:21 | | |

(IP보기클릭)211.178.***.***

루리웹-4918600366
개개인의 문제가 일반적인 현상으로 읽히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야기를 한국에서 아시아 전체로 퍼트리셨는데, 이건 아시아가 저작권에 미개했던 게 아니라 일부러 무시했던 거였습니다. 문화라는 게 당장 수교를 맺었다고 들어오는 게 아니기에 원본을 전혀 접하지 못할 수도 있고, 때로는 비주류였기에 많은 사람이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그 맹점을 파고들어 그냥 무시하고 작품활동을 하던 사람들도 많았죠. 예를 들어 <파이트 볼>을 예로 드셨지만, 그 이전에 <배틀 하이랜더>가 있었고, 다시 그 이전에는 <거리의 무법자>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국 SF만화의 거장인 이태행의 <헤비메탈 식스>에는 터미네이터와 에일리언의 요소들을 넣었었죠. 이것들은 그들이 단지 무지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냥 뭉개고 넘어갔던 것이죠. 문제가 불거지기 전까지는 그냥 가는 것이었습니다. 왜냐면 당시 만화잡지는 월간지에서 격주간지로 넘어오면서 막 꽃피우려던 시기였기 때문이죠. 바로 90년대 초. 대원이 비디오시장에 뛰어들고 서울문화사와 경쟁을 하려던 시기였죠. <드래곤 라자>가 연재되던 97년과는 거리가 꽤 있습니다. <파이트 볼>을 예로 드셨지만, 이 작품이 특이한 것이지 그 당시에도 만화가들은 각자의 세계관을 그려내려 했죠. 그리고 <슈퍼로봇대전>시리즈가 말씀하신 아시아가 저작권에 무지했다는 증거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죠. 만약 글쓴이의 말대로라면 이미 용자물이 슈로대에 진작 등장하고도 남았을 겁니다. <드래곤 라자>가 한국 대중문학계에 큰 획을 그은 건 맞지만, 그 작품의 오점이 한국 문학계에 저작권의 개념을 불러일으킨 것은 아닙니다. 그 이전에도 이미 저작권은 대중가요의 표절사태 등으로 알려졌었고, 이에 민감한 사람들은 만화계에서 단지 화풍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비판(대표적인 게 만화가 이명진)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보다 훨씬 치열했던 게 그 당시 각 신문사의 신춘문예였습니다. '카피라이트'는 오래된 개념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적용되는 작품에는 항상 몇년도부터 어떤 것들이 적용되고 있다는 설명이 적혀있죠. 근데 그것을 차용하는 사람들이 몰랐다? 이는 말이 안 되는 것이죠. 당시를 살아왔던 한 사람으로 <드래곤 라자>가 연재되던 하이텔을 비롯해 다수의 PC통신에서 문화계 많은 장르의 비평(언니네 이발관도 여기서 만들어짐)이 이루어졌고, 그 속에 표절논쟁이 오갔던 것을 목격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작품의 표절시비를 짚어낸 것도 독자들이었던 하이텔 이용자들이었죠. 우리가 야만의 시대를 거쳐왔다고 해서 세상에 법도 없고 지식도 없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죠. 뭔가 해당작가에 대한 두둔이었는지, 혹은 말 그대로 시대에 대한 냉소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개개의 사건들이 시대 전체를 대변하는 건 아니라는 말이 하고 싶네요. | 24.03.17 07:42 | | |

(IP보기클릭)218.148.***.***

소년 날다
나디아 에반게리온 슬램덩크 바람의 검심 공각 기동대 이것들 전부 어케 설명 할 거임? 이거 전부 저작권 개 씹 무시하고 만든 작품들인데??? 이 작품들 그냥 전부 하나 하나 개개의 작품이라 볼거임? 그 시대 저작권 인식은 지금이랑 완전 다름. | 24.03.17 14:05 | | |

(IP보기클릭)211.178.***.***

루리웹-4918600366
계속되는 논조가 완전히 낙인을 찍어버리고 말씀을 하고 계셔서 다른 설명을 더한다고 해도 여전히 글쓴이의 머리 속에서는 '그 시절 꼰대들은 미개인'이라는 생각을 가시게 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그 작품들(대표적으로 슬램덩크)은 모두 비판의 도마 위에서 작품의 명암을 따졌던 대상들입니다. 이는 잘못을 잘못이라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 아니라는 반증이죠. 당장에 거론한 다수의 작품들이 연재지인 점프에도 슈에이사의 카피라이트가 박혀서 매주 출간이 되고 있었습니다. 시대 자체를 라이센스 따위는 무시하고 짝퉁을 만들어파는 남대문 시장 취급을 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그냥 이익을 위해 그런 사람들도 있었던 것이지요. 시대(의 감각 그리고 정신)를 그렇게 엮어버리면 당시 창작물에 대해 어떠한 말도 할 수 없게 됩니다. 김청기 감독의 무수한 카피 디자인들을 다 인정해야 하죠. 하지만 이미 그 작품과 디자인들은 우리가 언급하는 그 시절에도 논란의 중심에서 많은 애니메이터와 만화가들이 비판을 하고 있었죠. 몰랐다, 인식이 달랐다 등의 이야기로 잘못을 피해갈 수는 없는 것입니다. 만약 말씀하신대로라면 반대로 저작권을 지켜서 창작되거나 출시된 작품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을 하실 건가요. 당시에도 미디어 믹스는 존재했고, 유명한 작품이 나오면 곧바로 다른 분야에서 관련 작품이 나왔습니다. 그들은 결코 멍청하게 돈을 가져다 바다에 버리는 사람들이 아니었습니다. 그게 옳은 것이었고, 모두 알고 있었던 것이죠. 앞서 밝혔듯 저 스스로가 이 작가의 팬이라고 해서 이영도 작가의 아마추얼리즘에서 비롯된 실수를 덮기 위해 시대 자체를 매도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정말 그렇다면 특정분야에서 룰라가 잠정은퇴를 하고, 김민종이 TV만 주력하는 일도 없었을 겁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작권'에 대해 조치를 취한 것은 이미 1950년대이며 그 개념이 들어선 것은 그 이전이라고 봐야겠죠. 우리나라도 많은 출판물들이 그에 따라 출간되던 시기였습니다. 저작권은 하나의 체계 속에 자리잡은 것이기에 그에 대한 인식은 전혀 달라질 수 없는 부분입니다. 단지 그것을 개인적 목적과 욕심에 의해 무시해버리는 것이지. 지금과 차이가 난다고 느껴지는 것은 그저 법적 장치가 강화되어서 더 두드러지게 느껴지는 것이지, 말씀하시는 것처럼 한국이 그리고 아시아가 해적국가들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당시 연세가 어찌되셨는지 모르지만, <드래곤 라자>가 연재되던 97년 많은 꼬맹이들이 게임을 카피하면서도 스스로 이것은 불법이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청계천과 세운상가의 아저씨들에게 해적판 애니메이션을 구입하면서도 그게 잘못되었다는 걸 알았죠. 늘 단속을 했으니까요. 이렇게 애들도 알았던 것을 어른들이 그것도 창작의 중심에 놓여진 이들이 몰랐다고 우길 수는 없다고 봅니다. 결코 1997년은 호랑이 담배먹던 시절이나 조선시대가 아니었습니다. | 24.03.17 16:10 | | |

(IP보기클릭)118.235.***.***

이현세면 그당시 네임드급 아닌가? 근데 인성이 개차반이었네 검색해보니 지금은 세종대교수네
21.04.09 09:34

(IP보기클릭)1.223.***.***

배추잎3개
젊은 작가들이 기성세대작가들 싫어한다는 소리가 있었는데 괜히 나온 말이 아닌듯 | 21.04.09 09:36 | | |

(IP보기클릭)211.177.***.***

BEST
배추잎3개
이현세가 아니고 이현세 밑 문하생 출신. 무슨 부모도 아니고 문하생 성격 보고 스승 성격을 짐작하는 건 아니겠지 | 21.04.09 09:40 | | |

(IP보기클릭)14.35.***.***

배추잎3개
이현세 작가가 사고친건아니고 문하생이 사고친거지 배분이 다른건 이현세 작가의 인세면 일반사람들하곤 다를꺼라 인세의 10~11퍼센트가 상당한거라 그렇게한거아닌가 추측해봄[저당시엔 수많은 만화 나오던터라 이현세의 네임밸류만으로 일단 팔리던게 상당한 시기라...] | 21.04.09 09:40 | | |

(IP보기클릭)175.124.***.***

루리웹-2813368531
이현세 탓은 아니지만 문하생이란 이름으로 어시들 착취하던게 시대가 변하면서 저렇게 터진거지. 스토리 작가 많이 컸네 이게 동업자한테 할소리냐 ㅋㅋ | 21.04.09 10:26 | | |

(IP보기클릭)110.15.***.***

구라티컬히트
일본에서는 반대이죠. 오히려 스토리작가에 몫이 더 큰 걸로 알고 있는데, 그 분야가 늦게 태동하다보니.. 저런 수모를 다 겪었네요. | 21.04.09 10:45 | | |

(IP보기클릭)106.245.***.***

배추잎3개
이현세 같은 네임드의 11~12%라면... 할만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21.04.09 14:56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12.161.***.***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planapama
양경일이 작화는 쩔지... 작화만...ㅋ 그리고 일본 넘어가면서 아일랜드랑 좀비헌터까지 보여주면 개성넘치는 그로테스크함을 어딜가고 일뽕넘치는 그냥 그림잘그리는 작가로 변한게 참 안타까움 | 21.04.09 10:02 | | |

(IP보기클릭)110.15.***.***

루리웹-4497343029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그냥 <소먀신화전기>정도만 해줘도 원작이 탄탄하니 멋진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요? | 21.04.09 10:46 | | |

(IP보기클릭)14.6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planapama
양경일 양영순 이 두 양씨들은 그림은 참 잘그리는데 맨 작품이 결말 깔끔하지 못하고 대충 싸질러놓고 튐 | 21.04.09 11:30 | | |

(IP보기클릭)58.228.***.***

눈마새 피마새는 애니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어 ㅈㄹ 재밌을 것 같은데
21.04.09 09:38

(IP보기클릭)1.227.***.***

아이쭈쿠림
내 꿈중 하나임 | 21.04.09 09:45 | | |

(IP보기클릭)220.84.***.***

눈마새 오디오북 진짜 재밌었는데
21.04.09 09:43

(IP보기클릭)121.155.***.***

저 매드맥스 운차이는 여러번 봐서 알겠는데 막짤은 대체 누구냨ㅋㅋㅋㅋㅋㅋㅋ
21.04.09 09:51

(IP보기클릭)211.36.***.***

고품격유머 전문가
놀라지마라. 길시언임. | 21.04.09 09:55 | | |

(IP보기클릭)125.188.***.***

고품격유머 전문가
무려 길시언 바이서스ㅋ | 21.04.09 09:56 | | |

(IP보기클릭)118.235.***.***

icicle017
엌ㅋㅋㅋㅋㅋ | 21.04.09 10:11 | | |

(IP보기클릭)211.60.***.***

원작자가 만화스토리텔링에 자질 있으면, 직접 만화콘티 짜서 그림작가 구하는 게 더 확실할듯.
21.04.09 09:51

(IP보기클릭)211.196.***.***

저딴게 S급이냐 싶겠지만 저게 이현세네 특유의 극화 만화체다.
21.04.09 09:57

(IP보기클릭)223.39.***.***

드래곤 라자, 라디오도 괴작이었음.
21.04.09 10:04

(IP보기클릭)59.25.***.***

몰랐나 보지?
21.04.09 10:13

(IP보기클릭)106.248.***.***

글쎄 초반부도 별로였는데...
21.04.09 10:14

(IP보기클릭)125.132.***.***

동네 만화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산형 만화 그림체 같냐....
21.04.09 10:16

(IP보기클릭)211.196.***.***

과거 출판계는 메인 이름 걸고 하는 경우가 많아서 내가 아는 분은 무협지 작가였는데 좀 이름있는 야설록 이름 붙여서 출판하고 막상 본인은 이름도 저자에 안 실림 이러지 않음 책이 안 팔리니까 이런게 당시에는 비일비재 했음
21.04.09 10:25

(IP보기클릭)106.245.***.***

헤르온
음... 2000년대 이전에 데뷔하신 분인가 보군요. 구무협에는 그런 일이 많았습니다. | 21.04.09 14:58 | | |

(IP보기클릭)223.135.***.***

저 시대에 저걸 그리고 페이지 7만원을 쳐 받았다고? 제정신인가?
21.04.09 10:37

(IP보기클릭)182.227.***.***


드래곤라자 온라인 일러스트는 좋았는데 게임은 입대영장 받은 상태라 별로 못해봤지만..
21.04.09 10:45

(IP보기클릭)211.209.***.***

판타지소설 장르 전체가 대여소용 저질 문화 취급 받던 시절이라 (사실 지금도 완전히 아니라고는 못하고) 원작자 출판사 독자들이 그렇게 생각 안해도 판권 사가는 측에서는 그렇게 소비되는 경우가 많았고 대부분 그렇게 됐다고 봐야.. 그런 시절이니 판권 파는 입장에서도 간섭하기가 더 어려운 시스템이었겠지...
21.04.09 10:46

(IP보기클릭)106.245.***.***


저분은 아프나이델입니다.
21.04.09 14:52


1
 댓글





읽을거리
[게임툰] 완전 게 같은 게임이네... 어나더 크랩스 트레저 (28)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58)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4)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7)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3)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9)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2)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57)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6)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50 전체공지 루리웹 공동대표 진인환 입니다. 8[RULIWEB] 2024.06.21
53999998 유머 그냥남자사람 194 286991 2021.09.24
53999994 유머 그을음 62 81627 2021.09.24
53999993 유머 허무주의 234 206835 2021.09.24
53999992 잡담 되팔렘꼴통절단기 26 63336 2021.09.24
53999991 잡담 S.A.T.8 8 14363 2021.09.24
53999986 유머 핵인싸 949 441539 2021.09.24
53999985 잡담 별빛 단풍잎 5 18271 2021.09.24
53999984 애니/만화 찐쿠아 21 31690 2021.09.24
53999983 유머 Jade_2 44 200912 2021.09.24
53999982 유머 닭도리탕 비싸 27 65941 2021.09.24
53999980 애니/만화 유우타군 23 70418 2021.09.24
53999979 잡담 가챠하느라밥이없어 3 6536 2021.09.24
53999978 잡담 니미핸드릭스 30 42662 2021.09.24
53999977 잡담 길가에e름없는꽃 2 9566 2021.09.24
53999974 잡담 루리웹-2122312666 153 77121 2021.09.24
53999973 잡담 긴박락 4 10090 2021.09.24
53999972 잡담 타카가키 카에데 15 23189 2021.09.24
53999970 잡담 꼬르륵꾸르륵 3 15893 2021.09.24
53999969 잡담 등대지기 공대생 10502 2021.09.24
53999966 잡담 no.777 6 15595 2021.09.24
53999964 잡담 루리웹-7309663092 74 71658 2021.09.24
53999963 유머 이사령 17 22851 2021.09.24
53999962 유머 달걀조아 4 8369 2021.09.24
53999960 감동 3 6701 2021.09.24
53999959 잡담 MK.II 7 13913 2021.09.24
53999957 잡담 고수달. 3 13438 2021.09.24
53999956 잡담 『EDEN』 4 5906 2021.09.24
53999955 유머 Julia Chang 88 43438 2021.09.24
글쓰기 5102688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