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경제] 문재인 정부 때 소득 양극화 최악? [16]




profile_image (4698188)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2602 | 댓글수 16
글쓰기
|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39.7.***.***

BEST
통계청장이 잘린 건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를 작성했기 때문이 아닌데? 서로 다른 특성의 표본을 기반으로 한 2017년, 2018년 결과를 단순비교하도록 통계를 내놓으면 어떻게 하라는 거지? 물론 "단순비교하지 마십시오. 표본 보정을 해서 봐야 됩니다."라고 주의 문구를 써놨다지만, 주의 문구를 쓰기 전에 통계청에서 자체적으로 보정된 결과를 내놓았어야지. 석사 대학원생 논문도 그런 식으로는 안 쓴다.
19.02.21 14:39

(IP보기클릭)39.7.***.***

BEST
김동연 경제부총리 말을 일부만 잘라서 말하지 말자. 통계가 완전히 오류라는 식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한 거지. 원래 발언 갖고왔으니 확인해 봐. “표본이 확대되면서 어르신이 많이 포함된 것이 영향을 미친 요소가 있다”라며 “억울한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겸허하게 생각하면서 종합적으로 여러 대책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8271403001#csidx5777a85f83d5c4699ccdb4d194fc27e
19.02.21 14:54

(IP보기클릭)39.7.***.***

BEST
니가 쓴 아래 댓글 내용은 내가 이미 본문에서 문제 있는 해석이라고 말했던 건데 반복은 하지 말자. “지난해 4분기 하위 20% 근로소득 36.8%↓…통계 작성 후 최대 낙폭 상위 20% 근로소득 증가율 4분기 연속 10% 상회 4분기 기준 5분위 배율 2003년 이후 최고치”
19.02.21 18:29

(IP보기클릭)39.7.***.***

BEST
친노 친문 이름 파는 것에 당한 게 한두번이 아닌데 그냥 친노 그러면 다 믿어줘야 되는 건가? 그건 아니잖음?
19.02.21 14:56

(IP보기클릭)39.7.***.***

BEST
가구수 통계율이라니? 가구수 증가율이겠지. 아무 말이나 막 주워섬기는 거 보니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르나보네. 내가 링크한 기사를 봤으면 네가 15:11에 쓴 댓글 같은 주장은 안 했을 거다. 난 인구증가율 대비 가구 수 증가율이 훨씬 크고, 늘어난 가구(8.9%↑)의 상당 부분이 1분위에 속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넌 가구 수 증가율이 8.9%라 10퍼센트, 20퍼센트가 안 돼서 별 상관 없다는 소리를 하네. 그게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니? -------------------- 2018년 조사의 모집단인 2015년 한국 사회의 가구 구성은 2017년 조사의 모집단인 2010년 한국의 가구 구성과 크게 다르다. 한국 사회는 가구의 소가족화 및 분화에 따라 가구 증가율이 인구 증가율을 초과하는 현상이 계속되어왔다(<그림 1> 참조). 2010~2015년 사이 인구는 4971만에서 5107만으로 2.7% 증가한 반면, 가구 수는 1796만에서 1956만으로 8.9%(160만 가구)나 증가했다. -------------------- 내가 링크해놓은 시사인 기사를 보면 그 늘어난 가구수의 상당 부분이 저소득층이라 1분위(하위 20%)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있음. 그럼 저소득층 소득 통계가 안 좋게 나오는 건 불보듯 뻔한 일. 기사 하나 제대로 안 읽어보면서 모든 걸 감안했다는 거짓말은 하지 말자. 거기다가 사회적 현물이전소득도 생각 안 하고 있잖아? 그리고 상용직이 더 많이 증가하고 임시직이 감소하는 게 나쁜 일인가? 저소득층에게는 좀 안 좋은 소식일 수야 있겠지만 전체 경제 면에서는 좋은 일인데. 또 그 점을 반영하여 작년 여름에 2019년 예산 중 저소득층을 위한 근로장려금 예산을 크게 늘렸던 것도 기억해줘야지. 임시직 17만~18만, 그거 퍼센테이지로 따지면 30대, 40대, 50대 각 연령별로 0.3, 0.5, 0.7% 수준일텐데? 8.9%가 별 거 아니라는 사람이 0.3~0.7%는 왜 이리 크게 봐?
19.02.22 13:37

(IP보기클릭)219.250.***.***

BEST
조용필 오르가즘 추신수
19.02.19 22:35

(IP보기클릭)223.38.***.***

좋아 이런거 아주 좋아 잘쓸게~
19.02.19 22:24

(IP보기클릭)219.250.***.***

BEST
조용필 오르가즘 추신수
19.02.19 22:35

(IP보기클릭)175.223.***.***

와드 설치
19.02.19 23:37

(IP보기클릭)121.157.***.***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를 작성했다는 이유로 짤린 전 통계청장(친노 계열 노동쪽 인물입니다)과, 문재인 정권 첫번째 경제부총리도 이 통계가 잘못되었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 분들도 모두 적폐인 걸까요? ㅎㅎㅎ
19.02.21 14:30

(IP보기클릭)39.7.***.***

BEST 하울링스펠
통계청장이 잘린 건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를 작성했기 때문이 아닌데? 서로 다른 특성의 표본을 기반으로 한 2017년, 2018년 결과를 단순비교하도록 통계를 내놓으면 어떻게 하라는 거지? 물론 "단순비교하지 마십시오. 표본 보정을 해서 봐야 됩니다."라고 주의 문구를 써놨다지만, 주의 문구를 쓰기 전에 통계청에서 자체적으로 보정된 결과를 내놓았어야지. 석사 대학원생 논문도 그런 식으로는 안 쓴다. | 19.02.21 14:39 | | |

(IP보기클릭)39.7.***.***

BEST 하울링스펠
김동연 경제부총리 말을 일부만 잘라서 말하지 말자. 통계가 완전히 오류라는 식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한 거지. 원래 발언 갖고왔으니 확인해 봐. “표본이 확대되면서 어르신이 많이 포함된 것이 영향을 미친 요소가 있다”라며 “억울한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겸허하게 생각하면서 종합적으로 여러 대책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8271403001#csidx5777a85f83d5c4699ccdb4d194fc27e | 19.02.21 14:54 | | |

(IP보기클릭)39.7.***.***

BEST 하울링스펠
친노 친문 이름 파는 것에 당한 게 한두번이 아닌데 그냥 친노 그러면 다 믿어줘야 되는 건가? 그건 아니잖음? | 19.02.21 14:56 | | |

(IP보기클릭)121.157.***.***

하울링스펠
그리고 2017 2010년가구수통계와 2018 2015가구수통계률 차이는 약 8.9퍼입니다 10퍼 차이도 아니고 20퍼 차이는 더욱 아니죠 모든걸 감안해도 역대 양극화 소득차이는 변화없습니다 ^^ 지난해 4분기 하위 20% 근로소득 36.8%↓…통계 작성 후 최대 낙폭 상위 20% 근로소득 증가율 4분기 연속 10% 상회 4분기 기준 5분위 배율 2003년 이후 최고치 | 19.02.21 15:11 | | |

(IP보기클릭)121.157.***.***

F6F Hellcat
더하여 저소득층의 소득 감소는 단순노무직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최근 고용동향에서도 나타났듯이 지난해 4분기 상용직은 34만2000명 증가한 반면, 임시직은 17만명 감소했다"면서 "취약한 일자리, 한계 일자리 중심으로 고용시장이 악화된 부분이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19.02.21 15:19 | | |

(IP보기클릭)39.7.***.***

BEST 하울링스펠
니가 쓴 아래 댓글 내용은 내가 이미 본문에서 문제 있는 해석이라고 말했던 건데 반복은 하지 말자. “지난해 4분기 하위 20% 근로소득 36.8%↓…통계 작성 후 최대 낙폭 상위 20% 근로소득 증가율 4분기 연속 10% 상회 4분기 기준 5분위 배율 2003년 이후 최고치” | 19.02.21 18:29 | | |

(IP보기클릭)39.7.***.***

BEST 하울링스펠
가구수 통계율이라니? 가구수 증가율이겠지. 아무 말이나 막 주워섬기는 거 보니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르나보네. 내가 링크한 기사를 봤으면 네가 15:11에 쓴 댓글 같은 주장은 안 했을 거다. 난 인구증가율 대비 가구 수 증가율이 훨씬 크고, 늘어난 가구(8.9%↑)의 상당 부분이 1분위에 속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넌 가구 수 증가율이 8.9%라 10퍼센트, 20퍼센트가 안 돼서 별 상관 없다는 소리를 하네. 그게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니? -------------------- 2018년 조사의 모집단인 2015년 한국 사회의 가구 구성은 2017년 조사의 모집단인 2010년 한국의 가구 구성과 크게 다르다. 한국 사회는 가구의 소가족화 및 분화에 따라 가구 증가율이 인구 증가율을 초과하는 현상이 계속되어왔다(<그림 1> 참조). 2010~2015년 사이 인구는 4971만에서 5107만으로 2.7% 증가한 반면, 가구 수는 1796만에서 1956만으로 8.9%(160만 가구)나 증가했다. -------------------- 내가 링크해놓은 시사인 기사를 보면 그 늘어난 가구수의 상당 부분이 저소득층이라 1분위(하위 20%)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있음. 그럼 저소득층 소득 통계가 안 좋게 나오는 건 불보듯 뻔한 일. 기사 하나 제대로 안 읽어보면서 모든 걸 감안했다는 거짓말은 하지 말자. 거기다가 사회적 현물이전소득도 생각 안 하고 있잖아? 그리고 상용직이 더 많이 증가하고 임시직이 감소하는 게 나쁜 일인가? 저소득층에게는 좀 안 좋은 소식일 수야 있겠지만 전체 경제 면에서는 좋은 일인데. 또 그 점을 반영하여 작년 여름에 2019년 예산 중 저소득층을 위한 근로장려금 예산을 크게 늘렸던 것도 기억해줘야지. 임시직 17만~18만, 그거 퍼센테이지로 따지면 30대, 40대, 50대 각 연령별로 0.3, 0.5, 0.7% 수준일텐데? 8.9%가 별 거 아니라는 사람이 0.3~0.7%는 왜 이리 크게 봐? | 19.02.22 13:37 | | |

(IP보기클릭)223.38.***.***

와드 - 통계청장 관련해서 문재인 정부 트집잡는 작자들에게 보여줄 만한 자료
23.11.04 03:23

(IP보기클릭)220.76.***.***

Eisen Flügel
안녕하세요. 알림이 떠서 와봤습니다. 추가로 한 가지 사례 더 소개합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경제로 매우 크게 부당하게 공격받았던 것 중 하나가 2019년 1분기 전기대비 경제성장률(-0.3%.. -0.34%에서 반올림) 보도인데요. 5년마다 통계 기준연도가 바뀌기 때문에, 2019년 6월 초에 2015년를 기준으로 통계를 다시 산출했고 그 결과 2019년 1분기 성장률은 -0.4%로 조정되었습니다. (-0.37%에서 반올림) 정말 문재인 정부가 통계를 조작할 의도가 있었다면, 1분기 성장률이 더 안 좋게 나오도록 하지는 않았겠지요.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8/read/32982676 글의 1번 항목 & 기타 1번 항목 참고 | 23.11.04 03:35 | | |

(IP보기클릭)223.38.***.***

F6F Hellcat
감사합니다 선생님!! | 23.11.04 03:35 | | |

(IP보기클릭)220.76.***.***

Eisen Flügel
그냥 말 편하게 하세요 여기 그냥 다 편하게 노는 곳인데 ㅎ | 23.11.04 04:09 | | |

(IP보기클릭)223.38.***.***

F6F Hellcat
항상 고마워! | 23.11.04 04:47 | | |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47)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0)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86)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1)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2)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0)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31206849 공지 정치 유머게시판 통합 공지 - 추가 (2020.03.22) _[RULIWEB] 90 5210924 2017.05.12
31150611 정치 루리웹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명왕' 문재인입니다. (2360) 레알명왕 8367 10281281 2017.05.04
BEST 세계 최초 오나홀 이름 쓰일 공항 (11) 순대볶음교회 56 5724 01:17
BEST "폐지하면 조국당 간다"…'종부세 진화' 나선 민주당 (12) 간헐적단식 62 5990 2024.06.12
37407150 유머 이낙연 63 07:46
37407149 잡담 마고3500 3 93 07:41
37407148 잡담 Baby Yoda 2 40 07:39
37407147 잡담 프로메탈러 MK.4 34 07:39
37407146 국제 도다리님 36 1388 07:28
37407145 역사 per sona 37 07:28
37407144 정치 도다리님 31 925 07:22
37407143 잡담 마고3500 4 98 07:21
37407142 잡담 Emoji 30 07:21
37407141 잡담 Baby Yoda 4 111 07:20
37407140 잡담 마리오짝퉁 67 07:18
37407139 잡담 왕꼬추 8 228 07:16
37407138 국제 세노테 4 252 07:15
37407137 잡담 왕꼬추 3 153 07:08
37407136 잡담 왕꼬추 4 254 07:03
37407135 잡담 Baby Yoda 6 126 07:00
37407134 잡담 Emoji 4 121 06:59
37407133 잡담 가지야123 10 416 06:57
37407132 잡담 가지야123 12 214 06:50
37407131 잡담 이낙연 1 144 06:46
37407130 잡담 🎗술마시고운전하는사람🎗 9 412 06:41
37407129 잡담 M134게틀링포 30 06:38
37407128 국제 K55 3 309 06:37
37407127 잡담 Emoji 62 06:32
37407126 잡담 가지야123 9 243 06:29
37407125 잡담 프로메탈러 MK.4 4 232 06:28
37407124 잡담 선지자 손웅정 3 102 06:26
37407123 잡담 리건공작클로드 3 119 06:25
글쓰기 5081012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게시판 관리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