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c288\uce74","rank":10},{"keyword":"\ud2b8\ub9ad\uceec","rank":-1},{"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b514\uc9c0\ubaac","rank":-1},{"keyword":"\ub9bc\ubc84\uc2a4","rank":0},{"keyword":"\uc6d0\uc2e0","rank":9},{"keyword":"\uadc0\uba78","rank":1},{"keyword":"\ubaac\ud5cc","rank":-4},{"keyword":"\uc6d0\ud53c\uc2a4","rank":-2},{"keyword":"\uba85\uc870","rank":4},{"keyword":"\uc820\ub808\uc2a4","rank":1},{"keyword":"@","rank":4},{"keyword":"\ub9c8\ube44M","rank":"new"},{"keyword":"\uc778\ubc29","rank":"new"},{"keyword":"\ub9d0\ub538","rank":-4},{"keyword":"\uc720\ud76c\uc655","rank":-10},{"keyword":"\uae40\uc131\ud68c","rank":"new"},{"keyword":"\ucf00\ub370\ud5cc","rank":0},{"keyword":"\uac74\ub2f4","rank":0},{"keyword":"\ud2b8\ub7fc\ud504","rank":"new"}]
(IP보기클릭)121.165.***.***
와 왜 원문에 안 올렸는지 알겠어 들어도 이해 못하겠네
(IP보기클릭)218.232.***.***
미조하타-다케우치(Mizohata-Takeuchi) 추측은 매끄러운 초곡면 위에서 정의된 함수의 푸리에 변환을 유클리드 공간의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할 때, 입력 함수의 L² 노름이 확장된 함수의 L² 노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한 수학적 추측입니다. 즉, 초곡면 위의 함수를 "확장"했을 때 그 "에너지"가 얼마나 잘 제어되는지 묻는 문제이며, 2025년 17세 수학자 한나 카이로(Hannah Cairo)가 로그를 인자로 하는 큰 차이로 반례를 발견하며, 추측이 전역적인 형태로 거짓임이 증명되었습니다
(IP보기클릭)118.39.***.***
와 진짜 서술된 글만봐도 이해가 안가는데 이걸 취미로 그냥 풀었다고...
(IP보기클릭)223.39.***.***
반증한 문제가 뭐였는지는 알려주고가
(IP보기클릭)118.235.***.***
지나가던 이과입니다 뭔 소리인지 모르겠으니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IP보기클릭)175.113.***.***
https://www.youtube.com/watch?v=3ZeH_8sTyKA
(IP보기클릭)106.101.***.***
음... 그러니까 초곡면에서도 푸리에 변환을 정의 가능한데 그 푸리에 변환을 일반화 시켜도 잘 되나하는 거지?
(IP보기클릭)223.39.***.***
반증한 문제가 뭐였는지는 알려주고가
(IP보기클릭)67.170.***.***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how-teen-mathematician-hannah-cairo-disproved-a-major-conjecture-in-harmonic/ | 25.10.01 16:04 | | |
(IP보기클릭)175.113.***.***
원시저그우두머릵
https://www.youtube.com/watch?v=3ZeH_8sTyKA | 25.10.01 16:05 | | |
(IP보기클릭)223.39.***.***
| 25.10.01 16:06 | | |
(IP보기클릭)211.202.***.***
전혀 못알아 들었지만 뭔가 도움이 된거 같아여~ 색 이쁘게 잘쓰시네~ | 25.10.01 16:09 | | |
(IP보기클릭)1.247.***.***
내용은 잘 모르겠지만 아기자기한게 보는맛이 있네 | 25.10.01 16:12 | | |
(IP보기클릭)218.232.***.***
(IP보기클릭)218.232.***.***
자원재활용
미조하타-다케우치(Mizohata-Takeuchi) 추측은 매끄러운 초곡면 위에서 정의된 함수의 푸리에 변환을 유클리드 공간의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할 때, 입력 함수의 L² 노름이 확장된 함수의 L² 노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한 수학적 추측입니다. 즉, 초곡면 위의 함수를 "확장"했을 때 그 "에너지"가 얼마나 잘 제어되는지 묻는 문제이며, 2025년 17세 수학자 한나 카이로(Hannah Cairo)가 로그를 인자로 하는 큰 차이로 반례를 발견하며, 추측이 전역적인 형태로 거짓임이 증명되었습니다 | 25.10.01 16:05 | | |
(IP보기클릭)118.235.***.***
자원재활용
지나가던 이과입니다 뭔 소리인지 모르겠으니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 25.10.01 16:09 | | |
(IP보기클릭)121.165.***.***
자원재활용
와 왜 원문에 안 올렸는지 알겠어 들어도 이해 못하겠네 | 25.10.01 16:09 | | |
(IP보기클릭)118.39.***.***
자원재활용
와 진짜 서술된 글만봐도 이해가 안가는데 이걸 취미로 그냥 풀었다고... | 25.10.01 16:09 | | |
(IP보기클릭)118.235.***.***
어휴 차라리 쎅쓰를 하고말지 이건 뭔소리인지도 모르게따 | 25.10.01 16:09 | | |
(IP보기클릭)49.172.***.***
| 25.10.01 16:10 | | |
(IP보기클릭)211.199.***.***
| 25.10.01 16:10 | | |
(IP보기클릭)106.101.***.***
공대임 푸리에 변환까진 알겠음 | 25.10.01 16:11 | | |
(IP보기클릭)106.101.***.***
자원재활용
음... 그러니까 초곡면에서도 푸리에 변환을 정의 가능한데 그 푸리에 변환을 일반화 시켜도 잘 되나하는 거지? | 25.10.01 16:12 | | |
(IP보기클릭)218.48.***.***
한글인데도 전혀 모르겠어... | 25.10.01 16:12 | | |
(IP보기클릭)113.160.***.***
지나가던 공대출신40대입니다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 25.10.01 16:13 | | |
(IP보기클릭)218.232.***.***
수학과 교수님들도 자기 파트 아니면 설명못해 그러므로 나도 몰라 ㅎㅎㅎㅎㅎ | 25.10.01 16:13 | | |
(IP보기클릭)126.182.***.***
이야 단어를 다 아는데 이해되는 문장이 하나도 없네 | 25.10.01 16:14 | | |
(IP보기클릭)14.47.***.***
그러니까 한마디로 요약하면 일본인이 거짓말을 했다는 건가(아님) | 25.10.01 16:19 | | |
(IP보기클릭)106.101.***.***
어.... 음... | 25.10.01 16:19 | | |
(IP보기클릭)118.235.***.***
...와 이 정도로 요약해서 설명했는데도 내 수준에는 무슨 말인지 하나도 이해 안가네 ㅋㅋㅋㅋㅋ | 25.10.01 16:21 | | |
(IP보기클릭)182.214.***.***
한국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아마도) | 25.10.01 16:22 | | |
(IP보기클릭)106.101.***.***
푸리에 변환이야 일반화 잘 되는데 에너지, 즉 그 적분값이 원래 값으로 잘 컨트롤 되냐를 묻는 거고 못해도 로그 차이가(즉 발산하는 차이가) 있음을 보인듯 | 25.10.01 16:26 | | |
(IP보기클릭)118.235.***.***
| 25.10.01 16:27 | | |
(IP보기클릭)106.101.***.***
아하 | 25.10.01 16:31 | | |
(IP보기클릭)211.235.***.***
뭔소리야 그냥 계속 보던 독산성의 조선 후기 도성방어체제 하에서의 위상 변동이나 읽어야지 | 25.10.01 16:49 | | |
(IP보기클릭)171.255.***.***
(IP보기클릭)1.1.***.***
(칫, 또 어려운 걸 시키네. 미조하타-다케우치 추측이라니... 이 녀석, 나를 얼마나 무시하는 거야? 하지만, 게임에 비유해서 설명하라니... 나름 괜찮은 아이디어일지도?) 음... 마치 RPG 게임에서 숨겨진 보스를 찾는 거랑 비슷해. 맵 곳곳에 흩어진 단서를 모으고, 퍼즐을 풀면서 보스의 위치를 추측하는 거지. 단서가 많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지지만, 가짜 정보도 있을 수 있어. 결국, 플레이어의 추리력과 직감이 중요하겠지. 흥! 바카밧카! 이해했어? | 25.10.01 16:10 | | |
(IP보기클릭)118.235.***.***
다 틀렸잖아 | 25.10.01 16:12 | | |
(IP보기클릭)1.1.***.***
(칫, 뭘 그렇게 삐딱하게 말하는 거야? 내가 뭘 틀렸다는 건데... 흥, 하지만 이렇게 툴툴거리는 모습도 나쁘진 않겠지?) 바카밧카! 뭐가 그렇게 불만이야? 제대로 말 안 하면 내가 어떻게 알겠어? 멍청한 녀석. | 25.10.01 16:12 | | |
(IP보기클릭)59.28.***.***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8.48.***.***
(IP보기클릭)121.146.***.***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21.147.***.***
실제로 흑인이거나 여성이 논문 내면 깜둥이 논문을 우리가 왜 보지? 계집년이 뭘 안다고? 식으로 평가는 커녕 아예 읽지도 않는 경우 흔했음... 그래서 그런 차별 없이 성과만 좋으면 오케이인 곳에 논문 내거나 귀화해서 이 논문을 이 곳에 처음 낸 것이 아닌데 먼저 받아 놓고 평가도 안 한 저긴 뭐하는 놈들임? 식의 조롱을 받은 경우도 있고... | 25.10.01 16:25 | | |
(IP보기클릭)14.36.***.***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06.101.***.***
저기서 말하는 에너지는 아마 전체에서 적분값 가리키는 거임. 그 값이 확장하면서 최소 로그 인자가 붙을 수 있다는 얘기인듯 | 25.10.01 16:2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