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짤들이나 여러 2차창작의 묘사들을 보면
키보토스의 화폐 단위는 인게임의 크레딧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작 스토리의 묘사와 대사들을 종합해보면
실제 키보토스에서 통용되는 화폐는 일본의 엔화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사실 크레딧은 실물 화폐가 아니라
선생의 어른의 카드 사용실적에 상응해서 주는 '적립 포인트'라는 것이 오피셜.
툴팁 설명을 보면 현실의 신용카드 포인트보단 범용성 좋은 포인트 같다.
어쨌든 이것저것 볼 때 학생이 크레딧을 사용하는 2차창작은
엄밀히 따지면 고증에 어긋날지도?
그렇다면 인게임 카페에서 매시간 쌓이는 크레딧 수익의 정체가 궁금해지는데,
크레딧이 화폐였다면 학생들이 카페에 지불한 음료, 설비 이용료 등일 수 있겠지만
선생의 카드 포인트라는 설정인 이상 '학생들이 지불해서 쌓이는' 것일 리는 만무.
뭐 제작진은 설정 고려 없이 그냥 자원 수급처로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솔직히 아무래도 좋은 일이지만 굳이굳이 따져봤을 때
1) '카드 사용실적 포인트'라는 크레딧의 설정과
2) 고급 가구를 들일수록 높아지는 쾌적도-수익률의 상관관계를 끼워맞추면
학생의 휴식을 위해 선생이 시설에 투자한 만큼 실적이 포인트로 돌아오고 있는 게 아닐까...
라는 상상이 가능할지도.





(IP보기클릭)175.213.***.***
테에엥 분석이라기엔 좀 쑥쓰러워오
(IP보기클릭)116.123.***.***
신용, 학생들이 들어와 사는 만큼, 학생들의 믿음이라는 뜻 아닐까?
(IP보기클릭)118.47.***.***
이런 분석글 좋지..
(IP보기클릭)116.37.***.***
하긴 저게 다 돈이면 빠요엔 센세가 담당하는 곳은 아비도시 빚 따위는 진작에 다 갚았겠지
(IP보기클릭)114.201.***.***
역시 센세야!
(IP보기클릭)1.232.***.***
하긴 학생들 교육이나 시켜주는데 몇억 몇십억 크레딧씩 갖다 바치는데 그깟 빚 못갚는것도 말이 안되지
(IP보기클릭)211.107.***.***
월세를 카드로 내서 쌓이는게 아니었군
(IP보기클릭)114.201.***.***
역시 센세야!
(IP보기클릭)118.47.***.***
이런 분석글 좋지..
(IP보기클릭)175.213.***.***
테에엥 분석이라기엔 좀 쑥쓰러워오 | 23.07.19 20:52 | | |
(IP보기클릭)211.226.***.***
(IP보기클릭)211.107.***.***
월세를 카드로 내서 쌓이는게 아니었군
(IP보기클릭)115.138.***.***
(IP보기클릭)116.123.***.***
신용, 학생들이 들어와 사는 만큼, 학생들의 믿음이라는 뜻 아닐까?
(IP보기클릭)118.235.***.***
이거네 | 23.07.19 20:56 | | |
(IP보기클릭)118.40.***.***
(IP보기클릭)116.37.***.***
하긴 저게 다 돈이면 빠요엔 센세가 담당하는 곳은 아비도시 빚 따위는 진작에 다 갚았겠지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83.106.***.***
(IP보기클릭)121.130.***.***
(IP보기클릭)220.71.***.***
(IP보기클릭)1.232.***.***
하긴 학생들 교육이나 시켜주는데 몇억 몇십억 크레딧씩 갖다 바치는데 그깟 빚 못갚는것도 말이 안되지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220.71.***.***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75.213.***.***
헉 | 23.07.19 21:03 | | |
(IP보기클릭)92.203.***.***
(IP보기클릭)211.205.***.***
(IP보기클릭)58.122.***.***
(IP보기클릭)211.248.***.***
(IP보기클릭)180.80.***.***
(IP보기클릭)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