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763145
제목이 비교적 자극적인 게임메카 기사와
https://bbs.ruliweb.com/nin/board/300004/read/2335974
그에 대한 반응인데..일단 기사부터 보죠.
기사 내용은 비교적 평이합니다. 제목은 조회수 잘 뽑게 뽑아냈네요. 기자는 키카드 불호를 어떻게 가늠한 걸까요? 그리고 '생각보다' 더 컸다는 건 애당초 어느 정도의 불호를 생각했던 걸까요. 기사의 내용에 따르면, '키카드 불호'의 가늠자는 '사이버펑크 2077'의 압도적인 인기였습니다. 서드파티 게임들 중 압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게 사이버펑크 2077인데, 사이버펑크 2077은 키카드가 아니었으니, 키카드 불호가 상당한 것이다!라는 논리입니다. 이게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된다는 건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 게 중요한 건 아닙니다. 당장에 반응이 매우 뜨겁거든요.
저 기사를 논외로 하고, 키카드 불호도를 어떻게하면 가늠할 수 있을지 생각을 해봅시다. 먼저 제일 좋은 것은 동일한 게임이 두 가지 버전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89,900원짜리 사이버펑크 2077 풀카트리지 에디션과 69,900원짜리 사이버펑크 2077 키카드 에디션 중 뭐가 더 팔리느냐를 볼 수 있다면 키카드 불호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현실적으로 이것은 불가능합니다. 제조사가 저런 실험을 돈 들여서 할 리는 없으니까요. 다만 저는 후자에 배팅하고 싶네요.
두 번째 방법은 기존 게임과의 비교입니다. 예컨대 BRAVELY DEFAULT Ⅱ 브레이블리 디폴트 FLYING FAIRY HD Remaster를 두고 비교가 가능할 것입니다. 두 게임의 패키지:DL 판매 비율을 비교해서, 후자에 있어 패키지 비율이 떨어졌다면 그것은 키카드 불호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겠죠. 아예 완전히 동일한 소닉×섀도우 제네레이션즈의 패키지:DL 판매 비율을 통해서도 가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키카드 불호가 DL 구매로 그대로 이어진다면, 제조사는 키카드 불호를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팔릴 거기 때문이죠. 따라서 키카드 불호가 실제 구매 자체를 막는 경우가 중요할텐데..이것을 어떻게 가늠할지는 애매한 것 같습니다. 파는 쪽에서 알아서 잘 분석을 할테지만, 어떻게 분석을 할지 궁금하긴 하네요. 초기에는 거의 다 키카드로 나오고 있는데, 만약 키카드 불호도가 정말로 높다고 판명이 난다면 제조사들도 고민을 하겠죠.
(IP보기클릭)121.166.***.***
저 기사랑 비슷한 논리인데, 논리가 부족해요. 사이버펑크의 성공을 물리카드 선호로 그대로 볼 수 없고, 인디 게임의 경우 현시점에서는 외려 키카드가 없으면 패키지 발매가 불가능할 겁니다. 해결책 중 다양한 용량 카트리지의 경우 속도 문제 때문에 쉽지 않을 것 같고, 닌텐도가 지원해줘야 한다는 부분은 아마 '키카드'라는 솔루션 자체를 일종의 지원으로 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불가능할 것 같네요.
(IP보기클릭)106.101.***.***
대중의 판단을 아직 알기는 어렵지만, 닌텐도 골수팬임에도 키카드는 최악이네요
(IP보기클릭)1.232.***.***
키카드 불호도가 재대로 나올려면 서드에서 스위치2용 신작이 키카드로 나왔을 경우에 확실하게 정해지겠죠. 지금은 죄다 이식작이라서 사람들이 안사는것도 있으니까요.
(IP보기클릭)124.199.***.***
패키지파가 외면하면 소장목적의 구매자들은 점점 사라지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키카드는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스위치의 경우는 2가 아니라 프로급으로 점점 발전되는 형태로 나갔어야 했어요~ 어차피 같은 카트리지로 나가는건데~ ㅜㅠ 시디나 다른 카트리지면 모르지만~ 닌텐도 실망입니다~~~
(IP보기클릭)211.234.***.***
확실한거 하나는 키카드라서 안사는 사람은 있어도 키카드라서 사는 사람은 없다는 것
(IP보기클릭)211.203.***.***
(IP보기클릭)121.166.***.***
저 기사랑 비슷한 논리인데, 논리가 부족해요. 사이버펑크의 성공을 물리카드 선호로 그대로 볼 수 없고, 인디 게임의 경우 현시점에서는 외려 키카드가 없으면 패키지 발매가 불가능할 겁니다. 해결책 중 다양한 용량 카트리지의 경우 속도 문제 때문에 쉽지 않을 것 같고, 닌텐도가 지원해줘야 한다는 부분은 아마 '키카드'라는 솔루션 자체를 일종의 지원으로 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불가능할 것 같네요. | 25.07.01 20:07 | |
(IP보기클릭)211.203.***.***
사펑의 판매고는 물리카드 선호가 맞다고 봅니다.스파6같은 게임도 엄청 잘팔릴 게임이죠..스위치2용 스파6 판매가 좋다는 기사는 보지 못했습니다 | 25.07.01 20:14 | |
(IP보기클릭)211.36.***.***
스위치2용 스파6의 판매량이 좋은지 나쁜지 저는 모릅니다만, 그게 좋게 나온다고 해서 키카드 불호도가 낮은 게 아니고, 그게 낮게 나온다고 해서 키카드 불호도가 높은 것이 아닙니다. | 25.07.01 20:18 | |
(IP보기클릭)125.128.***.***
(IP보기클릭)220.119.***.***
ㅇㅇ 맞는 말입니다. | 25.07.01 20:52 | |
(IP보기클릭)211.203.***.***
지금 구입한 소비층이 코어유저들뿐인건 아니죠.다 같은 게이머이고 소비자일뿐입니다.비판적 여론이 바뀔거라고 생각들진 않습니다.스위치를 구입하는 사람이면 결국엔 알게 되고 키카드 게임을 구입하고 저장매체에 다운을 받아서 해야한다고 생각들면 아닌 게임도 있는데?따져보기 시작할것이고 좋게 좋 소비자는 없을겁니다 | 25.07.01 21:00 | |
(IP보기클릭)14.58.***.***
루리웹-2810793788
서드파티라고 꼭 코어 유저만 노리는 건 아닙니다. 스위치 게임만 봐도 루리웹에선 존재도 모를 아동 타깃 게임이 상당히 많은데, 그것도 전부 서드파티 타이틀이죠. 서드파티가 꼭 다른 플랫폼과 동시 발매하는 AAA급 게임만 있는 건 아니니까요. 이런 말을 왜 하냐면, 스위치는 말씀하신 일반 대중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서 흘러가는 양상이 루리웹을 비롯한 코어 게임 매니아들이 모여있는 곳과는 상당히 다릅니다. 루리웹에 올라오면 "이런 게임을 누가 돈 주고 사!!"라고 할 법한 것들이 마트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그럭저럭 잘 팔리는 게 스위치였으니까요. 실제로 현재 한국 게임 유통사도 스위치 패키지 덕분에 다른 기종들 패키지 적자를 면하고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고요. 그 스위치 패키지가 꼭 서드 파티의 AAA 타이틀들만 있는 건 아닙니다. 키 카드 시스템은 좀 괘씸하긴 하지만, 스위치 2가 스위치랑 비슷한 위치에 간다면 "대다수는 딱히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라는 기조가 조성될 가능성이 상당히 큽니다. 코어 유저층이 아닌 사람들은 사실 256기가를 다 채우는 것도 쉽지 않거든요. | 25.07.01 21:37 | |
(IP보기클릭)106.101.***.***
대중의 판단을 아직 알기는 어렵지만, 닌텐도 골수팬임에도 키카드는 최악이네요
(IP보기클릭)14.46.***.***
(IP보기클릭)211.36.***.***
근데 진짜 집계를 그렇게 하면 의미가 없겠는데요. ㅋㅋ | 25.07.01 21:30 | |
(IP보기클릭)210.122.***.***
닌텐도가 그렇게 말한적은 없고 캡콤이 그랬을껄요? | 25.07.02 09:03 | |
(IP보기클릭)1.232.***.***
키카드 불호도가 재대로 나올려면 서드에서 스위치2용 신작이 키카드로 나왔을 경우에 확실하게 정해지겠죠. 지금은 죄다 이식작이라서 사람들이 안사는것도 있으니까요.
(IP보기클릭)124.199.***.***
패키지파가 외면하면 소장목적의 구매자들은 점점 사라지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키카드는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스위치의 경우는 2가 아니라 프로급으로 점점 발전되는 형태로 나갔어야 했어요~ 어차피 같은 카트리지로 나가는건데~ ㅜㅠ 시디나 다른 카트리지면 모르지만~ 닌텐도 실망입니다~~~
(IP보기클릭)211.36.***.***
소장 목적 구매자가 사라질 수는 있을텐데, 그 비율이 전체 구매자 중 몇 %나 될지 의문입니다. | 25.07.02 09:05 | |
(IP보기클릭)211.234.***.***
확실한거 하나는 키카드라서 안사는 사람은 있어도 키카드라서 사는 사람은 없다는 것
(IP보기클릭)220.86.***.***
이게 우문 현답인거 같은데... | 25.07.02 15:35 | |
(IP보기클릭)121.166.***.***
키카드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이건 당연한 게, 결국 키카드는 카트리지의 대체인데 기존 카트리지에 비해 안 좋아졌으니 좋아할 이유는 없습니다. 다만 그게 정말 지갑을 열지 말지를 결정할만큼 큰 영향력을 미치는지는 알 수 없다는 말이죠. 사고 싶은 게임이 나왔는데 키카드라 안 사게 되는 일이 실제로 있을지, 있다면 게임을 아예 안 살지, 혹은 DL로 살지. 아예 안 사는 경우만이 키카드 불호가 현실화가 되는 경우인데 그게 과연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는 거죠. | 25.07.02 15:55 | |
(IP보기클릭)116.122.***.***
(IP보기클릭)211.36.***.***
중고거래에는 관심도 없을 걸요. | 25.07.02 09:00 | |
(IP보기클릭)210.122.***.***
기존 패키지랑 키카드는 중고거래면에서는 단 0.0001%도 차이가 없습니다. | 25.07.02 09:04 | |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121.166.***.***
저는 구입을 했지만 키카드 아니었어도 구입했을 겁니다. 저는 한 번 깨고 팔려고 카트리지로 산 거거든요. '나는 이렇다'라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사이버펑크가 서드파티 게임 중 잘 나가는 건 기자 말처럼 정말 '키카드가 아니라서'일 수도 있고, 아니면 경쟁 서드파티 게임들이 전체적으로 나사가 빠져서일 수도 있습니다. 사이버펑크의 성공을 '키카드 불호 때문'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사이버펑크의 성공을 보고 '키카드 불호가 크구나!'라고 판단하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거죠. 사이버펑크가 키카드로 나오고, 서바이벌키즈가 물리카드로 나왔으면 사람들이 우왕 키카드 싫어 물리카드 살래 서바이벌키즈~ 이러지는 않는다는 거죠. | 25.07.02 15:52 | |
(IP보기클릭)220.86.***.***
(IP보기클릭)121.166.***.***
기자 曰,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라고 하는데 수긍이 안 돼서 써본 글입니다. | 25.07.02 15:49 | |
(IP보기클릭)220.86.***.***
말씀 하시는걸로 봤을 때에 제목과는 다르게 기사 내용이 딱히 불호를 증명하는 무언가가 없어서 수긍이 안되신 것 같은데, 키 카드에 대해서 별 생각이 없는 사람들은 있어도 키카드라서 좋다고 하는 사람은 저도 본 적이 없긴 하거든요. 불호에 대한 말과, 그정도까진 아니다 (그 정도까진 아닌거지 장점이 많다 라고 하는것도 본적은 없는거 같긴합니다) 혹은 매니아층 아니면 딱히 크게 신경 안쓴다 정도의 의견만 본 것 같거든요. lovebest 님께서 키카드를 '호' 로 보시는 유저라서 수긍이 더 안되시는건지, 댓글들 보면서 궁금 해 져서 여쭤봤습니다. | 25.07.02 17:05 | |
(IP보기클릭)121.166.***.***
'호'가 될 여지는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아할 건덕지는 전혀 없으니..ㅎㅎ 저는 게시판의 불호 의견이 정말 구매 저하까지 이어질지가 궁금할 뿐입니다. 그 부분에 있어 제 예상은 '이어지지 않을 것이다'에 가깝긴 합니다. | 25.07.02 18:14 | |
(IP보기클릭)220.86.***.***
아하 뭔가 게시판의 불호 의견이 커뮤니티를 안하는 라이트한 유저들의 여론과 비슷하여 구매저하까지 플로우가 이어질지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아닌거 같다 라는 말씀이시군요. 저도 그 부분은 동의합니다. 음.. 근데 이게 오히려 더 크게 작용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게, 아니 게임칩을 샀는데 와이파이 연결 안되어있고 많게는 한시간 가까이 다운로드를 받지 않으면 바로 게임을 못한다고? -> 닌텐도2(스위치2) 너무 사용하기 번잡스럽네 식으로 일반유저들의 의식흐름이 이어져서 구매력이 떨어질 수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 25.07.02 18:34 | |
(IP보기클릭)117.111.***.***
그럴 수도 있겠죠. 실질적으로 얼마나 영향이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정확한 반응은 시간이 좀 지나봐야 알 수 있을 듯요. | 25.07.02 18:38 | |
(IP보기클릭)211.235.***.***
그렇겟네요. 뭔가 dl로 완전히 넘어가게 하기위한것이든 기업의 이익을 위한 결정이든 저는 오래된 닌텐도 유저로써 패키지로도 좋은 작품 많이 나오면 좋겟습니다. | 25.07.02 18:47 | |